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벚꽃동산(Vishnyovyi sad)

작가소개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Anton Pavlovich Chekhov, 1860~1904) 러시아 소설가, 극작가. 타칸로크 출생. 단편소설과 중편, 산문 등에서 사회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문학세계를 이루었고 근대연극에서 기분극(氣分劇)의 창시자로서도 잘 알려져 있다. 16세 때 아버지의 파산으로 고학하며 1879년 모스크바대학 의학부에 입학하였다. 재학 중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오락잡지와 신문에 ‘안토샤 체혼테’라는 필명으로 7년간 400편 이상의 단편소설과 콩트를 기고하였다. 1884년 첫 번째 단편집 <비극의 여신 설화>를 출판하였다. 이들 초기작품에서는 다양한 작풍을 보였으나 대부분 인생을 있는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무사상적·인상주의적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대학 졸업 후 의사로 있을 때인 1886년 작가 그리고로비치로부터 재능을 낭비하지 말라는 충고의 편지를 받고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하였다. 1888년에 단편소설집 <황혼>(1887)으로 푸슈킨상을 받았으며 희곡 <이바노프>(1887), 소설 <광야>(1888)와 <등불>(1888), <지루한 이야기>(1889) 등을 본명으로 발표하면서 문학가로서 확고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이 무렵부터 객관적인 문학론을 주장하며 재판관이 아닌 사실의 객관적 증인이 되는 것이 작가의 과제라고 보았다. 또한 톨스토이와 스토아학파 철학자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에서 받은 영향이 <지루한 이야기> 이후의 작품에 나타났다. 특히 이 작품은 노년에 들어서도 자신의 인생을 가지지 못한 어느 퇴직 노교수의 절망을 그린 것으로 작가의 심리상태가 반영된 작품이다. 그는 이 작품에서 시대적 요구였던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확고한 이념 대신 ‘나에게는 사상이나 감정을 통일하는 공통이념이 없다’고 주인공을 통해 대답하였다. 1890년 악화된 폐결핵을 무릅쓰고 제정러시아의 감옥실태를 조사하고 정신적인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죄수들의 유형지인 사할린으로 여행하였다. 여행에서 돌아와 여행결과를 담은 탐방문학 <사할린섬>(1895)을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그 뒤부터 민중의 생활을 직접 목격하고 지식인의 무력함을 통감하여 현실사회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톨스토이즘이나 스토아철학의 영향에 의한 금욕적·자폐증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 본연의 모습을 인정하기 위하여 인간성 해방에 눈을 돌렸다. 1892년 발표한 <6호실>은 현실개혁의 허무함을 깨닫고 모든 것에 무관심해져 정신병자와 얘기하던 중 자신까지 쇠창살에 갇힌다는 내용인데, 전제정치 아래 러시아와 지식인의 운명을 암시하는 작품으로서 감옥에서의 잔혹행위에 대한 저항의식을 불어넣었으며, 1880년∼90년 초 체호프의 비판적 리얼리즘을 가장 잘 표현한 작품이다. <다락이 있는 이층집>(1896)에서는 농민에게 문학을 가르치고 진료소를 만들어 주는 일 등으로 민중생활을 향상시키려는 딸 리자와 현실개혁은 일시에 해야 함을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무기력한 어느 화가와의 대화를 통하여 공론(空論)뿐인 19세기 러시아 지식인을 비판하였다. 이 밖에도 톨스토이즘을 비판한 <나의 인생>(1896)과 농민생활의 비극을 그린 <농군들>(1897), <골짜기>(1899) 등의 농촌소설이 있다. 또한 현실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자신도 모르게 자본의 노예가 되어가는 청년의 고뇌를 그린 <3년>(1894)도 사회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 작품으로 체호프가 세기말 러시아를 휩쓴 자본주의의 필연성과 본질을 바르게 이해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사할린 여행으로 건강이 악화되자 1892년 모스크바주의 멜리호보로 옮겨 창작을 계속하면서 농민들을 무료로 진료하고 학교, 교량, 도로건설 등 사회사업도 하였다. 1899년 크림반도의 얄타로 요양지를 옮겼는데, 이 무렵 고리키, 톨스토이, 부닌 등과 친분을 맺었다. 1892년 멜리호보에서 1899년 얄타요양지로 옮겨갈 때까지는 체호프 소설의 원숙기로서 작품의 공통 주제는 타성에 젖어 목적 없이 살면서 속물화되는 인간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진실한 삶에 대한 물음이며 1890년대에 새로운 조류를 형성한 상징주의, 마르크스주의, 나로드니키와 체호프 사상 사이의 논쟁을 반영하고 있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 <결투>(1892), <이오니치>(1898), <상자에 들어간 남자>(1898) 등이 있으며 톨스토이가 격찬한 단편 <귀여운 여인>(1899)에서는 여러 번 결혼하지만 그때마다 새 남편의 의견을 그대로 추종하는 여주인공 오렝카의 삶을 통하여 가짜 인생에 대한 비판을 가하였다. 이 밖에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1899)과 원숙기에 접어든 후기작품 경향이 잘 나타난 <골짜기>(1899), <약혼자>(1902) 등이 있다. 연극에서 체호프는 인생탐구를 근본목표로 삼는 내용에 장치, 조명 등 기술적 부분을 포함한 조화로운 전면적 표현을 추구하였고 당시 연극경향을 따라 특수한 분위기를 무대 위에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분극을 창시하였다. <이바노프>(1887), <갈매기>(1896), <바냐 아저씨>(1897), <세자매>(1900∼1901), <벚꽃동산>(1903∼1904) 등은 체호프의 5대희곡으로 꼽히는데 러시아 근대 리얼리즘을 완성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들 작품은 공통적으로 후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인간의 진실한 삶을 주제로 삼았다. 특히 <갈매기>는 상연 후 혹평을 받았으나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연출로 선구적인 근대연극으로서 모스크바예술극장에서 무대화에 성공하였으며 생활 그대로의 연극과 정서를 위주로 한 연극을 추구한 작품이다. 1902년 정부가 고리키의 아카데미회원자격을 박탈하였을 때 코롤렌코와 함께 항의하는 뜻으로 아카데미회원자격을 반납하였다. 1901년 모스크바예술극장 배우 크니페르와 결혼하였고 3년 뒤 요양 중이던 독일 바덴바덴에서 병이 악화되어 44세로 죽었다. 체호프는 비판적 리얼리즘 작가로서 고골리, 코롤렌코, 푸신 등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그 영향의 흔적은 영국의 맨스필드, 울프, 미국의 헤밍웨이 등의 작품에 나타나 있다.
내용
벚나무 꽃이 활짝 핀 5월 이른 새벽, 5년 동안이나 파리에서 생활했던 라네프스카야 부인이 러시아로 돌아오는 것으로 인해 들뜬 집안 풍경으로 시작된다. 벚나무동산이 경매로 넘어가는 파산 직전에도 라네프스카야 부인은 여전히 과거의 화려한 생활을 고수하고, 그녀의 오빠 가예프는 시대의 변화와 현실의 위기를 깨닫지 못한 채 엉뚱한 소리만 되풀이한다. 신흥 사업가로 부상한 농노 출신의 로빠힌은 벚나무동산을 별장지로 임대할 것을 그들에게 끊임없이 애원하지만 그들의 한결 같은 반응은 현실 상황에 대한 몰이해뿐이다. 결국 벚나무동산은 경매에 붙여지게 된다. 경매 결과를 기다리며 벌이는 불안한 무도회는 그들 농노의 후손인 로빠힌이 이 거대한 벚나무동산의 새 주인이라는 선언과 함께 끝이 나고 만다. 불확실한 앞날을 향해 떠나는 라네프스카야 가족들을 향해 트로피모프는 러시아의 미래를 향한 힘찬 전진과 진정한 의미의 새로운 벚나무동산 건설을 외치지만, 만년 대학생인 그의 부르짖음은 공허하기만 하다. 파산한 라네프스카야 가족은 떠나고, 텅 빈 집에 홀로 남겨진 늙은 하인 피르스는 산 것 같지도 않은 그의 짧은 한평생과 자신의 존재를 향해 ‘이런 머저리’라고 내뱉는다. 모두가 떠난 무대 위에 홀로 누워 죽어 가는 피르스의 모습 뒤로 멀리 동산에서는 도끼로 벚나무 찍는 소리가 들린다.
국내공연연보
1930년 이화여고보기청문학부 / 홍해성 연출 1934년 12월 20일~23일 극예술연구회 / 조선극장 / 홍해성 연출 / 공연제목: 앵화원 1949년 동대극예술연구회 / 공연제목: 앵화원 1967년 5월 31일~6월 6일 극단 광장 / 국립극장 / 이진순 연출 1972년 10월 극단 예술극장 / 드라마센터 / 이원복 연출 / 공연제목: 버찌농장 1977년 11월 11일~17일 극단 작업 / 쎄실극장 / 김명일 연출 1999년 4월 9일~29일 서울시극단 / 세종문화회관소극장 / 전훈 연출 2001년 10월 23일~28일 극단 반딧불이 / 국립극장 별오름극장 / 임경식 연출 2005년 4월 22일~5월 15일 사다리움직임연구소 / 사다리아트센터동그라미극장 / 임도완 연출 / 공연제목: 벚나무동산
예술가
홍해성(洪海星, 1893~1957) 본명은 재원(在遠). 1920년 김우진, 조명희와 함께 극예술협회를 조직했고, 1921년 동우회순회연극단으로 <김영일의 사(死)>를 연출하여 데뷔했다.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 법과를 자퇴하고 본격적인 연극수업을 위해 니혼대학[日本大學] 예술과를 수료했다. 일본 신극의 선구자 오사나이 가오루[小山內薰]의 제자가 되었고, 그의 소개로 일본 스키지[築地] 소극장 전속배우로 신극을 배웠다. 1929년 윤백남, 박승희 등과 경성소극장을 조직했으나 곧 해산되었다. 1930년 10월 신흥극장 조직에 참여하여 <모란등기(牡丹燈記)>를 연출했다가 실패했으나 같은 해 12월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벚꽃동산>을 연출하여 성공했다. 1931년 극예술연구회의 창립에 선배격으로 참가해 극단 공연평을 담당했고, 극예술연구회 직속 실험무대의 제1회 공연작품인 <검찰관>을 비롯해 제2·6·9회 공연의 연출을 맡았다. 1936년부터는 동양극장에 연출담당으로 들어가 활동했으며, 1956년 국립극단의 <신앙과 고향>을 연출했다. 그 밖의 연출작품은 극예술연구회의 <바보>(1933), 연극사(演劇舍)의 <개화전야(開化前夜)>, <신라의 달>, <항구의 비가>(1933), 동양극장의 <승방비곡(僧房悲曲)>(1937), <어머니의 힘>(1939) 등이다.
리뷰
(……) 어떤 작품을 상연하거나 소개할 때에 작품에 대해 충실해야 한다. 우리의 입장에서 이것을 상연하는 데는 희곡 <앵화원(櫻花園)>을 어떤 관점에서 해석해야 하는가 하는 새로운 관점이 문제이다. 홍해성 씨의 연출의도에선 귀족계급으로서의 몰락을 몰락계급으로서의 최종의 미로 표현하였으며 <앵화원>이 가진 본질적인 뉴안스를 표면적 성격이나 외적 계급대립으로 재현시키려 하였다고 본다. 트로피모프의 표현에 있어서 목가적 로맨틱한 환상 속에 공허한 부르짖음을 절규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비현실적인 로맨티시즘의 인자(因字) 속에서 앞으로 전진하는 일말의 광염이 좀더 강력하게 무대전면에 추출될 여지가 있다 하겠으며 트로피몹프와 아-냐와의 애(愛)가 단순한 분위기만이 아니라 전진하자는, 그러나 전진할 방향을 확실히 파악 못하는 면을 좀더 풍자적으로 전면에 내놓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연출자의 책임만이 아니라 연기자에게도 그 책임의 일부가 있으리라고 생각되나 특히 연출을 담당하신 홍해성 씨의 <앵화원>에 대한 이해 내지 해석이 표면적 작품의도에 급급하였기 때문에 그 작품이 가진 내재적, 적극적 면에 대한 탐구가 부족하지 않은가 한다. 스타니슬랍스키의 말에 “체홉의 희곡에 있어 내적 형상이나 내적 생활을 창조하지 않고, 표면적, 외적 형상을 연출하면서 희곡의 개요를 연출하려는 사람은 질곡에 이른다. 대체로 체홉의 희곡을 연출하려는 사람은 그의 희곡 속에 있지 아니하면, 즉 그 속에서 생활하고 존재하지 아니하면 안된다.”고 한 말이 있다. 홍해성 씨의 연출의도는 이러한 데서 체홉, 다시 말해 <앵화원> 속으로 들어가려는, 진실을 탐구하려는 진실성이 부족하다는 데 그 원인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불비(不備)한 무대조건과 조명, 기타 여러 가지 부자연한 환경에서 그만한 성과를 보았다는 것은 한 가지 홍해성 씨의 고투의 흔적을 엿볼 수 있었으며 아울러 경의를 표하고 싶었다. 연기에 있어서는 연기자 제씨의 진지한 열정적인 신극인의 태도를 볼 수가 있었다. 두냐-쌰 역 이정숙(李貞淑), 피쉬칙 역 김일영(金一英), 로파힌 역 이웅(李雄) 등 제씨가 제일 성공했다 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바-랴 역 김복진(金福鎭), 라넵스카야 부인 역 모윤숙(毛允淑), 아엡흐 역 신태선(申泰善), 피르스 역 신좌현(申左峴), 제씨와 예피호-듬 역 최영수(崔永秀), 토로피몹흐 역 이헌구(李軒求), 아-냐 역 노천명(盧天命) 등 제씨를 세울 수 있다. (……) ‘제7회 극연공연 <앵화원>을 보고’, 안영일,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출판부, 1990
관련도서
<벚꽃동산>, 안똔 빠블로비치 체호프 저, 오종우 역, 열린책들, 2004 <(체호프의)코미디와 진실>, 오종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안똔 체홉>, 문석우,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체호프 4대 희곡>, A.P.체호프 저, 권영선 역, 혜원출판사, 1995 <체호프 드라마의 웃음 세계>, 오종우, 연극과인간, 2000 <체호프 희곡전집 1~3>, 이주영 역·저, 연극과인간, 2000 <체호프와 그의 시대>, 추다꼬프 저, 강명수 역, 소명, 2004 <한국연극과 안톤 체홉>, 안숙현, 태학사, 2003
연계정보
-이진순 인물
-이진순(李眞淳)
-갈매기(Chaika)
-바냐 아저씨(Dyadya Vanya)
-세자매(Tri sestry)
관련사이트
전훈
관련사이트
애플시어터
관련멀티미디어(전체10건)
이미지 10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