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사격장의 아이들

출연/스태프
*출연 김지미, 허장강, 방수일, 주증녀, 황정순, 김동원, 정애란, 박금녀, 이종철, 임해림, 황인철, 최무웅, 권오상, 최병철, 박광진 *스태프 제작/성동호, 기획/호현찬, 감독/김수용, 각본/장재화, 촬영/홍동혁, 조명/손영철, 음악/정윤주, 미술/노인택, 편집/유재원
내용
휴전선의 어느 작은 마을 부근에 국군들의 사격장이 있다. 이 마을 아이들은 가난한 집안 살림에 도움을 주고자 탄피를 모아서 생계를 돕는다. 그런 가난한 마을에 지영이는 국민학교 선생님으로 부임한다. 지영은 순진하고 꿈 많은 어린이들을 위해 정열과 성의를 다한다. 마침내 무지몽매하던 어른들까지도 선도하여 모두 새로운 마을을 이룩하는 대열에 참여하게 한다.
예술가(감독)
*김수용(1929~ ) 1951년 군에 입대(육군중위 통역장교)하고, 1954년 국방부 영화과에 배속되어 군 홍보, 교육영화를 감독하게 되었으며, 20여 편의 단편을 통해 연출 수업을 끝내고 1958년 극영화 <공처가>로 감독 데뷔, 60년대부터 전성기를 맞았다. 1960년대 ‘한국의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란 별명을 들을 정도로 한국영화 형식에 새로운 지평을 도입한 장본인. 60, 70년대 그가 만들었던 영화들은 시대의 긴장을 이겨내는 생기와 재기, 창의성이 살아 숨쉰다. 오영수의 원작을 바탕으로 한 <갯마을>(1960),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원작으로 한 <안개>(1967), 차범석의 희곡을 영화로 만든 <산불>(1967) 등을 비롯해 김유정, 김동리 등 한국 소설가의 작품이 그의 카메라에 담아졌다. 1987년 <중광의 허튼소리>를 발표한 후 활동을 중단했다가 일본자본으로 만든 <사랑의 묵시록>(1995) 이후 저 예산으로 <침향>(1999)을 연출했다. 제6회 대종상 감독상 <안개>, 제13회 대종상 감독상 <토지>, 제2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감독상 <갯마을>, 제15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감독상 <사랑의 조건>, 제14회 아시아영화제 감독상 <안개> 수상 등의 경력이 있다.
작품정보
<1950년~1969년 작품> 공처가 (恐妻家 ,1958) 애상 (1959) 삼인의 신부 (1959) 청춘배달 (靑春配達 ,1959) 돌아온 사나이 (1960) 버림받은 천사 (1960) 구봉서의 벼락 부자 (1961) 일편단심 (1961) 사춘기여 안녕 (1962) 부라보 청춘 (1962) 손오공 (1962) 대지여 말해다오 (1962) 돈바람 님바람 (1963) 청춘교실 (1963) 약혼녀 (1963) 내 아내가 최고야 (1963) 굴비 (1963) 월급봉투 (1964) 여자 19세 (1964) 위험한 육체 (1964) 아편전쟁 (1964) 니가 잘나 일색이냐 (1964) 갯마을 (1965)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65) 날개 부인 (1965) 막내딸 (1965) 상속자 (1965) 적자인생 (1965) 제3의 운명 (1965) 유정 (1966) (1966) 잘 있거라 일본 땅 (1966) 길 잃은 철새 (1967) 까치소리 (1967) 안개 (1967) 애인 (1967) 만선 (1967) 어느 여배우의 고백 (1967) 고발 (1967) 빙점 (1967) 사격장의 아이들 (1967) 산불 (1967) 춘향 (1968) 동경특파원 (1968) 순애보 (1968) 분녀 (1968) 맨발의 영광 (1968) 수전지대 (1968) 시발점 (1969) 아무리 미워도 (1969) 봄 봄 (1969) 석녀 (1969) 추격자 (1969) 주차장 (1969)) <1970년대 이후작품> 신부일기 (1970) 청춘무정 (1970) 저 것이 서울의 하늘이다 (1970) 설원의 정 (1970) 위자료 (1971) 미스 리 (1971) 작은 꿈이 꽃필 때 (1972) 딸부자집 (1973) 일요일의 손님들 (1973) 토지 (1974) 본능 (1974) 극락조 (1975) 내일은 진실 (1975) 황토 (1975) 내 사랑 에레나 (1976) 가위 바위 보 (1976) 내 마음의 풍차 (1976) 야행 (1977) 산불(1977) 화려한 외출 (1977) 망명의 늪 (1978) 웃음소리 (1978) 여수 (1978) 빨주노초파남보 (1979) 달려라 만석아 (1979) 사랑의 조건 (1979) 물보라 (1980) 하얀 미소 (1980) 도시로 간 처녀 (1981) 만추 (1981) 저녁에 우는 새 (1982) 삐에로와 국화 (1982)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84) 중광의 허튼소리 (1986) 침향 (1999)
리뷰
*작품해설 6·25 직후 휴전선 부근의 작은 마을을 무대로 어른들의 무관심 속에 버려진 아이들의 비극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전쟁의 잔학성을 고발한 작품이다. *평론 6·25 직후의 암울했던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어른들의 무관심과 학대 속에 버려진 어린이들이 겪어야 했던 비극을 사실적인 기법으로 묘사하고 있다. 감독은 비극의 원인을 6·25에서 찾고 있지만 그 같은 현실을 극복하고 새로운 의욕으로 미래를 설계해야 할 것이라는 교육적 메시지를 표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곧 당시의 일반적 사회현실에 대한 계몽적 성격을 보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영화는 계몽적 성격을 보이면서도, 사격장 주변에서 목숨을 걸고 탄피를 주우러 다니는 어린이들의 절망적인 모습을 통해 영화 속의 어린이 들이 겪는 고통은 바로 전쟁이 만든 비극이며, 전쟁의 상징이랄 수 있는 탄피로 생계를 잇는다는 극단적 대조를 통해 전쟁의 잔학성에 대한 강렬한 고발을 하고 있다. (<한국영화 70년 대표작 200선>, 조희문, 1989)
이미지
영상자료
연계정보
-갯마을
-저 하늘에도 슬픔이
-혈맥
-유정
-만선
-산불
-안개
-토지
-야행
-화려한 외출
관련사이트
한국영상자료원_종합영상정보
관련사이트
필름2.0 DB_사격장의 아이들
관련멀티미디어(전체10건)
이미지 10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