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토지

작품명
토지
제작
우성사
감독
김수용
장르구분
1971년~1980년
출연/스태프
*출연 김지미, 이순재, 허장강, 김희라, 황 해, 최남현, 최정민, 우연정, 여수진, 도금봉, 주증녀, 이자영, 이영옥, 최봉, 남수정 *스태프 제작/김용덕, 감독/김수용, 각본/이형우, 촬영/장석준, 조명/김진도, 음악/정윤주, 미술/조경화, 편집/이경자
내용
19세기 말, 경남 하동 땅의 대대로 지주 집안인 최 참판집. 주인 최치수(이순재)의 어머니 윤씨(김지미)에게는 치수가 어릴 때 김개주에게 겁탈당해 낳은 아들 환이 있다. 환은 자라 최씨 집안에 머슴으로 들어오는데, 별당 아씨와 정을 통해 야반도주를 한다. 한편 고종이 등극한지 40년째가 되던 해, 전염병과 기근이 전국을 휩쓸고 많은 백성들이 고통을 받는다. 이 때를 틈타 치수의 외사촌 형인 조준구(허장강) 부부가 최씨댁의 만석 살림을 탐내 이를 가로채려는 계략을 꾸민다. 조준구의 계략과 시대의 혼란 속에서 꿋꿋하게 버티던 치수의 딸 서희와 마을 사람들 몇몇은 북간도로 향한다.
예술가(감독)
*김수용(1929~ ) 1951년 군에 입대(육군중위 통역장교)하고, 1954년 국방부 영화과에 배속되어 군 홍보, 교육영화를 감독하게 되었으며, 20여 편의 단편을 통해 연출 수업을 끝내고 1958년 극영화 <공처가>로 감독 데뷔, 60년대부터 전성기를 맞았다. 1960년대 ‘한국의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란 별명을 들을 정도로 한국영화 형식에 새로운 지평을 도입한 장본인. 60, 70년대 그가 만들었던 영화들은 시대의 긴장을 이겨내는 생기와 재기, 창의성이 살아 숨쉰다. 오영수의 원작을 바탕으로 한 <갯마을>(1960),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원작으로 한 <안개>(1967), 차범석의 희곡을 영화로 만든 <산불>(1967) 등을 비롯해 김유정, 김동리 등 한국 소설가의 작품이 그의 카메라에 담아졌다. 1987년 <중광의 허튼소리>를 발표한 후 활동을 중단했다가 일본자본으로 만든 <사랑의 묵시록>(1995) 이후 저 예산으로 <침향>(1999)을 연출했다. 제6회 대종상 감독상 <안개>, 제13회 대종상 감독상 <토지>, 제2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감독상 <갯마을>, 제15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감독상 <사랑의 조건>, 제14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 <안개> 수상 등의 경력이 있다.
작품정보
<1950년~1969년 작품> 공처가 (恐妻家 ,1958) 애상 (1959) 삼인의 신부 (1959) 청춘배달 (靑春配達 ,1959) 돌아온 사나이 (1960) 버림받은 천사 (1960) 구봉서의 벼락 부자 (1961) 일편단심 (1961) 사춘기여 안녕 (1962) 부라보 청춘 (1962) 손오공 (1962) 대지여 말해다오 (1962) 돈바람 님바람 (1963) 청춘교실 (1963) 약혼녀 (1963) 내 아내가 최고야 (1963) 굴비 (1963) 월급봉투 (1964) 여자 19세 (1964) 위험한 육체 (1964) 아편전쟁 (1964) 니가 잘나 일색이냐 (1964) 갯마을 (1965)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65) 날개 부인 (1965) 막내딸 (1965) 상속자 (1965) 적자인생 (1965) 제3의 운명 (1965) 유정 (1966) (1966) 잘 있거라 일본 땅 (1966) 길 잃은 철새 (1967) 까치소리 (1967) 안개 (1967) 애인 (1967) 만선 (1967) 어느 여배우의 고백 (1967) 고발 (1967) 빙점 (1967) 사격장의 아이들 (1967) 산불 (1967) 춘향 (1968) 동경특파원 (1968) 순애보 (1968) 분녀 (1968) 맨발의 영광 (1968) 수전지대 (1968) 시발점 (1969) 아무리 미워도 (1969) 봄 봄 (1969) 석녀 (1969) 추격자 (1969) 주차장 (1969)) <1970년대 이후작품> 신부일기 (1970) 청춘무정 (1970) 저 것이 서울의 하늘이다 (1970) 설원의 정 (1970) 위자료 (1971) 미스 리 (1971) 작은 꿈이 꽃필 때 (1972) 딸부자집 (1973) 일요일의 손님들 (1973) 토지 (1974) 본능 (1974) 극락조 (1975) 내일은 진실 (1975) 황토 (1975) 내 사랑 에레나 (1976) 가위 바위 보 (1976) 내 마음의 풍차 (1976) 야행 (1977) 산불(1977) 화려한 외출 (1977) 망명의 늪 (1978) 웃음소리 (1978) 여수 (1978) 빨주노초파남보 (1979) 달려라 만석아 (1979) 사랑의 조건 (1979) 물보라 (1980) 하얀 미소 (1980) 도시로 간 처녀 (1981) 만추 (1981) 저녁에 우는 새 (1982) 삐에로와 국화 (1982)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84) 중광의 허튼소리 (1986) 침향 (1999)
리뷰
*작품해설 김수용 감독의 <토지>는 한국의 여류 소설가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의 초반부를 영화화한 것이다. 현대소설 중 가장 손꼽히는 문학작품으로 평가받는 <토지>는 1890년대부터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를 무대로 시작된다. 장장 5대에 걸친 대지주의 가족사를 중심으로 대지주의 몰락과 근대화 그리고 일제치하 아래서 민초들의 강한 생명력을 그리고 있는 대하소설 중의 대하소설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이다. *평론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일부만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대하드라마의 스펙타클이 빠지기 쉬운 함정을 미리 피하면서 등장인물의 상호관계, 섬세한 연기표현, 철저한 고증으로 완성도 높이기에 주력하였다. (<映畵藝術>, 이영일, 1989)
수상내역
제13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김지미), 녹음상(한양), 여우조연상(도금봉) 제13회 파나마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김지미)
이미지
관련도서
<토지>, 박경리, 나남, 2002
연계정보
-갯마을
-저 하늘에도 슬픔이
-혈맥
-유정
-만선
-사격장의 아이들
-산불
-안개
-야행
-화려한 외출
관련사이트
한국영상자료원_종합영상정보
관련멀티미디어(전체18건)
이미지 18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