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양 이용안내
한국의 전통문양을 제품 디자인에 활용하여 실생활에 한국적인 느낌을 더할 수 있습니다.
전통 문양이 지닌 의미를 안내하고 어떻게, 제품에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할수 있습니다.
문양은 미적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통문양 사용신청
간단한정보 및 사용용도 입력
콘텐츠 다운로드
전통문양 특별전
十자형소조품(102083)
한국/여말선초
토수(102215)
한국/조선
토수(102216)
정악가야금(102123)
한국/통일신라시대
청자상감국화문향로편(102093)
한국/고려
유가심인도문수막새(102238)
유가심인도문수막새(102232)
영락장식(102062)
망와(102178)
한국/조선시대
용얼굴모양기와(102135)
3D프린팅 콘텐츠
목화(3000089)
오르디스(3001144)
김수환 서울 대주교 직인(3000619)
등잔대(3000042)
담배합(3001000)
쌍학흉배(3001026)
공작석(3000819)
안경집(3000237)
각력암(3000908)
사마리아 등잔(3000545)
활용 디자인
우저서원 여택당 망와(1003184)
귀주머니(1001865)
풀꽃문(1000107)
꽃문(1001748)
덕수궁 대한문 화반(1001785)
모란덩굴문(1000634)
박쥐문(1000435)
도철문(1002110)
연꽃문(1000928)
꽃문(1000162)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