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의 극단활동과 극작가/무대미술가/연출가/배우, 연극/번역극/마당극/인형극/마임, 전통연희/중요무형문화재 정보
국악가/성악가/작곡가/지휘자/중요무형문화재와 연주단체/전통음악단체, 창작양악/오페라/동요/전통음악/창작국악 정보
1925년 이전부터 1981년 이후까지 시대별 근현대 무용의 양식사 개념과 전통무용, 무용가 및 무용계 중요무형문화재 정보
한국화/공예/회화/드로잉·판화/조각/사진/서예, 디자인/뉴미디어, 건축과 분야별 작가정보
1919년 부터 1990년대 까지의 극영화 독립영화와 실험단편독립영화/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 정보
시대별 국문학문헌/소설/시 정보와 고전시가, 고전산문의 주요개념 및 시인/평론가/아동문학가/수필가/소설가 등 문학인물 정보
우리나라의 누정/주거/유고/관영/불교 등의 전통건축과 1930년 이전부터 1989년 이후까지의 현대건축 정보
대학로/인사동의 문화지구와 우리나라의 각종 소공연장, 민간공연장, 국공립공연장 정보
개요
자세히보기전통누정건축의 개요
우리는 전통 생활을 유지하면서 특히 가부장 제도 아래 삼강오륜을 생활 방식으로 이어왔다. 따라서 가정 교육의 생활 철학이 유학에 바탕을 두고 개인의 인격 형성을 이루었고 현대에도 그 맥은 이어지고 있다. 그것은 자연인으로서의 청렴함과 검소함, 그리고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었다. 그러기에 자신의 됨됨이를 항시 자연과 비교했고 자연과 함께 존재하기를 바랐다. 따라서 건축된 공간도 자연에 집착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누정이다. 누정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마루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지은 다락식의 집이라는 뜻이며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함께 일컫는 명칭으로서 정루(亭樓)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누정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樓)·정(亭)·당(堂)·대(臺)·각(閣)·헌(軒) 등을 일컫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누각은 누관(樓觀)이라고도 하며, 대개 높은 언덕이나 돌 혹은 흙으로 쌓아올린 대 위에 세우기 때문에 대각(臺閣) 또는 누대(樓臺)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강릉의 경포대(鏡浦臺), 평창의 청심대(淸心臺)는 그곳의 대 자체만을 뜻한 것이 아니라 거기에 건립된 누정까지를 가리킨다. 누각에 비하여 정자는 작은 건물로서, 역시 벽이 없고 기둥과 지붕만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놀거나 휴식할 장소로 산수 좋은 높은 곳에 세우는데 정각(亭閣) 또는 정사(亭擄)라고도 한다. 사(擄) 또한 높은 언덕, 혹은 대 위에 건립한 집으로 정자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누정은 가족과 함께 살아가는 마을 속의 살림집과 달리, 자연을 배경으로 한 남성 위주의 유람이나 휴식공간으로 가옥 외에 특별히 지은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원래 방이 없이 마루만 있고 사방이 두루 보이도록 막힘이 없이 탁 트였으며,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높은 곳에 건립한 것이 특색이다. 누정 중에는 한두 칸 정도의 방이 있는 경우도 있다. 광주(光州)의 환벽당(環碧堂)과 같이 ‘―당’이라고 하는 건물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누정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강학소(講學所)나 재실(齋室)의 기능을 하는 방을 둔 누정도 생겨나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 역시 방보다는 마루를 위주로 한 구조로서 누정의 특색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누정이라 하면 이와 같은 건물까지도 일컫는 개념으로 통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