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동동(動動)

개요
동동(動動) 정재의 이름은 동동사(動動詞)의 후렴에 나오는 ‘아으 동동다리’와 관련이 있다. <세종실록 권 126>, 31년(1449) 10월까지도 동동 정재로 소개되어 있는데, <악학궤범>에는 아박(牙拍)으로 그 이름이 바뀌었다. 그것은 두 손에 상아(象牙)로 만든 소형의 박(拍)을 치면서 춤춘데서 바뀌어진 것이다. 즉 원래의 이름은 가사에서 지은 것이고, 아박(牙拍)의 이름은 그 무구(舞具)에서 붙여진 것이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의 동동 기록에 따르면, “동동의 놀이는 그 가사에 송축하는 말이 많이 들어 있는데, 대체로 신선(神仙)의 말을 본따서 지은 것이다. 그러나 가사가 이속(俚俗)하여 싣지 않는다.”라고 하여 가사를 기록하지 않았다. 동동의 가사는 <악학궤범 권5>의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의 아박정재 항목에서 알 수 있다.
내용
<악학궤범(樂學軌範) 권3>의 '고려사악지 속악정재'에 기록된 동동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무대(舞隊)·악관(樂官) 및 기(妓)의 의관(衣冠)과 행차(行次)는 앞의 의례와 같다. 기(妓) 두 사람이 먼저 나가 북쪽을 향하여 좌우로 갈라서서 손을 여미어 족도하면서 절을 하고, 엎드렸다가 일어나 꿇어앉아 아박(牙拍)을 받들고 동동사(動動詞)의 첫 구를 부른다.(혹은 아박을 잡지 않기도 한다.) 여러 기(妓)들은 그에 따라 화창(和唱)하고 향악(鄕樂)은 그 곡(동동)을 연주한다. 두 기(妓)는 꿇어앉아서 아박(牙拍)을 띠 사이에 꽂고 음악 일강(一腔)이 끝나기를 기다려 서고, 음악 이강(二腔)이 끝나면 손을 여미며 무도(舞蹈)하고, 음악 삼강(三腔)이 끝나면 아박을 뽑아가지고 한 번 앞으로 나갔다가 한 번 물러나고 한 번 마주보고 한 번 등을 보이며 음악의 절차에 따라서 혹은 왼쪽으로 혹은 오른쪽으로, 혹은 무릎에 혹은 팔에 아박을 치며 무도(舞蹈)한다. 음악이 끝나기를 기다려 두 기(妓)는 앞서와 같이 손을 여미며 족도하고서 절을 하고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물러난다.
관련도서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역주, 국립국악원, 2000
연계정보
-아박무(牙拍舞)
-동동(動動)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