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문양의 이해

문양의이해

문양이란?

문양은 미적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문양의 정의

문양은 한마디로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양이라는 낱말에서 연상되는 도안(圖案)의 개념과는 다르다. 문양이 개인적으로는 각자의 삶을 통해 발현되는 창조적 산물이며, 언어나 문자와 마찬가지로 사용 주체인 민족과 그 민족이 처한 역사적 배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물의 재료 차이에 따른 점이나 선 등의 질감에서부터 공예·회화·건축 등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에 이르기까지, 문양은 단순히 장식적인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 본연의 기원과 욕구를 다분히 종교적 성격을 띠면서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사전적 의미에서 문양이란 일반적으로 물건의 겉 부분에 여러 가지 형상이 어우러져 이룬 모양을 뜻한다. 우리말로 '무늬'라 하며 한자로는 '문양(文樣)' 혹은 '문양(紋樣)'이라고 표현한다. '문(文)'은 글자(書契, 사물을 표시하는 부호), 꾸밈(飾), 아름다움(美), 빛남(華), 아롱짐(斑), 빛깔(文彩) 등을 뜻한다. 한편 '문(紋)'은 직물의 문채(織文) 즉 '비단무늬', '꽃무늬' 등을 의미한다. 문양(文樣)과 문양(紋樣)에는 각각 문화적인 소산과 문명적인 소산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문양은 삶을 통한 문화 활동의 소산이자 창조적 문명의 산물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문양은 언어·문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인류가 이루어 놓은 회화·조각·공예 등 모든 조형미술의 원천이 되었다.

문양의 실체는 그냥 아름다운 것만은 아니다. 아름다움 이전에 상징적 의미가 더욱 중요한 경우도 있다. 아주 단순한 무늬라도 그 속에 우주의 섭리가 깃들어 있을 수도 있고, 반면에 아무리 현란하고 아름답게 베풀어진 무늬라 할지라도 그저 장식무늬에 불과한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사물의 진실의 바로 보기 위해서는 그 문양의 성격에 따라 물건의 용도가 다르며 문양이 베풀어진 자리가 지정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문양의 기원

문양의 발생과 그 기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설이 있다.

01. 문자 및 기호(記號)의 발생 연관설 고대 인류가 자연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과 사물의 모양을 모방하여 그림을 새겨 의사전달 수단으로 삼게 되었고 혹은 어떤 주술적인 효력을 빌기 위한 방법으로 쓰여 지던 일종의 부적(符籍)을 사용함으로써 비로소 기호와 문자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상형은 결국 문양의 시작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양은 처음부터 오늘날과 같이 감상을 목적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 아니라 필요한 용도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라 하겠다.

02. 편물(編物)과 직물(織物)의 발명 관련설 의생활과 주거생활에서 신체의 보호와 장식의 본능 등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게 된 직물의 발생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다. 이는 편직물의 발달로 갖가지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문양양식이 생겨나게 되었고, 인류는 점차 그러한 문양에 각종 상징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는 견해이다.

문양의 표현기법

문양의 표현기법은 문양이 어떻게 결합되어 표현되는가에 따라서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01. 단독문양의 형식 식물이나 동물 문양 등의 문양을 단독으로 배치하여 표현하는 기법을 말한다.

02. 연속문양의 형식 식물이나 동물 등의 한 문양을 연속으로 전개시켜서 구성하는 기법이다.

03. 기하학문양의 형식 번개문(雷文)·소용돌이문(渦文)·동심원문(同心圓文)·톱니문(鋸齒文) 등 기하형태를 기본으로 한 단순한 문양으로 구성하는 기법이다.

04. 복합문양의 형식 동물 또는 식물이나 기하문 등의 문양들을 혼합하여 특출한 형태를 이룬 것을 말한다. 그 예로 고대 장식 문양에서 동물·식물 형상을 구름 문양처럼 전개시켜 덩굴무늬 형태를 들 수 있다.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떡살·다식판 문양의 소재 및 상징성 분석」,『한국의 문양디자인Ⅰ-떡살과 다식판-』, 2001.
  •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예원, 1998.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편, 『한국의 무늬』, 예맥출판사, 1995.
  • 허균, 『전통문양』, 대원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