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1교시 전통음악의 선율구조

수업개요
민요란 우리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 노래로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는 전통적인 소박한 노래이다. 예나 지금이나 우리는 유별나게 노래를 좋아하는 민족으로, 축제가 한 번 벌어졌다 하면 몇 날 며칠을 두고 끊임없이 노래를 불렀던 사실(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등)은 중국의 역사서에 기록될 정도였으며, 지금도 전국의 수많은 노래방이 성업 중이고, 라디오 프로그램의 전화 노래방 같은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된 자리에 조차도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또 즐기고 있다. 노래 속에는 그 노래를 즐기는 사람들의 삶과 그 삶을 대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요즘에는 민요를 전문적으로 공부한 소리꾼들의 노래로만 인식하지만, 수 많은 세월을 통해 다듬어져 온 민요를 아는 것은 우리 민족의 원류를 찾아가는 첫 발걸음이 될 것이다. 첫번째 단원에서는 개념 단계에서는 우리 민요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단원에서는 경기민요 한강수타령을 직접 불러보고, 셋째 단원에서는 남도 민요 강강술래 중에서 한 곡을 선정해 우리 시대의 정서에 맞는 노래로 새로이 바꾸는 시도를 통해, 민요를 보다 가깝게 느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1. 개념단계- 마음을 닮은, 말을 닮은 노래
* 강사: 최종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겸임교수) * 민요의 분류 방법 - 지역성 · 전문성에 따른 분류: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옛날, 각 지역마다의 생활 방법의 차이에 따라 노래가 발달하여 왔는데, 이는 소박한 토속민요의 형태로 남아있다. 반면 전국을 떠돌며 기예를 팔던 남사당패와 같은 유랑 예인 집단에 의해 갈고 다듬어져 널리 불려지는 노래도 생겨났는데 이를 통속민요라 한다. - 문화권(방언권)에 의한 분류: 노래는 말을 운율에 담은 것으로, 각 지역의 언어에 따라 노래의 선율이나 창법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경기민요나 남도민요 등으로 구분한다. - 쓰임새에 따른 분류: 생활 속의 노래로의 민요는 노래 자체보다는 노래를 통해 노동의 효율을 높이고, 놀이에 있어 흥을 돋우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노동요와 의식요 등으로 나눈다.
지역성·전문성에 따른 분류
가) 토속민요 ① 정의: 특정지역에 국한되어 불려지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의 삶 속에서 행해지던 노래 ② 특징: 단순하고 소박하며 노래 자체가 목적이기보다는 노래를 통해 다른 목적을 추구한다. ③ 노래: 상여소리, 모 심는 소리, 김매기 소리, 멸치잡이 소리 등 나) 통속민요 ① 정의: 직업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잘 다듬어져 여러 지역에서 널리 불러지던 노래 ② 특징: 세련되고 전문적이며 음악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 ③ 노래: 노랫가락, 육자배기, 수심가 등
문화권(방언권)에 의한 분류
가) 경기민요 ① 지역 : 서울, 경기, 충청도 일부, 강원도 서북부 ② 특징 : 맑고 고운 목소리로 노래하며 경쾌한 분위기의 노래가 많다. ③ 노래 : 도라지타령, 경복궁타령, 노들강변, 노랫가락, 한강수타령, 방아타령 등 나) 남도민요 ① 지역 : 전라도, 충청도 일부 ② 특징 :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 꺾는 음의 세 음을 기본으로 하는 음계로, 가락의 선이 굵고 구성지다. ③ 노래 : 강강술래, 진도아리랑, 육자배기, 남원산성 등 다) 동부민요 ① 지역 : 경상도, 강원도 일부 ② 특징 : 메나리토리권이라고도 하는데 남도민요에 비해 떠는 음의 폭이 잘고, 경기소리와 비슷하나 소박하며 꿋꿋한 느낌을 준다. ③ 노래 : 강원도 아리랑, 한오백년, 밀양아리랑, 옹헤야, 쾌지나칭칭나네 등 라) 서도민요 ① 지역 : 황해도, 평안도 ② 특징 : 떠는 음이 다양하고 복잡하며 콧소리가 섞인 탄식조의 노래들이 많다. ③ 노래 : 수심가, 긴아리, 자진아리, 난봉가 등 마) 제주민요 ① 지역 : 제주도 ② 특징 : 제주도 특유의 방언이 살아있으며 전국 각지의 민요들에서 영향을 받았다. ③ 노래 : 오돌또기, 둥그레당실, 이어도사나, 용천검 등
쓰임새에 따른 분류
가) 노동요 ① 정의 : 일을 하며 부르던 노래 ② 노래 : 김매기 소리, 어사용(나무꾼들의 노래), 방아찧는 소리, 노 젓는 소리 등 나) 의식요 ① 정의 : 혼례나 장례 등의 의식에서 부르던 노래 ② 노래 : 발인소리, 운상소리, 지신 밟기 소리 등 다) 부녀요 ① 정의 : 부녀자들이 집안 생활을 하며 부르던 노래 ② 노래 : 시집살이 노래, 아기 어르는 소리, 신세한탄가 등 라) 동요 ① 정의 : 어린아이들이 친구들과 어울리며 부르던, 혹은 성장의 과정을 담은 노래 ② 노래 : 두껍아 두껍아, 꿩꿩 장서방, 줄넘기, 기와밟기, 신랑방에 불켜라, 앞니 빠진 중강새 등
2. 확인단계- 지방별 민요 배우기(한강수타령)
* 강사: 함영희(국립극장 문화학교 강사) * 학생: 신희주, 안희진, 윤정우, 이형진, 이혜진(경인교육대학교 재학생)
경기민요의 정의와 특징
경기민요는 서울·경기 지방에 전승되어 오는 민요로서 주로 굿거리와 세마치 장단의 노래들이 많으며, 서도민요나 남도 민요에 비해 맑고 경쾌한 음색이 특징이다.
경기민요의 종류
경기 민요는 주로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전승되어 왔는데, 이는 다시 좌창과 입창으로 나뉜다. ① 좌창- 앉아서 부르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주로 ‘잡가’를 노래하는데, 잡가는 ‘가사체’의 긴 사설을 매우 세련된 기교로 노래하는 전문 소리꾼들의 노래이다. 주로 절의 구분이 없이 통절로 이루어져 있는데, 소춘향가, 제비가 등이 이에 속한다. ② 입창- 장구를 메고 서서 부르는 노래로 선소리라고도 하며, 그런 소리를 주로 하는 집단을 일러 선소리패라고 한다. 한 사람이 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은 소고를 들고 발림을 하며 받는 소리를 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한강수타령, 양산도, 경복궁타령, 방아타령 등이 이에 속한다.
한강수 타령
한강수 타령은 ‘한강수라 깊고 맑은 물에~’ 하고 시작하는 첫 구절로 인해 제목이 붙여졌는데, 메기는 소리의 대부분이 한강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서울의 선소리에 속하는 노래로 4장단에 메기고 4장단은 받아주는 형식이다. ① 장단- 굿거리 장단 ② 메기는 소리 한강수라 깊고 맑은 물에 수상선 타고서 에루화 뱃놀이 가잔다 조요한 월색은 강심에 어렸는데 술렁술렁 배띄워라 에루화 뱃놀이 가잔다 ③ 받는 소리 아하 아하 에헤야하 에헤요 어허야 얼쌈마 둥개 디여라 내 사랑아
3. 놀이단계- 민요 지어 부르기(강강술래와 함께)
* 강사: 김선미 (판소리 뮤지컬극단 ‘타루’ 단원) * 학생: 신희주, 안희진, 윤정우, 이형진, 이혜진(경인교육대학교 재학생)
강강술래
강강술래는 전라도 해안 지방에서 정월보름이나 팔월 한가위 같은 달 밝은 밤에 마을의 부녀자들이 손에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춤추고 놀 때 부르던 노래이다. 느리게 시작하여 점점 빨라지는 장단 속에 기와밟기, 꼬리따기, 청어엮기, 쥔쥐새끼 등 여러 가지 노래와 그와 어울리는 놀이들이 포함된다.
소리의 특징
강강술래는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던 노래이기 때문에 남도 민요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① 떠는 소리- 기본이 되는 음정은 굵게 떨어서 낸다. ② 평으로 내는 소리- 중간 높이의 음은 별다른 기교 없이 쭉 뻗는 소리를 낸다. ③ 꺾는 소리- 높은 음정은 한 음정 윗음을 짧게 내고 곧이어 제 음을 내는 기교를 넣는데, 이것을 꺾는 소리라고 한다.
장단
처음에는 아주 느린 진양조 장단으로 시작하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장단으로 진행을 하는데, 각 노래들은 그 때 그 때 상황에 맞는 장단으로 변화시켜 노래할 수 있다. 이 시간에는 흥겨운 자진모리 장단의 노래와 몸짓을 익힌다.
청어엮기 노랫말
청청 청어엮자 위도 군산에 청어엮자 두름두름 엮어다가 둑대 위에 널었다가 신랑 각시 잔치 상에 덩그랗게 상차리자 신랑 각시 청어 보면 야금 야금 잘도 먹네 청청 청어 풀자 위도 군산에 청어 풀자 설피 설피 풀어보자 위도 군산에 청어 풀자
동작 배우기
① 모두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돈다. ② 한 사람이 한손을 놓고 그 옆의 두 사람이 잡은 손 밑으로 다른 이들을 끌고 들어간다. ③ ②를 계속 반복하면 모두가 팔로 엮인 채 일렬로 늘어서게 된다. ④ 앞의 동작을 거꾸로 반복하여 청어를 푼다. ⑤ 청어를 모두 풀고 나면, 처음과는 다르게 몸이 원의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
노랫말 변형하기
한 가지 주제를 정하여 각자 노랫말을 하나씩 제안한 후 다 같이 노래해 본다.
동작 변형하기
새로 만든 노랫말을 토대로 동작들을 만들어본다.
함께 하기
원래의 청어엮기를 노래와 함께 동작을 한 후, 새로운 노랫말과 동작을 이어본다.
연계정보
-민요
-강강술래
-경기소리(경기도)
-2교시 전통음악의 장단구조
-3교시 전통음악의 두 흐름, 정악과 민속악
-4교시 전통악기
-5교시 전통음악 감상
관련멀티미디어(전체16건)
이미지 16건

해당 이미지는 예술지식백과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미지 확대보기 불가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