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분청사기 어문병(3000500) 크게보기 3D 뷰어
분청사기 어문병(3000500)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도자기/분청
용도
식기
소장처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병은 물이나 술 등의 액체를 담는 목이 좁은 그릇을 일컫는다.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와 같이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바르고 그 위에 회청색의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이다. 분청사기가 번조된 시기는 대략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해당되며 조선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우리 도공들의 납치와 요지의 파괴로 분청사기는 자취를 감추었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한강이북지역에는 드물었지만 한강이남 지역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분청사기의 종류는 그 제작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색 또는 회흑색의 그릇 표면에 백토만으로 분장한 것, 둘째 백토로 분장하고 그 위에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 있다. 귀얄, 인화, 박지, 조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 문양을 나타냈다. 이 분청사기 병은 아가리가 나팔처럼 바라져 있다. 몸체는 목에서 바닥으로 갈수록 둥글어지는 형태로 안정감이 있다. 병의 앞면에는 크기가 다른 세 마리의 물고기를 그려 넣었으며 뒷면에는 커다란 물고기 한 마리를 표현하였다. 표면은 회청색을 띠며 문양은 백색이다.
활용설명
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병은 요즘에도 사용하는 용기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식기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장식용품, 생활소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