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한영숙 (1920.10.18~1989.10.7)

예술가명
한영숙 (1920.10.18~1989.10.7)
출생지
충북 청주
구분
중요무형문화재
문화재관련정보
1969.7.4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 인정 1971.1.8 중요무형문화재 제40호 학무 예능보유자 인정 1989.10.7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 사망해지 1989.10.7 중요무형문화재 제40호 학무 예능보유자 사망해지
학력(계보)
1931. 한성준에게 춤 사사 1933. 조선음악무용연구소 입문
생애(약력)
1920.10.18 충북 청주에서 출생 1924. 충남 홍성군 고도면 친가에서 성장 1937. 제1회 무용발표회 공연(부민관) 1940. 일본 동경의 히비야 공회당 공연 1941. 만주일대 순회공연(조선인개척단) 1942.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한영숙고전무용연구소로 개칭 <한성준 추모공연> 1946. 한영숙고전무용연구소를 개업 1955. 김소희, 박귀희, 박초월 등과 함께 한국민속예술학원 교사로 재직 1960. 한국국악예술학교 무용지도 강사 1965. 서울예술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무용과 강사 1966. 수도여자사범대학 무용과 출강 1966. 한영숙 춤 35년 기념공연(국립극장) 1971. 제2회 한영숙 춤 발표회(국립극장) 1971. 제3회 문화예술상 수상 1973. 국민훈장 동백장 서훈 1974.~1975. 수도여자사범대학 무용과 전임교수 1980. 대한민국 예술원상 수상 1983. 중앙국립극장 종신단원으로 위촉 1985. 무용대상(한국무용협회) 수상
내용
· 춤옷흰 저고리에 남색 치마를 입고 그 위에 장삼을 걸치며 홍가사 띠를 어깨에 걸친다. · 춤가락반주 음악은 피리, 대금, 해금, 장구 등 삼현육각의 악기 편성으로 되어 있고 가락은 염불에서 시작하여 잦은 염불, 타령, 잦은타령, 느린굿거리, 잦은굿거리, 굿거리, 북치기, 당악, 굿거리로 끝난다. 그런데 이애주가 기록한 무보에서는 장단 수가 염불이 35장단, 잦은 염불이 8장단, 타령이 53장난, 잦은타령이 12장단, 굿거리가 91장단, 잦은굿거리가 8장단, 굿거리가 25장단, 당악이 43장난, 굿거리 19장단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김천흥의 보고서에는 악곡의 이름도 염불, 빠른염불, 허튼타령, 빠른타령, 느린굿거리, 빠른굿거리, 당악 등으로 되어 있고 춤의 장단 수는 느린 염불이 32장단, 빠른 염불이 8장단, 느린 타령이 33장단, 빠른 타령이 8장단, 느린굿거리가 52장단, 빠른굿거리가 6장단, 느린굿거리가 15장단, 빠른굿거리가 4장단, 자진모리가 4장단, 당악이 56장단, 느린굿거리가 11장단으로 되어 있어 다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춤의 구성 악곡이나 장단수가 다름은 승무가 즉흥성을 가진 춤이기에 그러하다. · 춤의 형태주된 춤사위는 삼진삼퇴, 뿌려 여미기, 펴서 웅크리기, 팔 엎고 제치기, 모음, 몸통 비틀기, 팔 올리기, 팔 내리기, 팔 일자 펴기, 몸 돌리기, 활개펴기, 학채, 꼬리치기, 한발 들기, 퍼넘기기, 장삼 걸치기, 팔 휘돌리기, 뿌림 등이다. 한영숙춤의 특징은 모든 춤이 호흡과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춤사위의 전개에 있어서 표현의 시작이 무릎 굽히고 양손을 몸 앞에서 여민 다음 몸을 일으키면서 양손을 위로 벌려 올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밖에 한영숙 승무에서 멋있는 춤사위는 오른손으로 옆으로 펴고 왼손 장삼을 뿌려서 오른손에 걸치는 동작을 비롯하여 양손을 밑에서 옆위로 벌려 학이 날개를 펴는 것을 형용하는 동작, 왼손은 허리에 대고 오른손 장삼을 머리 위로 올려 뿌리는 동작, 양손 장삼을 몸 앞에서 감았다 위로 뿌리는 동작, 앉은 자세로 위로 올린 팔을 땅으로 누르는 동작, 제자리에서 앞으로 뿌려 몸 앞에서 여미고 서서히 위로 올리는 동작 등이 미의 극치를 이룬다. 한마디로 한영숙춤은 동작이 우아하고 섬세하며 내면성이 강하게 풍기는 춤이라 할 수 있다. - 참고 :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리뷰
명무자 한영숙의 조부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교방춤을 정립한 한성준이다. 한성준은 1874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났다. 6,7세부터 그 당시 장안에서 춤과 줄타기로 유명했던 외조부에게서 춤추기와 북치기를 배웠다. 14세 때는 춤과 재주를 배웠고 17세부터는 고수로서 인정을 받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22세부터는 굿중패, 남사당 놀이패, 당굿, 모래굿 등 놀이판을 다니면서 재주도 부려 보았지만 집안의 어려움은 나아지지가 않았다. 고난의 연속이었던 유랑생활을 청산하고 고수로서 서울에 정착하자 1906년 협률사가 해산한 후 동대문 안에 생긴 광무대에 명창 송만갑에 의해 조직된 송만갑 협률사의 일원으로서 이동백, 유공영, 허금파, 강소향 등과 같이 무대에 서게 된다. 명고수로서의 그의 생활은 상당한 재력을 갖게 되었고 북뿐만 아니라 모든 악기에 재능을 보이면서 음악뿐만 아니라 춤의 맥을 잇는데 앞장서게 된다. 그리하여 1930년에는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조직하게 됨으로써 한성준의 50년 고수 상황은 그 막을 내리게 된다. 드디어 1934년에는 한성준 조선무용연구소를 개설하여 한국의 여러 춤을 정리하여 재창조함으로써 제자들에게 교습하기 시작한 것이다. 한영숙은 조부로푸터 살풀이춤을 비롯하여 승무, 태평무, 학춤, 검무와 같은 교방춤 계열의 춤을 배운다. 그는 1937년 나이 18세에 첫 무용 발표회를 열었고 1942년에는 한성준이 세상을 떠났으므로 한성준 무용연구소를 이어서 전통춤을 여러 제자들에게 가르침으로써 한성준류의 춤이 오늘에 이어지게 된 것이다. 한성준의 춤을 이어 온 한영숙의 승무는 나름대로 춤에 법도가 있으며 내보일 것만 내보이는 아주 절제된 중도의 춤이라 할 수 있다. -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연계정보
관련사이트관련가치정보
연계정보
-승무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한영숙 (1920.10.18~1989.10.7)
관련사이트
벽사춤아카데미
관련사이트
디자인클래스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