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의 극단활동과 극작가/무대미술가/연출가/배우, 연극/번역극/마당극/인형극/마임, 전통연희/중요무형문화재 정보
국악가/성악가/작곡가/지휘자/중요무형문화재와 연주단체/전통음악단체, 창작양악/오페라/동요/전통음악/창작국악 정보
1925년 이전부터 1981년 이후까지 시대별 근현대 무용의 양식사 개념과 전통무용, 무용가 및 무용계 중요무형문화재 정보
한국화/공예/회화/드로잉·판화/조각/사진/서예, 디자인/뉴미디어, 건축과 분야별 작가정보
1919년 부터 1990년대 까지의 극영화 독립영화와 실험단편독립영화/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 정보
시대별 국문학문헌/소설/시 정보와 고전시가, 고전산문의 주요개념 및 시인/평론가/아동문학가/수필가/소설가 등 문학인물 정보
우리나라의 누정/주거/유고/관영/불교 등의 전통건축과 1930년 이전부터 1989년 이후까지의 현대건축 정보
대학로/인사동의 문화지구와 우리나라의 각종 소공연장, 민간공연장, 국공립공연장 정보
개요
자세히보기대학로 개요정보
대학로라는 지명은 1975년까지 이곳에 자리잡고 있던 서울대학교에서 유래한 것이다. 서울대학교의 모든 단과대학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의과대학, 문리과대학, 법과대학이 이곳 연건동, 동숭동 일대에 자리잡고 있었다. 1908년 대한제국 탁지부 건축소가 서양식으로 대한의원과 공업전습소 건물을 세우면서 기존의 전통적 공간과는 이질적인 근대적 경관이 이 일대에 형성되었다. 1926년에는 이곳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교사가 준공되고, 1927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의학부가 대한의원 뒷편으로 자리잡으면서 대학문화에 토대한 독특한 문화공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오늘날 마로니에공원이라는 이름을 있게 한 마로니에 나무는 당시 경성제국대학 교수였던 우에노가 지중해에서 직접 가져다 심은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대학로라는 공간의 형성이 일제 시대에 시작된 것이긴 하지만,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대학로의 독특한 아우라가 형성된 것은 195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생들의 문화와 관련이 깊다. 그중 상징적인 공간이 ‘세느강’과 ‘미라보 다리’, 그리고 ‘학림다방’이었다. 현재는 복개되어 대학로 도로 아래로 사라져 버렸지만, 청계천의 지류로서 문리과 대학 정문 앞을 가로질러 흐르던 대학천과 그 위에 놓인 다리를, 당시 서울대 학생들은 프랑스의 서정 시인 아폴리네르의 시 구절을 인용하여 ‘세느강’과 ‘미라보 다리’라는 이국적이면서도 낭만적인 이름으로 불렀다. 1956년에 개점해서 현재까지도 굳건히 제자리에서 대학로를 지키고 있는 ‘학림다방’은, 서울대 문리과 대학생들에게 제25강의실이라 불릴 정도로 사랑받는 문화공간이었다. 또한 오늘날 홍대앞 문화공간이 홍대생만의 공간이 아니듯, 이곳 역시 서울대생만이 아닌 1960∼1970년대 젊은이들의 문화공간으로서, 수많은 예비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자신들의 재능과 열정을 배출하고 공유하던 단골 장소였다. 학림다방을 드나들던 사람들로는 천상병, 전혜린, 김승옥, 박태순, 김지하, 김민기, 유홍준, 장선우, 이애주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