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털
검색
검색어
검색
이전
정지
재생
다음
전체메뉴
전체메뉴 펼쳐보기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문화릴레이티켓
문화캘린더
문화공간·단체
문화 취약계층
장애인 문화정보
문화소외계층 문화정보
문화공감
문화TV
문화 디지털 영상
문화영상
유네스코 등재유산
한국문화100
기관별영상
문화인터뷰
공감마당
공감리포트
카드뉴스
문화마루
문화SNS 지도
웹진
문화지식
문화자료관
전통문양
디자인문양
형태별문양
용도별문양
활용디자인
전통문양특별전
3D프린팅콘텐츠
전통문양활용
문양의 이해
전통문양사용방법
예술지식백과
실감형 콘텐츠
문화정보분석
문화정보 데이터분석
예술,관광 지도매핑 서비스
문화알리미
문화지원사업 통합서비스
문화지원사업
보조금지원사업
문화지원사업 캘린더
문화지원사업 통계
민원행정서비스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
문화초대이벤트
문화포털API
공지사항
기타
이용안내
사이트소개
자주찾는질문
서비스문의
마이페이지
개인정보수정
나의게시물
이벤트
English
문화홍보등록
챗봇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문화릴레이티켓
문화캘린더
문화공간·단체
문화 취약계층
문화공감
문화TV
공감마당
문화SNS 지도
웹진
문화지식
문화자료관
전통문양
예술지식백과
실감형 콘텐츠
문화정보분석
문화알리미
문화지원사업 통합서비스
민원행정서비스
채용·자원봉사 모집
정책뉴스
문화초대이벤트
문화포털API
공지사항
로그인
메뉴펼쳐보기
공감리포트
문화영상
카드뉴스
웹진
문화SNS지도
문화마루 게시판
문화정보분석
문화N티켓
티켓 예매 발권 서비스
문화후기
관람 후기 공유
홈
문화공감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문화영상 (국내외 문화영상)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톡
주소복사
인쇄
국내외문화영상
문화TV
한국문화100
문화직업30
인문학강연
국내외 문화PD가 제작한 쉽고 재미있는 문화영상을 즐겨보세요.
▶
7:02
(문화PD) 동화책? 없으면 만들면 되지
소율아 삼촌 집에 동화책이 없는데 같이 만들어볼래..? AI와 함께, 아이가 직접 만드는 자기만족 동화! 초보 삼촌이 직접 조카와 함께 AI로 동화를 만들어봤습니다! 이번 주말 AI로 스마트한 육아 어떤가요?!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본 콘텐츠에 사용된 음원은 SUNO를 통해 제작하였습니다. - 사용 폰트 HY신명조 - 나눔의 집, (주)붉다(무료)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나눔고딕 - 방일영문화재단(무료)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학교안심 돌담 - 을유문화사(무료) *기관 및 상업적 이용 가능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의 일부는 생성형 AI CHAT GPT, FLOW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어 누나, 왜? 야 너 오늘 소율이 좀 놀아줘 유튜브에서 뭐 틀어주면 돼? 아니 애니메이션 말고 동화책좀 읽어줘 잘부탁해 너만믿는다? 아니 누나 우리집에 소율이가 읽을 책이 없어... 누나.. 누나! AI로도 만들 수 있나? 안녕하십니까 문화PD23기 박경준입니다! 오늘 누나가 조카를 맡기고 가서 AI로 동화를 한번 만들어 볼건데요 긴말 필요없죠? 윤소율님 모셔보겠습니다 소율아 자기소개해줘 안녕하세요 저는 윤소율입니다 7쌀이져 소율이 오늘 삼촌이랑 뭐하기로 했지? 동화만들기 UHM..컴퓨터에 들어있는 얘,,라고 했쟈나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늘 AI랑 소율이랑 함께 동화 만들어볼건게요 소율아 준비 됐어? ㄴㅔ ~! ㄴ ㅔ ~ ! 하나 둘 셋 출발!! AI한테 말을 걸어보자 챗 GPT야 오늘 소율이랑 동화 만들건데 도와줄 수 있니? 그럼~ 소율이가 동화 만들어줄 수 있게 자연스럽게 이어주고 재밌는 선택지도 만들어 준데 그냥 이렇게 아예 글씨가 만들어져서 이러케 나오넹 응응! 맞아맞아! 우리처음에 인물부터 정해볼까? 인물,,,누구로 할까? 소율이로 할까? ㄴㅔ! 소율이 주인공으로 할까? ㄴㅔ! 소율이는 어떤 여행을 하고 싶어? 소율이는 공주가 되고 싶어? 탐험대가 되고싶ㅇ... 탐험대!! 윤소율 탐험대?! 옛날 옛적에 소율 탐험대에 소율 대원 소율대원이 이써써요 있었어요 소율대원은 언제나 모험심 가득한 용감한 탐험가였어요 어느날 성에서 숲너머에 숨겨진 놀라운 보물이 있다는 소문을 들었어요 그래서 소율대원은 작은 가방을 매고 신나는 마음으로 마법의 숲을 향해 떠났습니다 그다음 어떤 일이 일어나면 좋겠어? 공룡들이 나타나서,, 공룡?! 공룡이 나타났으면 좋겠어? ㄴㅔ! 그러면 공룡이 나타나는 상황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줘 좋다~좋아~! 소율대원이 숲 속 깊은 길을 따라 걷고 있는데 갑자기 땅이..! 쿵!쿵!울리기 시작했어요.. 커다란 나뭇잎이 흔들리고 숲 속 동물들이 놀라 도망쳤지요 이게 무슨 소리지? 소율대원이 주위를 살피는 순간 커다란 그림자가 나타났어요! 그림자의 주인공은 바로...공룡이였답니다~! 한번 어떤 공룡이 나오는지 물어볼까? 어떤공룡이 나오는거야? 트리케라톱스 트리키 뿔에서 꽃과 열매를 피워내는 능력을 가진 착한공룡 브라키오사우루스 브라키 목을 하늘로 뻗어 비와 무지개를 불러오는 온화한 공룡 프테라노돈 피오 날갯짓으로 바람의 방패를 만들어 친구를 지켜주는 호기심 많은 공룡 소율이는 누구랑 같이 여행하고싶어? 프테라노돈이요~ 프테라노돈~OK~ 프테라노돈이 나타났어! 낯선 탐험가가 왔군.. 너의 목적은 무엇이지? 하고 묻는듯한 눈빛을 보냈어요 소율대원은 깜짝! 놀랐지만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피오를 바라봤지요 뭐라 하지? 뭘 줄까? 먹이 같은 거 프테라노돈이 잘먹는건 물고기잖아요 그러면 물고기를 주며 친해지자고 했어요 한 천마리나 백마리?? 나도 모르겠네.. 어! 소율아..! 피오는 커다란 부리로 물고기를 받아먹더니 반짝이는 눈으로 소율대원을 바라봤어요! 이렇게? 이렇게~ㅋㅎㅋㅎㅋㅎㅋㅎ 너 꽤 마음에 드는구나! 금세(오타 발생) 친구가 되어 함께 모험을 떠나기로했어요 하늘을 나는 피오는 앞장서서 길을 안내했고 소율대원은 지도와 나침반을 보며 따라갔지요 그러다 갑자기 땅이 크게 흔들리며 먼지가 일어났습니다 쿵쿵쿵 거..대..한....발 모르겠다 쿵! 쿵! 쿵! 거대한 발자국 소리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었어요 고개를 돌리니 공룡이 나타나는걸로 할까?! ㄴㅔ! 무시무시한 공룡이 있었어요~ 무슨 공룡이 나을까 이번엔? UHM.. 브라키오사우르스는 땅에서 사는데 브라키오사우르스를 선택할게요 그 공룡은.. 브라키오였어요~! 재미따ㅎㅎ 거대한 그림자가 드리우더니.. 바로 어둠 브라키오가 나타났어요 브라키오사우르스가 목을 하늘 높이 뻗자 숲위의 햇빛이 가려지고 갑자기 어둠이 내려앉았지요.. 감히 내 숲을 지나가려하다니!브라키오의 우렁찬 목소리가 울려퍼졌습니다 소율대원과 피오는 두려움에 떨었지만 눈빛을 교환하며 맞설 준비를 했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 선택지를 쥬라하까?! 선택지를 줘? 첫 번째, 맛있는 열매를 건네준다 두 번째, 노래를 불러준다 세 번째, 도움의 약속을 한다 먹이를 준다, 1번 브라키오는 커다란 (오타 발생) 으로 열매를 조심스레 받아먹었어요 이 작은 탐험대원이 내게 이런걸 주다니.. 하며 눈빛이 한결 부드러워졌지요 마침내 브라키오는 미소짓듯 고개를 끄덕이며 소율대원의 친구가 되기로 했답니다! 이제 우리는 언제나 함께 지켜줄 수 있어!! 소율대원이 외쳤습니다! 그 순간부터 세친구는 숲의 수호자로 불리며 모두가 믿는 용감한 탐험대가 되었답니다~! 우리가 오늘 적은 동화야! 이게 다.. 오늘 적은 동화인데 완전 글씨가 마나 소율이 오늘 어땠어? 신나고 재밌었어요 AI 어땠어 오늘 도와줘서 고마워 AI가 소율이한테 또 말했다 나야말로 같이 멋진 동화를 만들어서 너무 즐거웠어 다음에 또 새로운 모험이나 이야기를 만들고 싶을 때 언제든 불러달라네?! 소율이 다음에도 같이 이야기 만들어볼까? 누나~소율이 AI로 동화만드는거 엄청좋아하네 누나도 다음에 한번해봐!
관리자
조회수: 233
▶
5:05
(문화PD) 디지털 시대, 과거와 현재를 영원히 이을 단 하나의 기록법 ? 디지털 아카이빙
기록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 역사와 우리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문서로 이루어져 있어 세월에 흐릿해져 버린다면 그 연결고리를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 우리는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하여 과거와 현재를 영원히 잇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하려 합니다. 부산 민주화 역사의 기억 공간인 민주공원과 민주공원만의 웹 아카이빙 사이트를 살펴보며 디지털 아카이빙만의 기록 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고지사항 - 사용음원 국악 배경음악 #143, #142, #50 by 주식회사 아이티앤, 공유마당 제공, CC BY - 사용 폰트 나눔고딕, 상상토끼 정묵바위, 조선100년체, 태백체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민주공원의 민주주의 아카이브의 자료를 일부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민주공원의 촬영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공공누리 제 1유형에 따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대본) 선언문 이제 우리는 대동단결 해야 할 것이다. 80년 5월 광주민중항쟁의 그 꿋꿋한 정신을 계승하여 온 국민의 힘과 뜻을 하나로 뭉쳐야 한다. 1987년 대한민국에 울려퍼진 민주화를 향한 외침이 담긴 이 기록은 오늘날 우리에게 연결되어 민주화의 길을 증언하고 있습니다. 그 시대의 신문과 수기에 담긴 이 외침이 세월에 바래져 버린다면 흐릿해져 알아볼 수 없게 된다면 그 연결고리는 사라지게됩니다. 우리는 이제 신기술과 만난 디지털 아카이빙으로 과거와 현재를 영원히 연결하려 합니다. 오늘은 민주화 역사의 기억 공간인 부산민주공원에서 연결의 열쇠인 디지털 아카이빙의 기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민주공원은 1999년 민주항쟁기념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을 했으며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의 가치를 인정받아 민주주의 기록관이라는 이름으로 분관을 개관하게 될 예정입니다.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들은 약 5만 6천 건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진이라던지 필름,행정박물, 민중미술을 굉장히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약 1000여 점 정도 보유하고 있고 관련된 전시나 학술대회 등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신기술과 만나 새로워진 디지털 아카이빙 기록이 웹 아카이빙 사이트에서 시대와 우리를 연결해 주고있습니다. 디지털 아카이빙이란 물리적 형태의 기록물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장기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록물은 온도,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적정 온도를 꾸준하게 유지하여 통제해서 관리해야 합니다. 디지털 아카이빙은 이러한 기록물들을 안전하게 장기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한 것입니다. 기록물의 메타 값을 추출하면 스캔 작업을 통해서 이미지와 내용을 시스템에 탑재합니다.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이용자들의) 검색과 이를 콘텐츠 등에 활용할 수 있게 만들고 있습니다. 최근의 기록 관리 추세는 관리나 보존의 영역에서 벗어나 기록의 정보를 활용하고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기존에 저희 기관은 기록 열람에 있어 전화예약을 통해서나 직접 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용자들이 쉽게 기록물을 접하기 어려운 실정이었습니다. 민주공원의 위치가 보수산 꼭대기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지리적 특성도 지니고 있습니다.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원문을 그대로 볼 수 있도록 (웹 아카이빙 사이트를) 구축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신기술을 통해 오프라인 공간에 마련된 QR 셀프 참배 시스템을 통해 희생된 영혼과 그 시대의 정신을 함께 나눌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넘어 이제 우리는 아카이빙에 참여하여 시대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민주공원은 시민들의 기록을 수집해서 관리 하고자 합니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은 사소한 개인의 기억과 기록도 훗날 기념이 될 수 있습니다.기록이 생산되었던 맥락을 통해 우리는 당시의 시대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과거와 현재를 한층 더 가깝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분류체계와 DB구축을 통해서 이용자들이 좀 더 쉽게 기록물에 접근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빙 할 예정입니다. 참여의 손길과 기록을 지키기 위한 노력으로 민주공원에는 약 5만6천건의 기록이 모였습니다. 이 기록들은 시대, 키워드, 기록 유형에 따라 검색이 가능해져 잠들어 있던 기록들까지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디지털 아카이빙을 통해서 보존서고에 묻혀만 있었던 기록물들이 세상 밖으로 나와 새로운 가치를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가 아주 사소하다고 생각하는 개인의 메모나 일기장도 매우 중요한 기록물임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기록은 과거의 기억을 넘어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미래세대에 연결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기록은 디지털 아카이빙을 통해서 미래세대에게 전달되며 역사연구, 교육 자료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꼭 전달 되어야 했지만 기록을 잃어 연결되지 않은 시대가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진작 발견되었어야할 시대가 어딘가에 잠들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앞으로 기록될 모든 시대는 우리의 손길로 완성한 디지털 아카이빙 속에서 영원히 보존되어 끝없이 이어질 것입니다.
관리자
조회수: 698
▶
4:54
(문화PD) 얼마나 똑같을까 ? - 직접 골라가는 메타버스 도서관
전주에는 정말 많은 도서관이 있지만, 일일이 방문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데요. 이제는 전주 도서관 여행 앱을 통해 메타버스에서 나에게 딱 맞는 도서관을 미리 경험하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메타버스 도서관 앱으로 연화정도서관, 다가여행자도서관, 책기둥도서관을 직접 탐방해 보고, 그중 선택한 책기둥도서관을 실제로 방문하여 메타버스의 구현도를 비교해 보았는데요. 과연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은 얼마나 똑같을까요?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본 저작물은 무료음원을 이용하였습니다. - BGM ?Track - Funky Hip Hop Music by viosteffa from Pixabay ?Track - Cocktail Music by music_for_video from Pixabay ?Track - Rock Beat Trailer_Transient Music by Yurii Semchyshyn from Pixabay - 사용 폰트 210 콤퓨타세탁 210 오늘은 강원튼튼교육체 (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도서관여행앱의 자료를 일부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책기둥도서관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전라북도에는 정말 많은 도서관들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찾아보기에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번거로운데요, 이제는 메타버스 앱으로 나만의 도서관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전주시의 도서관여행 앱은 실제로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사전 정보, 도서관의 공간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데요, 이 서비스들을 활용해 저만의 도서관을 찾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후보. 연화정도서관입니다. 한 눈에 봐도 한옥의 고즈넉한 분위기가 느껴지는데요, 혼자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과 여러명이 앉을 수 있는 큰 테이블도 있네요. 이런 도서관의 소품들을 보니 전통스러운 도서관의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우측으로 보이는 물음표는 체험형 서비스입니다. 저는 맞춤법 게임에 참여해보았는데요,이 뿐만 아니라 투호 던지기, 숨바꼭질, 민화그리기 등이 있어 공간을 지루할 틈 없이 탐방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도서관은 다가여행자도서관입니다 입장하자마자 세계지도와 지구본 소품이 보이는데요, 역시 여행자들을 위한 도서관 의 느낌이 납니다. 이곳은 앉아서 편하게 책을 볼 수 있는 곳으로 보이고, 공간도 조금 더 넓습니다 도서관의 지하로 내려가보면, 쪽지들이 붙어있는 벽이 보입니다. 이미 많은 이용자분들이 쪽지를 남겨놓고 갔는데요, 저도 하나 남겨봤습니다 마지막 도서관은 책기둥도서관 인데요, 이 곳은 전주시청의 로비와 연결된 도서관으로 한 눈에 봐도 많은 서적과 높은 층고가 느껴집니다. 왼쪽으로는 좌식 열람공간, 오른쪽으로는 복층 계단이 있습니다. 저는 책기둥도서관 팻말과 문구가 눈에 띄었습니다. 과연 실제에서도 같은 문구가 적혀있을까요? 제가 고른 도서관은 바로 책기둥 도서관입니다! 메타버스에서 체험한 책기둥도서관의 높은 층고와 많은 서적에 반해 고르게 되었는데요, 앱에서 관공서와 연결됐다는 정보도 얻었기 때문에 이색적인 도서관을 경험해보고 싶었습니다. 메타버스로 고른 도서관은 어 떨지, 같이 들어가보실까요? 메타버스에서 본 높은 층고와 많은 서적이 보였습니다. 메타버스와 똑같이 왼쪽으로는 좌식 공간, 오른쪽에는 복층 계단이 보였습니다. 한쪽으로는 메타버스에서는 보지 못했던 시청의 간판도 보였습니다. 책기둥도서관 팻말의 모양과 그 뒤로 벽에 쓰여있는 문장까지 같아 구현도에 다시 한 번 놀랐습니다. 2층의 모습도 메타버스 공간과 정말 유사했습니다. 복층 모습을 보니 마치 한 번 와본 것 같은 친숙함까지 들었습니다. 2층에서 보이는 전등과 엽서 적는 곳 등을 메타버스에 모두 구현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메타버스로 사전 답사하고 고른 도서관을 방문해보았는데요, 이용하면서 느낀 도서관의 분위기, 공간 등이 사전 체험했을 때와 거의 똑같아 매우 만족했습니다. 현실과 가상공간의 융합이 무궁무진한 현재, 이제 여러분도 메타버스에서 나만의 도서관을 찾아보세요!
관리자
조회수: 679
▶
2:56
(문화PD) 격차 없는 디지털 신기술을 위하여, 부산 디지털 체험존
디지털 신기술의 발전 만큼이나 발생하는 디지털 격차, 부산광역시 부산역에 위치한 부산 디지털 체험 존에서는 키오스크 및 디지털 신기술에 대한 경험이 가능하다. 부산 디지털 체험 존을 통해서 다양한 세대가 격차 없이 디지털 신기술을 경험 할 수 있도록 방문해 보았다.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Steven Beddall - Ill Be Fine - Instrumental version - 사용 폰트 210 옴니고딕 - Adobe Fonts 라이브러리 (개인 및 상업적 용도 사용가능, 2025년 9월 해당 라이센스 정책 확인) (대본) 문화PD 김태민 디지털 대전환의 가속화 시대 다양한 편리성과 새로운 경험을 느끼며 우리는 일상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디지털 시대의 격차 또한 커지고 있죠 누군가는 이러한 디지털 가속화 시대에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디지털 가속화 격차를 없애기 위해 체험하고 교육받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대학생 마호영 디지털 신기술 참 어려운 것 같아요 저 같은 20대에게는 VR, AR, AI, 미디어월 등 다양한 신기술을 다양한 경로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데 부모님만 보더라도 아직까지 키오스크 쓰는 것도 어려워하시거든요 디지털 신기술을 어려워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디지털 체험존을 방문해 봤습니다 문화PD 김태민 부산광역시 부산역에 위치한 디지털 체험존은 디지털 가속화로 디지털 격차에서 오는 사회, 경제적 불균형을 막기 위해 상시 체험 부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부산 디지털 체험존 이곳에서 우리는 어떤 체험을 할 수 있을까요? 대학생 마호영 처음에 갔을 때는 신기했어요 디지털 기계나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제공하는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는 체험존이잖아요 박물관이나 전시회처럼 신기술을 전시하는 곳에는 방문했었는데 교육적 기능을 제공하는 체험존은 처음이라 신기했습니다 문화PD 김태민 디지털 체험존에서는 다양한 경험이 가능합니다 키오스크를 어려워하는 연령대를 위해 직접 카드를 사용하며 교육하는 키오스크 체험 셀프 카메라로 자신을 촬영하고 AI가 캐리커처로 그려주는 캐리커처 AI 사진 VR기계를 통하여 게임을 해보며 경험하는 VR체험 건강에 관심 많은 사람들을 위한 스트레스 혈관 건강 측정 두피 건강과 자신의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스마트미러 AI와 함께 바둑, 오목을 단계별로 붙어볼 수 있는 AI 바둑로봇체험까지 현시대에서 중요한 키워드인 디지털 신기술 편리함과 다양한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지만 세대마다 디지털 신기술을 바라보는 시선은 다릅니다 디지털 체험존 그리고 관심을 통해서 디지털 신기술은 이제 친숙하고 여러 장소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 소통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관리자
조회수: 1,606
▶
4:16
(문화PD) 게임? 예술? 청소년을 위한 XR·AR 총집합 놀이터!
?? 청소년이 디지털 신기술을 직접 체험한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성북구 시립성북청소년센터 U-스페이스에서 VR 리듬게임, 디지털 드로잉, XR 스포츠 등다양한 체험을 즐기며 청소년이 표현하고 성장하는 순간을 담았습니다. ?? 기술과 문화가 만나는 현장, 지금 함께 만나보세요!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김성원에 의해 창작된 Be Free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공유마당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3680menuNo=200020 서지현에 의해 창작된 LoveMe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공유마당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3854menuNo=200020 김성원에 의해 창작된 Check the Flow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공유마당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3688menuNo=200020 - 사용 폰트 Pretendard-길형진(orioncactus)(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에스코어 드림-S-Core (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페이퍼로지-이주임,김도균 (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시립성북청소년센터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 사용 장비 ? 본 콘텐츠는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의 장비제작지원을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지금 이 장면, 미술 전시 같다고요? 하지만 이건, 단순한 아트 전시가 아닙니다. 여기선, 초대형 미디어 월 속에서 자연 영상과 함께 휴식을 취하는 것조차 하나의 문화 체험이 됩니다. 청소년을 위한, 디지털 하이브리드 문화 공간 서울 성북구 시립성북청소년센터 안에 자리한 이곳, 청소년을 위한 미래형 문화 체험 공간, U-스페이스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장비와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미래 기술에 친숙해질 수 있는 디지털 놀이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시립성북청소년센터에서 4층 U-스페이스랑 미디어를 담당하고 있는 김태연이라고 합니다. 디지털 기술을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는 공간이고요. 4차 산업기술이라고 흔히 말하잖아요. 그런 기술들을 아이들이 재미있게, 편하게 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곳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일 안쪽 공간에 미디어월이 있어요. 미디어 아트 월은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플레이 할 수 있어서 터치 게임을 한다던가 아니면 움직이는 3D 영상, 디지털 영상을 조금 더 현실감 있게 즐기고 체험해 볼 수 있는 그런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미디어 아트 월에서는 직접 화면을 터치하며 즐길 수 있는 인터랙티브 게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휴(休) 스테이 공간에서는 스마트폰 없이 머물며 무더운 여름의 열기를 식히는 방문객들도 있습니다. 한쪽에는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VR게임 존이 있는데요. 기기를 착용하면 3차원 공간에서 직접 그림을 그리는 AI 드로잉 체험도 가능합니다. 아무래도 청소년들은 같은 콘텐츠가 계속해서 반복이 되면 쉽게 지루해 할 수 있어서 저희도 매달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려고 하고 다른 것(프로그램)도 개발하려고 하고 있어요. 4차 산업기술이라고 하면 조금 어렵고 좀 거부감이 드는 게 사실이거든요. 이게 알고보면, 게임으로 재밌게 접하다 보면 그게 그렇게 어려운 기술이 아니라고 생각을 해요. 어린 아이들은 게임으로 (4차 산업기술을) 접하면서 어떻게보면 기술의 기본기를 익히게 되는거죠. 나중에 나아가서 자신의 진로를 택할 때나 아니면 공부를 할 때에도 이것이 다 밑거름이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U-스페이스는 아이들에게 (기술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 같아요. 기술과 상상이 만나면, 누구나 창작자가 됩니다. 그리고 바로 이런 공간에서 시작됩니다. 기술을 쫓아가는 것이 아닌 자신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시간. 청소년의 상상력과 가능성을 더 크게 키워주는 작은 시작 우리가 바라봐야 할 미래는 바로 이 안에 있습니다.
관리자
조회수: 1,596
전체메뉴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체육
관광
생활
총
3,622
건
검색정보 입력
전체
국내
해외
지역
7거리
볼거리
탈거리
살거리
놀거리
느낄거리
먹을거리
잠잘거리
검색
▶
4:23
[도쿄/해외문화PD] 코리안 시네마 위크 2018
제목 : 코리안 시네마 위크 2018 (BGM 시작) 내레이션] 지난 10월 26일부터 11월 1일까지, 주일한국문화원에서 ‘코리안 시네마 위크 2018’ 행사가 열렸습니다. 내레이션] 주일한국문화원에서는 동경국제영화제의 제휴기획으로서 한국 영화를 소개하는 ‘코리안 시네마 위크’를 매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올해로 18년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서는 일본에서 최초로 상영하는 [덕구], [석조저택 살인사건], [내게 남은 사랑을], [엄마의 공책]과 한국에서도 수많은 인기를 끌었던 [택시운전사], [범죄도시]를 선정하여 한국 영화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영화를 선보였습니다. 내레이션] 또한, 행사 기간 중에는 영화 [내게 남은 사랑을]의 주연을 맡은 배우 성지루 씨와 전미선 씨가 특별 게스트로 참석하여 영화에서 다룬 삶과 죽음, 가장의 노고와 가족의 소중함 등에 대해 관객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인터뷰]전미선/영화배우안녕하세요, 전미선입니다. [내게 남은 사랑을]이라는 영화는 지금 현세대에 서로 각자 바쁜 일을 하며 사는 한 가정 안에서 한 가장이 갑자기 자신의 아픈 병을 알고 혼자서 시름시름 앓다가 가족에게 나중에 얘기하게 되고, 서로 안아주고 감싸주는 그런 영화입니다. 사실은 저희 영화가 선정이 되었다고 해서 “아 정말?” 너무 좋기도 하고, 어떻게 영화를 봐주실지 너무 두렵기도 하지만, 많은 분들이 좋은 영화를 봐주셔서 사실은 설레는 마음이 더 크죠. 성지루/영화배우글쎄, 설렌다기 보다는 문화적인 차이가 어떨까, 이런 궁금함이 살짝 있고요. 공통적으로 가족간의 가슴으로 만나지는 부분들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니까 (영화로) 소통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거라고 생각해요. (한국 영화에서)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장점은 분명 있는 것 같아요. 할리우드 영화 같이 큰 자본금이나 보여지는 것들에 대한 것보다는 소재적인 것, 이야기를 끌어가는 캐릭터의 힘 같은 것은 확실히 단단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전미선/영화배우다양한 사랑이 있겠지만, 한국적인 사랑? ‘한국’하면 ‘정’이잖아요.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에 있어서 끈끈한 것 같아요. 그래서 그 끈끈함을 오히려 더 영화적으로 표현을 많이 하는 것 같아요. (한국 영화의 힘은) 정이 돈독한 사랑인 것 같아요. 그래서 좀 다르다고나 할까? 성지루/영화배우그러한 사랑이 있기 때문에 더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고 그 이름에 맞게끔 배우의 힘이 자꾸 샘솟는 것 같아요. 더 많은 발전이 있을 수 있게 관심 가져주시고 박수 쳐주십시오. 전미선/영화배우어딘가에서 지금 힘들게 지금 이 현세대를 잘 살아가고 계시는 가장분들, 나의 아버지가 될 수도 있고 나의 남편이 될 수도 있고 나의 자식이 될 수도 있잖아요. 그런 분들에게 ‘힘을 내셨으면’ 하는 마음을 다 나눠주셨으면 좋겠어요. 성지루/영화배우한국영화를 관심 깊게 봐주시고 공부를 하시고, 이걸 이해하고 싶어서 한글을 공부하시고, 전미선/영화배우저희 영화 많이 사랑해주시고, 그리고 또 재밌게 봐주시고, 또 박수 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성지루/영화배우(이러한 행사가) 정말 크게 발전되기를 진심으로 바라요. 내레이션] 이번 “코리안 시네마 위크 2018”은 관객들의 열렬한 성원 속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주일한국문화원에서는 앞으로도 한국의 다양한 문화예술을 소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서가연
조회수: 7,502
▶
3:44
20대 대학생 시인에게 묻다
서점에 가면 유독 시집이 눈에 띄는 요즘. 시는 짧지만 함축적인 글이기 때문에, 시구 하나하나를 곱씹으며 나와 나의 감정을 글에 투영하고, 시인의 말에 공감할 수 있다. 이처럼 짧지만 강력한 글로 사람들에게 다양한 의미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시를 ‘쓰는 사람’, 즉 ‘시인’은 도대체 어떤 마음을 가지고, 어떤 생각과 태도로 시를 써내려갈까? 본 영상에서는 20대 대학생에서 이름 있는 20대 독립 출판 시인으로 거듭난 강준서를 만나본다. 솔직한 인터뷰를 통해 강준서라는 작가가 어떤 생각과 과정을 거쳐 시를 쓰고, 시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는지 알아본다. 이 영상을 통해 시를 읽고 접하는 많은 사람들이, 시를 읽는 것을 넘어서서, 스스로 작가가 되어 자신만의 시선으로 글을 써보고, 또한 시를 쓰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기를 기대해 본다. ------------------------------------------------------------------------------------- 저는 글 쓰는 걸 좋아하는 학생이고 강준서라고 합니다. 독립출판을 통해서 순간을 대하는 태도라는 시집과 맑음에 대하여라는 시와 에세이가 들어간 책을 만들었구요. 네, 그렇습니다. 쓰는 이유를 물어보시면 제일 먼저 말하는 건 ‘치유’인 것 같아요. 항상. 당연히 행복한 감정만 가지고는 여러 형태의 글을 쓸 수가 없는데, 글을 어떤 감정에서 시작해서 글을 쓰든지 쓰고 나서는 되게 한결 편안해지는 느낌이 드는 것 같아요. 어디서 영감을 얻는지 언제 글을 쓰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일 많이 받는 것 같아요, 흔하게. 그런데 저는 어떤 특정한 시간을 정해 놓고 쓰는 건 아니고 그냥 생각 날 때 가장 많이 쓰는 편이고, 또 내가 많이 자극을 받아야 글이 나오는 편이에요. 저에게 영감을 주는 건 크게 자연과 인간관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가족이나 친구, 연인, 이런 사이들을 자연의 원리로 표현해내고 비유하는 것을 되게 즐겨 하는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까 영감을 자연이나 인간관계에서 받지만 그걸 따로 쓰는 게 아니라 되게 복합되어서, 맞물려서 들어가는 것 같아요. 글을 쓰는 방법은 제가 최근에 많이 하고 있는 ‘파생적 글쓰기’라고 제가 그냥 이름을 붙인건데, 그냥 말 그대로 어떤 자극을 받아들이고 그것에 대해서 파생된 나의 글을 쓰는 형식이거든요. 우리가 친구들과 대화를 하거나 아니면 영화를 보거나, 전시를 가서 보거나, 책을 봤을 때 제가 조금 더 생각해 볼 만한 것, 아니면 내가 이 주제에 대해서 써보고 싶다는 느낌이 드는 문장을 적어두거든요. 그래서 사람들이 일상에서 공감할 수 있고 그래도 한두번쯤 생각 해봤을 만한 그런 주제를 꺼내기 싶기 때문에, 이런 파생적 글쓰기를 하면 그런 게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저는 거의 이제 대부분은 SNS로 많이 소통을 하고 있고, 다른 분들도 아마 그럴 것 같아요. 그리고 감정이 순환되는 걸 느꼈거든요. 그 사람이 그 감정을 또 느낀다는 것이 감정이 돌고 도는 거잖아요. 그래서 그 분이 또 나한테 피드백을 주면 나는 그 기분을 또 잊고 있다가도 또 다시 느끼고, 그런게 너무 감사했어요. 저는 독립출판을 책을 내고 나서 깨달은 것이, 내가 어떤 걸 좋아하고 어떤 생각을 하는 사람인지 표현하는 게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을 했거든요. 왜냐하면 내가 어떤 걸 좋아하는지 표현을 했을 때, 생각 외로 훨씬 더 많은 것들이 나한테 오더라구요, 기회도 오고 사람도 오고 그런 것 같아요. 제가 과거에 그때 한 번 용기를 냈던 내가 대견 할 만큼 되게 저 개인적으로는 많은 기회들이 저에게 왔던 것 같아요.
김소진
조회수: 15,373
▶
3:18
[터키/해외문화PD] 앙카라대학부설고등학교 한국어수업
터키 앙카라대학부설고등학교 한국어수업 유은미 / 앙카라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강사‘ㅓ’ 누군가 때렸어요. ‘ㅓ‘. 맞죠?이것을 한국어로 어떻게 읽어요? ‘어’ 네 맞아요 '어'. 내레이션)지난 10월 1일 앙카라대학부설고등학교에서터키 고등학교 내 최초로 한국어수업이 시작됐습니다.지난해 터키 교육부가 한국어를 제2외국어 정규과목으로 채택한 후처음 이뤄지는 수업입니다. 인터뷰)엘탄 굑맨 / 앙카라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학과장오늘은 역사적인 날입니다.제가 29년 전에, 1989년에 한국어문학과 첫 입학생인데29년 후인 지금 고등학교에서한국어 수업이 시작된 것을 보니 너무 기쁩니다.이것은 하루이틀의 노력이 아니고한국어반 개설을 위해 5년 동안 노력해왔습니다. 내레이션)기존에 배우고 있던 독일어, 스페인어 등의 외국어를 유지하며한국어 배우기를 희망한 학생은 30여명,기존에 배우던 제2외국어를 포기하고새롭게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은 총 8명입니다.학생들은 한국과 터키어의 유사한 문법체계와한국의 발전된 경제 등의 이유로 한국어를 채택했습니다. 인터뷰)메르트 불사르오울루 / 앙카라대학교부설고등학교 학생처음에는 터키어와 한국어가 비슷한 점이 많다고 생각해서 선택했습니다.문법적으로 한국어와 비슷하고, 정말 거의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한국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과학기술, 자동차, 교육 분야 등다방면으로 발전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한국어를 배우고 싶었습니다.예전부터 배우고 싶었는데마침 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인터뷰)알다 타름 / 앙카라대학부설고등학교 학생한국어를 배우는 가장 큰 이유는한국에 있는 대학교를 가고 싶기 때문입니다. 내레이션)하지만 앞으로 한국어반을 개설할 여력이 있는 고등학교는한국어학과가 있는 대학교의 부설고등학교 3곳 정도에 불과해한국과 터키 교육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엘탄 굑맨 교수는 말합니다. 인터뷰)엘탄굑맨 / 앙카라대학교 한국어문학학과 교수한국의 2세대, 3세대들을 위해 준비된 한국어 교재는 많지만외국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재는 없습니다.한국 교육부도 그런 자료 개발을 위해터키의 한국어 교수들과 교재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같이 하고 싶습니다. 내레이션)과학적으로 우수한 언어인 한글과 건강한 한식 등점점 높아지는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만큼더 많은 지원이 필요해보입니다. 인터뷰)프나르 알툰다아 / 앙카라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이제 한국어는 학생들에게 그냥 흥미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꿈이고 미래라는 것을 느끼게 됐습니다.제 생각에 터키 내 한국어의 전망이 매우 좋다고 생각하고앞으로 많은 학교에서 많은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윤나은
조회수: 4,417
▶
2:38
[터키/해외문화PD] 문화원 개원 7주년 기념행사 주간_한-터 우정의 노래대회
내레이션)지난 10월12일 한-터 우정의 노래 대회가 열렸습니다.한국인과 터키인이 하나의 팀을 이뤄한국노래를 부르고정밀측정 노래방 기계에서 나온 점수로우열을 가립니다. 자막)Beyzanur Ceran, 박에스터) 태양 - 눈, 코, 입Iremnur Yener) 2ne1 - Come back homeEminenur Beyazkilinc, Beyza Karakus) 이하이 - 한 숨Gozdenur Sen, Bilge Bezci) 첸 - 안녕 못해 내레이션)11개의 팀, 총 22명의 참가자는 멋진 호흡을 보여줬고다른 참가자들의 노래를 들으며 흥겨워하고 박수 쳐주는 등모두가 대회 자체를 즐기는 모습이었습니다. 인터뷰)에제 올군 / 참가자오늘 대회는 상금을 타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이 시간을 즐기고 서로를 알아가기 위해 그리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이 대회에 참석했습니다.상금은 굉장했지만 못 받아도 전혀 슬프지 않았어요.무대에 올라서 즐겁게 노래를 불렸으니까그 자체로 이미 충분히 좋았습니다. 내레이션)대회 참가자들은 앞으로도 이런 대회가 많이 개최되어한국인과 터키인이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더 많아지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이옘 아셀 샨르 / 참가자너무 즐거웠습니다.한국인과 함께 할 수 있는 대회가 또 있었으면 좋겠어요.왜냐하면 많은 한국인과 무언가를 함께하고 또 친구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없기 때문에우리는 이런 행사를 통해 서로에 대해서 더 잘 알아갈 수 있습니다. 인터뷰)송승훈 SeungHoon Song / 참가자제가 4년 동안 여기 살면서 이런 대회 처음 참가해봤는데두 나라 사이에 문화교류가 되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그래서 앞으로도 이런 대회가 많이 있었으면 좋겠고오늘 잘래랑 같이 대회에 나와서 너무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내레이션)모든 노래가 끝나고 상금이 수여됐습니다.윤도현의 ‘나는 나비’를 부른 바샥 카야, 에다 카야가1등을 차지했습니다.참가자들의 뛰어난 한국어 발음과 노래 실력은우열을 가리기 어려웠고근소한 차이로 1등, 2등, 3등이 결정됐습니다.이번 대회는 한국노래로써 한국에 대한 애정을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앞으로 더 돈독해 질 한국인과 터키인의 관계를 보여줬습니다. 현장음)오늘은 노래를 불렀어요.너무 재미있었어요.화이팅!
윤나은
조회수: 4,057
▶
3:42
피란수도, 부산
일제강점기 중국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세워졌다는 사실을 흔히 아는 반면, 한국전쟁 당시 ‘부산’에 임시수도가 세워졌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한국전쟁 당시 1023일 동안 우리나라의 임시수도로서 제 역할을 해낸 부산의 그 날들을 기억한다. ------------------------------------------------------------------------------------- NARR) 대한민국 제 2의 도시이자 국내 최대의 항구도시, 부산 NARR) 부산 서구 부민동에서는 화려한 도시 부산의 이면에 있는 또 다른 역사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Title) 피란수도, 부산 NARR) 한국전쟁 당시 1023일동안 대한민국의 임시수도로서의 역할을 다해준 부산 자막) 피난시절에 부산으로 다 내려왔을 때 이 건물을 중심으로 많은 근현대 사건들이 일어났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굉장히 상징적인 공간이 되는 곳입니다 자막) 관저 건물 속에서 지금 현재 그 느낌을 살리기 위해 자막) 대통령 관저 뒤쪽에는 전시관 건물이 있습니다 자막) 이후에 2000년대에 내부 리모델링을 해서 만들었는데 NARR) 최근에는 많은 시민들이 임시수도기념관을 찾고 있습니다 INT) 직접 와서 보니까 '이런 시절이 있었구나'싶고, 어린 시절에 부모님께 듣던 것들을 잘 설명해 놓은 것 같아서(좋습니다) 자막) 상징적, 역사적 공간이기 때문에 저희가 전시나 교육, 또는 부산시 자체적으로 많은 교육이나 홍보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자막) 평화에 대한 생각들을 다시 한 번 하시고, 우리가 아픈 역사를 통해 다시 한 번 현재를 생각할 수 있길 바랍니다 자막) 치열했던 삶의 현장, 그리고 그분들의 노력으로 재건이 되고 현재의 대한민국이 있듯이 NARR) 전쟁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부산의 그 날들을 주목해보는 건 어떨까요? ------------------------------------------------------------------------------------- Staccato Water Lillies
정선형
조회수: 15,677
▶
1:34
번화가 속 청주읍성의 흔적
청주의 대표 도심 ‘ 성안길 ’ 동문터 , 서문시장 , 남문로 , 북문로 . 청주사람들은 단어만 들어도 머릿속에서 위치가 떠오르실 겁니다 . 그런데 혹시 이게 다 무슨 문을 의미하는지 알고 계시나요 ? 바로 청주 읍성의 문들입니다 . 성안길은 ' 성벽 안쪽에 자리 잡은 길 ' 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바로 청주 읍성의 성벽을 의미합니다 . 길을 걷다 보면 공원이 하나 나오는데요 , 바로 이 중앙공원에도 청주읍성의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청주읍성은 향토유적 제 14 호로 조선 시대에 군사 전투 요새인 충청도 병마절도사를 지키기 위해 쌓인 읍성이었습니다 . 임진왜란 때에는 읍성을 점령한 왜군을 의병군이 탈환한 역사적 현장이기도 합니다 . 하지만 1910 년 을사늑약과 함께 일제 강점이 시작되면서 , 대대적인 하수도 및 도로 공사가 시작됐고 , 그로 인해 성을 이루었던 돌들이 대부분 공사 자재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 그래서 성문이 있었다는 흔적으로 빗돌이 세워진 것이죠 . 또한 , 이 밖의 청주 읍성의 흔적으로는 북문 터 빗돌 맞은편에 있는 조선후기 군사 지휘소인 장대 터와 동문 터 빗돌 옆 국보 제 41 호 용두사지철당간과 옛 우물터 등이 있습니다 . 또한 , 길을 걷다 보면 청주 읍성도를 볼 수 있는데요 . 과거에서 현재까지에도 이어 온 발걸음을 잠시 멈추고 , 읍성도를 보며 그 옛날 오가는 사람으로 북적였을 성안길의 모습을 상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윤혜승
조회수: 8,918
▶
3:29
[LA/해외문화PD] 제 50회 남가주한인미술가협회 정기전
제목: [LA/해외문화PD] 남가주한인미술가협회 정기전 50회 특별 기획전내레이션. 지난 10월 19일, LA한국문화원은 제 50회 남가주한인미술가협회 정기전 특별 기획 전시회를 개최하였습니다.자막. The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proudly presented the exhibition “KAASC 50th Anniversary Commemorative Exhibition” with the Korean Artists Association of Southern California on October 19th, 2018.인터뷰. 질문. 이번 전시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Michelle Oh / President of Korean Artists Association of Southern California1964년에 발족을 해서 지금 54년이 됐어요. 그래서 특별히 저희가 50회 정기전을 68명의 회원들과 또 저희 회원이셨다가 연로하셔서 나가신 열 분을 초대했어요. 그래서 그 열 분 초대 작가와 함께 78명이 문화원에서 전시를 했습니다. 50회가 되기 까지 정말 제가 준비하면서 많은 선배님들의 노고와 노력과 열정이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에 50회 정기전이라는 것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자막. Founded in 1964, Korean Artists Association of Southern California has been around for 54 years. To celebrate the 50th exhibition, we’ve invited 68 members and 10 retired members. So in total, 78 members joined together to organize this exhibition. I believe that we were able to reach today’s milestone through the passion and hard work of all the predecessors before us.인터뷰.질문. 이번 전시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Somoon Kim / Artist지금 이렇게 50주년을 오면서 처음에 한국에서 이민 왔을 때는 한국적인 작품이, 그런 것이 많았는데 지금은 약간 한국도 받아들이고 미국 것도 받아들이는 그런 한국 이민 문화에 작품이 형성되어가고 있어요. 저는 그런 것은 굉장히 좋다고 봐요.자막. Looking at the 50th anniversary exhibition, I remembered how many artworks used to be just traditional Korean pieces, but now I can see that both Korean and American aspects are reflected in the art work, which I believe is an amazing thing.인터뷰.질문. 전시에 대한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Brian Elizabeth / VisitorThere’s a lot of very good talent and mixed media. I can see that there’s over reaching abundance talent that’s in the room. And clearly this people work very hard on their crafts. It’s nice to see such a variation and a 24 by 24 format.자막. 굉장히 재능 있는 분들과 많은 혼합 매체가 있네요. 이곳에 얼마나 많은 재능과 작가 분들의 정성이 있는지 느껴지네요. 24 by 24 포맷의 다양한 작품들을 볼 수 있어서 좋네요.인터뷰.질문. 전시에 대한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Roberto Haraldson / Visitor I have been following along the Korean American cultural art community for several years now. I’m a big fan of these events and I really come to watch the growth of the arts community in Koreatown, and I really enjoy to coming to these types of events. I really enjoy the paintings and the sculpture that are on display at most of this events. It always really provide a beautiful insight into the idea process and the cultural facts of the community and Los Angeles. And so for me it’s a very enlightening experience to see some other beautiful works that you see on display.자막. 저는 벌써 몇 년 째 남가주한인미술가협회와 함께하고 있어요. 정말 좋아하는 행사예요. 남가주한인미술가협회의 성장을 볼 수 있어서 좋았고요, 이런 행사에 참여하는 것 정말 좋아합니다. 오늘 전시되었던 대부분의 그림과 조각품들이 다 좋았어요. 오늘 전시가 창작하는 과정에 대한 그리고 이 협회와 LA에 문화적인 사실에 대한 굉장히 아름다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는 것 같아요. 오늘 전시는 저에게 아름다운 작품들을 보면서 많은 것들 느낄 수 있는 경험이었어요.
공승은
조회수: 4,895
▶
8:28
[LA/해외문화PD]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
제목 : [LA/ 해외문화 PD]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 내레이션 .지난 10월 17일, LA한국문화원은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와 피아니스트 데이빗 베누아의 ‘영혼을 울리는 아름다운 선율’》 콘서트를 콜번스쿨 지퍼홀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자막 . The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Heart of Vision Chamber Orchestra presented a special performance “Hearts of Vision Chamber Orchestra” with pianist David Benoit at the Colburn School, Herbert Zipper Hall on October 17th, 2018. 내레이션 . 이번 특별공연에는 18 명의 체임버 오케스트라 단원이 참여하여 , 에드워드 엘가의 ‘Salut d’Amour’( 사랑의 인사 ) 를 시작으로 , 헨리 만시니의 ‘Moon River’, 그리고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제가 모음곡인 ‘The Letter from Your Childhood’ 등을 연주하였습니다 . 자막 . Eighteen members of the chamber orchestra played at this special concert. The program featured well-known music such as Edward Elgar’s “Salut d’Amour,” Henry Mancini’s “Moon River” and Leigh Marlin Ned Washington’s “The Letter from Your Childhood.” 인터뷰 . 질문 . 하트 시각장애인 체임버 오케스트라 소개와 함께 이번 공연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답변 . Sang Jae Lee / Music Director 안녕하세요 , 저는 하트 시각장애인 체임버 오케스트라에 음악 감독을 맡고 있는 이상재구요 . 저희 오케스트라는 2007 년도에 창단해서 11 년간 활동해온 오케스트라인데 , 시각장애인 13 명과 비장애인 8 명 연주자로 구성되어있는 실내 오케스트라입니다 . 반갑습니다 . 무엇보다도 한국에 있는 장애인 연주단체로서 LA 에 와서 교민들께 또 LA 의 시민들께 우리 대한민국 시각장애인들의 음악적인 역량을 , 연주력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는 이런 참 좋은 장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기쁘고요 . 우리 교민들께는 그런 것에 대한 자부심 , 우리나라에 대한 장애인들이 모여서 스스로 오케스트라를 만들어서 이렇게 11 년을 400 여회가 넘는 연주를 할 만큼 성장할 수 있었다는 어떤 나라에 대한 자긍심 이런 것들을 가지셨으면 좋겠고 , 또 우리 공연을 처음 보시는 LA 에 있는 미국 시민들께는 우리의 우수한 음악 그리고 음악에 대한 열정 , 사랑 , 우리가 잘하는 모습 또 연주를 통해서 장애인들이 멋지게 해내는 그런 것을 통한 감동 , 말 그대로 “We can do!” 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그런 공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자막 . Hi, I’m Sang Jae Lee, music director of Hearts of Vision Chamber Orchestra. Our orchestra, founded in March 2007, is the sole chamber orchestra composed of visually impaired musicians. There are thirteen visually impaired musicians and eight associate players. I’m so glad that we are able to visit LA to perform for the locals and show the full capability of visually impaired musicians. I hope that Koreans living abroad can be proud of that fact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from Korea formed an orchestra on their own and have been continuously performing for the past 11 years in more than 400 concerts. For the audience who've seen our concert for the first time, I hope you‘re able to feel our dedication and love through our performance so that it may leave you with a lasting memory of our music, our passion, and our motto “We can do it.” 내레이션 . 2 부 공연에서는 재즈피아니스트 데이빗 베누아와의 협연으로 영화 Sun Flower 주제곡 ‘Loss of Love’, 오즈의 마법사의 ‘Over the Rainbow’, 그리고 러브스토리의 ‘Main Theme’ 등을 콜라보 연주하였습니다 . 자막 . In the 2 nd part of this concert, Hearts of Vision chamber Orchestra collaborated with jazz pianist David Benoit. They performed to songs in movies such as Sun Flower’s “Loss of Love,” Wizard of Oz’s “Over the Rainbow,” and Love Story’s “Main Theme.” 인터뷰 . 질문 . 이번 공연에 함께 참여하신 계기와 소감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 답변 . David Benoit / Jazz Pianist Well, my friend Andrew, who’s Korean. And he promoted me in Korea few years ago and wanted to do something with the orchestra. So he and I met when I was in South Korea last summer and talked about it and I said “Yes, I want to do it.” so we decided to work together and that’s how it happened. It was interesting that how he were the conductor not having visual cue. So we really had to rely on the rhythm and listening. And so we had the feel everything together, and I felt it really came together very quickly. They were just listening so well. They were right with me, and I was with them and I just felt really good. 자막 . 제 한국인 친구 앤드류가 몇 년 전에 한국에서 저를 홍보하면서 하트 시각장애인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뭔가를 해보고 싶다고 하더군요 . 그래서 올해 여름에 한국에서 만나서 이 공연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었고 “ 나도 같이 하고 싶다 .” 고 말했죠 . 그래서 함께 이 공연을 꾸미기로 결정했습니다 . 시각적인 신호 없이 지휘를 하는 방식이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 오직 리듬과 들리는 것에만 의존해서 공연을 진행해야했죠 . 그래서 모두가 함께한다는 느낌을 가졌습니다 . 소리에만 집중하면서 금방 다른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하나가 되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 제가 그들과 같이 있고 그들도 저와 함께 있는 듯한 느낌이 좋았어요 . 내레이션 . 공연 말미에는 모든 조명이 꺼지고 암전이 된 상태로 오직 귀로만 음악을 감상하는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만의 특별한 암전 무대가 이어졌습니다 . 자막 . Towards the end of the concert, the audience had a chance to experience a special moment. the concert hall lights turend off, and using only their ears, everyone enjoyed the Hearts of Vision Chamber Orchestra‘s music in complete darkness. 내레이션 . 마지막으로 한국의 전통 민요인 아리랑 메들리를 오케스트라용으로 편곡한 ‘ 아리랑 ! 아리랑 !’ 연주로 이번 공연을 마무리하였습니다 . 자막 . The concert ended with an orchestrated vers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song ‘Arirang! Arirang!’ 인터뷰 . 질문 . 공연에 대한 소감 부탁드려요 . 답변 . Bradley Sax / Audience My name is Bradley Sax. I’m an aficionado of classical music. I love the Colbum Music school and supporting it. And I wanted to see this wonderful organization. It was terrific. The music was beautiful, wonderfully performs and the all idea of the organization of the group is very inspirational. My favorite was actually I think perhaps the Korean song at the end with which I had no familiarity, and it was wonderful, surprising and quite beautiful, but it was also terrific just watching the different performers and it was a treat. 자막 . 제 이름은 브래들리 색스입니다 . 저는 클래식 음악 애호가이고 , 콜번 음악 학교를 좋아하고 지지하고 있어요 . 이런 멋진 단체를 보고 싶었어요 . 아주 훌륭했어요 . 음악도 아름다웠고 , 연주도 아주 멋졌어요 . 그리고 오케스트라의 구성 자체가 굉장히 영감을 주었습니다 . 가장 좋았던 부분은 아마도 공연 마지막에 나왔던 한국 음악이었던 것 같아요 , 익숙하지 않은 멜로디였지만 굉장히 멋지고 , 놀랍고 , 아름다웠어요 . 그리고 다른 연주자들을 보는 것만으로 너무 좋았습니다 . 정말 선물 같은 밤이었어요 . 인터뷰 . 질문 . 공연에 대한 소감 부탁드려요 . 답변 . Joslyn Treece / Audience I was invited at the invitation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 and I work on behalf of the LA 2028 Olympic and Paralympic organizing community. And I was so happy to be able to finally be able to attend one of the wonderful performances put on by the cultural center. The show was absolutely beautiful. I was just mesmerized by the musicians. The selection pieces were gorgeous, and I would love to come and see them again If they ever return to Los Angeles. 자막 . 저는 2028 LA 올림픽 , 패럴림픽 위원회에 속해있고요 , LA 한국문화원으로부터 초청을 받아서 오게 되었습니다 . 한국문화원이 후원한 멋진 공연들 중 하나에 드디어 참석할 수 있게 되어서 무척 기쁘네요 . 연주자들의 굉장히 아름다운 공연에 완전 넋이 나갔었어요 . 선곡도 아주 멋졌고 , 이 연주자들이 로스앤젤레스에 다시 오게 된다면 한 번 더 보고 싶은 공연이네요 . 인터뷰 . 질문 . 공연에 대한 소감 부탁드려요 . 답변 . Vicki Pearlson / Audience Oh my god. It was just beautiful and really truly amazing. I’ve never heard of this group before and they were just fantastic. And I think one of my favorite part was hearing songs from the, pieces from the American song book orchestrated in this way and it was just really touching and beautiful. And we were saying before I stepped up to talk a little bit that if we had a child who is visually impaired would be such an inspiration to see this group. Inspiration would be really for anyone who has a challenge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art and beautiful music. 자막 . 정말 아름답고 멋진 공연이었어요 . 하트 시각장애인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음악을 처음 들어보지만 정말 환상적이었어요 . 가장 좋았던 부분은 미국에서 알려진 음악을 오케스트라용으로 편곡한 것이었어요 . 정말 감동적이었고 아름다웠습니다 . 인터뷰하기 전에 지인과 대화를 나누던 중 , 만약 우리가 시각적으로 불편한 아이가 있다면 오늘 하트 시각장애인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공연이 굉장한 동기부여가 되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 또한 예술을 하거나 아름다운 음악에 참여하는데 한계를 느끼는 모든 이들에게도 큰 동기부여가 되는 공연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공승은
조회수: 5,528
▶
5:33
당신을 ASMR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ASMR은 뇌를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하는 영상으로, 바람 부는 소리, 연필로 글씨를 쓰는 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 등을 담아 팅글(tingle, 기분 좋은 소름 돋음)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1인 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자연스레 인기를 더해가고 있으며 다양한 디테일과 테마의 영상들이 제작되고 있다. 타이틀. 당신을 ASMR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타이틀) 자막. 장작 타는 소리 ASMR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자율감각 쾌락반응 효과음. (장작 타는 소리) 자막. 글씨 쓰는 소리 뇌를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하는 영상 효과음. (글씨 쓰는 소리) 자막. 귀청소 소리 다양한 소리로 팅글(tingle, 기분 좋은 소름 돋음)을 느끼고 안정감을 찾는다 효과음. (귀 파는 소리) 안녕하세요. Judy asmr입니다. 안녕하세요. 자막. ASMR 유튜버 주디 인터뷰.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유튜브에서 ASMR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는 ‘Judy asmr’입니다. 저는 주로 fast tapping (빠르게 두드리기)이나 role playing (상황극) 그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많이 만들려고 시도해 보고 있어요. 질문) ASMR이 인기가 있는 이유가 뭘까요? 답변) ASMR을 안 들으시는 분들도 어떻게 보면 ASMR 사운드를 접하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예를 들어, 연필을 쓰는 소리라든지, 장작이 타는 소리라든지 본능적으로 (자율)감각 (쾌락)반응에 대한 좋은 호감 같은 걸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질문) ASMR 영상에는 정말 다양한 종류가 있는 것 같아요! 답변) 사람들이 나른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거? 또는 팅글을 느끼는 그 상황이나 포인트가 다 다르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더 계속해서 다양한 사운드들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고 생각을 하고 질문) ‘ASMR = 소리’인가요? 답변) ASMR이 소리로 많이 인식이 된 건 청각적으로 조금 더 사람들이 집중을 많이 하고 거기서 팅글(tingle)이 온다고 인식을 하기 때문이지 예를 들어서, hand movement(손의 움직임)라든지 메이크 업 영상을 볼 때? 물론 소리만 들으시는 분들도 있지만 화면에서 이렇게 뭔가 해 주고 집중하고 그 사람한테 신경 써 주는 그런 느낌 있잖아요. 거기서 시각적인 ASMR 팅글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거든요. ‘ASMR=소리다’라는 공식은 아닌 것 같고 ASMR은 시각과 청각을 주로 하는 자율감각 쾌락반응 영상이다 라고 생각을 하고 있어요.? 질문) ASMR을 처음 들어보는 사람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 답변) 처음 듣는 사람들은 자기가 어떤 사운드에 팅글을 느끼고 어떤 사운드를 좋아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처음 추천해 줄 때는 여러 가지 트리거 (tigger) 사운드라고 해서 여러 가지 사운드들을 모아놓은 영상이 있거든요. (종류가) 정말 정말 다양하기 때문에 그 중에 하나는, 마음에 드는 게 하나는 있어요. 자막. ASMR 잘알과 알못의 ASMR 토크 질문) 좋아하는 ASMR 영상을 추천해 주세요! 답변) ‘soupe asmr’이라고 (유튜버)가 있는데 상황을 설정하고, 그 분이 녹음된 소리를 조합해서 ASMR을 구성한 게 있어요. 호그와트 시험기간 도서관, 아니면.. 센과 치이로의 행방불명, 짱구는 못 말려의 집 사운드 이런 것처럼 되게 세부적인 것들을 하시는 분들이 생겨나기 시작해서 상상력도 자극하는 면이 조금 있는 것 같고 그건 되게 재미있어요. 배경음. 호그와트 그리핀도르 기숙사의 주말 밤 자막. 호그와트 그리핀도르 기숙사의 주말 밤 배경음 답변) 기숙사 방 소린데 누가 자꾸 뒤척이네요.? 자막. 상황 설명 대본 읽는 중 답변) 불이 활활 타오르며 볼에 닿는 따스한 공기에 기분이 좋아.. 오, 누가 문 열고 들어왔어 방금. 상황을 되게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 주네. 여기에 몰입을 할 수 있게. 질문) 자기 전에 ASMR을 듣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어요. 답변) 생각보다 잠이 잘 와요. ASMR이 보통 소리가 반복적이잖아요. 그래서 잠이 더 잘 오는 것 같은?? 자막. 또잉또잉 물소리 물 속에서 자는 기분 배경음. 물병 소리 ASMR? 질문) 시각적인 쾌감을 주는 ASMR도 들어보셨나요? 답변) (플로랄 폼이라고) 물 먹는 폼 같은 거 거기다 이제 글리터 같은 것도 뿌리고 해서 예쁘게? 영상 보면서 볼 수 있는 그런 것도 있고. 자막. 플로랄 폼 부수기 배경음. 플로랄 폼 부수는 소리 답변) 눈에 보이는 게 좀 더 자극이 있네요. 약간 화장품 부수기 같은 그런 쾌감. 다 부쉈어. 오~ 불쌍해.. 근데 약간 나도 해 보고 싶긴 하다. 질문) 좋아하는 ASMR을 소개해 주세요. 답변) 그 이어 클리닝 (귀청소)은 진짜.. 이어 클리닝이 되게 ‘드드다다다’ 막 이러잖아요. 드드드드다다다 약간 이러고 제가 유일하게 듣는 롤 플레이가 막 귀를 파주면서 독설을 해요. “손님 되게 귀를.. 한 백만 년 동안 안 파셨나봐요.” 약간 이런. 그건 듣게 되더라고요. 오글거리는 게 아니라.. 웃기니까. 질문) ASMR을 추천하시나요? 답변) ASMR 보는 걸 추천하시나요? 추천한다, 안 한다? 한다! 하지. 우린 보니까. (ASMR은) 무궁무진한 세상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하나쯤은 좋아하지 않을까..? 자기한테 맞는 걸 찾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저한테 맞는 걸 찾아서 계속 듣게 된 거고, 그러면 충분히 ASMR을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신유리
조회수: 15,850
▶
3:11
[터키/해외문화PD] 2018 한국어 백일장 대회
내레이션)썼다 지웠다 고쳐쓰기를 반복합니다.한 글자 한 글자 자신의 생각을 조심스레 써내려갑니다.지난 10월 6일 주터키한국문화원 2층 강의실에서한국어백일장대회가 열렸습니다.백일장대회의 주제는 ‘한국의 미’.20명의 참가자는 원고지 600자 이상 1000자 이내로 작성해90분안에 완성해야합니다. 인터뷰)외즈게 아라랏 / 참가자처음 종이를 받았을 때 고민이 많았어요.7장을 어떻게 채워야 할지 고민했는데터키어로 떠오른 말을 한국어로 쓰는게 조금 어려웠어요.그렇지만 잘 쓴 것 같아요. 내레이션)직접 만난 한국사람, 먹어 본 한국음식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본 한국 등터키사람들의 눈에 비친다양한 한국의 미가 쓰여졌습니다. 인터뷰)베이자 누르 카브락 / 참가자오늘 쉽지 않았지만 그래도 잘 썼다고 생각합니다.적어도 저는 4장 이상 작성했습니다.특히 한복, K-pop그리고 어떻게 하면 한국에 갈 수 있을지 등에 대해 썼습니다.나름 만족합니다. 인터뷰)펠린 외제르 / 참가자제가 생각하는 한국의 아름다움은한국문화 중 하나인 무엇이든지 함께하는 모습입니다.예를 들면 한국사람은 음식을 나눠먹는 식문화가 있습니다.또 회사에서는 퇴근 후 직원과 상사가 함께 회식도 갖습니다.저는 이런 한국문화에 대해 썼습니다.저는 원래 문예창작학과 학생이기 때문에직접 이야기 하는 것보다 글로 쓰는 것을 더 편하게 느낍니다.제가 자신 있는 분야이기에 이번 백일장 대회에 참가하게 됐습니다. 내레이션)모든 참가자가 글을 제출하고 시상이 시작됐습니다. 한국인, 한국어, 한식 3가지 요소를 통해‘한국의 미’를 서술한세빌 아이랄 학생이 1등을 차지했습니다.1등 수상자는 내년에 한국을 방문해3~4개 도시를 여행할 수 한국문화체험 기회가 주어집니다. 인터뷰)세빌 아이랄 / 한국어 백일장 대회 1등 수상자그 글에서 제가 한국의 미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첫번째 한국사람, 두번째 한국문화, 세번째 한국어로 설명했습니다.이번에 글을 예쁘게 쓰려고 노력 많이 했는데 결국은 1등 했어요.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잘 돼서 1등을 해서 너무 기쁘고 너무 떨렸어요.깜짝 놀랐습니다.지금도 떨려서 말이 잘 안 나오네요. 내레이션)많은 노력 끝에 아름다운 글을 완성해 낸 이번 대회는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참가자들에게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윤나은
조회수: 3,786
▶
3:10
박PD의 소확행 알아보기
기획의도 소소하지만확실한행복, 소확행. 최근크고거창한행복이아닌일상속에서소소하지만확실한행복감을주는소확행이라는단어가떠오르고있습니다. 사람들이그 동안추구해오던궁극적이고현재를희생하면서까지바라던미래의행복이아닌작지만현재지금바로느낄수있는행복감을찾고있는것입니다. 작년엔YOLO, 올해엔소확행으로현재내삶을즐겁게살자는주의가퍼지고있는데요. 어떤 소확행들이 어떤 식으로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고 있을까요? 남녀노소 시민들은 과연 어떤 소확행을 가지고 있는지 박PD가 알아보았습니다. ------------------------------------------------------------------------------------------------------------ 대본 내레이션: 요즘 소확행이라는 말을 자주 듣고 볼 수 있는데요. 여러분은 소확행이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시민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라고 알고는 있어요. 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네 알아요. 소소한 행복 아닌가요 그냥. 타이틀 박PD의 소확행 알아보기 박성령 / 시민 저의 소확행은 친구들이랑 맛있는 거 먹는 게 저의 소확행이에요. 그냥 일상생활에서 지쳐있다가 제 사람들과 같이 편하게 맛있는 거 먹으면서 수다도 떨고 그런 거에서 작은 행복을 느끼는 것 같아요. 이승환 / 시민 담금주 만드는 걸 좋아해서 담금주를 자주 만들어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술을 좋아하기도 하고 담금주만의 매력이 있어가지고 어느 재료에 따라서 알코올이 성분이 달라지고 맛이 달라지는 게 매력이 있습니다. 유지민 / 고등학생 춤추는 거? 김지윤 / 고등학생 저도 춤추는 거 내레이션: 저도 춤추는 거 이준우 / 시민 저는 드라이브를 나가는 것 같아요. 운전을 약간 난폭하게 하거든요. 소리도 지르면서 그러다 보니까 스트레스가 좀 풀리더라고요. 백준렬 / 시민 일 끝나고 집에 와서 영화 보면서 맥주 한잔하는 것도 좋아하고 주말에 축구 하는 게 저한테는 소확행인 것 같아요. 평상시 일상생활이랑은 또 다른 제가 되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 정동우 / 초등학생 전 책이요. 책을 보는 거요. 책을 보면서 재미있기도 하고 지식도 많이 쌓을 수 있어서 좋아요. 서예준 / 중학생 그냥 시간 날 때 쇼핑하고 돌아다니면 되게 좋은 것 같아요. 사지 않아도 구경하면 되게 마음이 편해지고 좋아지는 것 같아요. 임주헌 / 시민 일어났을 때 그냥 세상에 감사하다는 잠잘 때는 하루를 마무리 잘했던 안 했던 그래도 누울 수 있으니까 김주철 / 시민 고전음악을 좀 듣고 독서를 하는데 친구도 나이 드니까 많이 없어졌는데 친한 친구 몇 만나는 즐거움 그것은 꼭 붙잡고 있어야겠다 이런 생각이에요. 이연주 / 시민 커피한잔 들고 개천을 걷는다던 지 김가은 / 시민 에어컨 빵빵 틀고서 어 맞아 맞아 내레이션: 정말 평범하면서도 색다른 소확행을 여러 가지 들어봤습니다. 재미와 기쁨을 준다면 무엇이든 소확행이 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이승환 / 시민 행복이란 알코올이다 이성현 / 시민 작은 거를 모아서 나중에 큰 게 됐을 때 그게 행복이다. 정동우 / 초등학생 자신이 행복하고 그리고 노력한다면은 좋은 것 같아요 김지윤, 유지민 / 고등학생 내가 많이 웃는 거 좋아하는 일 하는 거 내레이션: 행복은 가까운 곳에 있는 것 아닐까요? 박PD가 여러분의 소확행을 응원합니다.
박철우
조회수: 14,077
▶
3:42
Soul of City - 서울브랜드송 프로젝트
-기획의도- ‘서울'의 문화는 서울시민이라는 ‘개인'의 문화가 약 천 만개 모여 만들어진 융합문화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의 시작은 구성원인 시민에게 있습니다. 저는 이 컨텐츠를 통해 실제로 서울에서 거주하는 시민들의 이야기를 가사로 엮어 시민과 함께하는 서울 송을 만듦으로써 노래 안에 그들의 이야기를 녹여 내고자했습니다. -대본- “소울오브시티(Soul of City)” #자막: 어떻게 서울에서 살게 되었나요? #나레이션 -저는 태생이 서울이라서 서울에서 쭉 살게 됐고, -이사를 하게 돼서 서울에 오게 되었어요. -태어날 때 서울 요양병원에서 태어나서, -부모님 따라서 왔어요. -저는 태어나면서 서울에서 살게 되었어요. -저는 서울에서 태어나서 그냥 서울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저는 취직을 하려고 서울로 상경했습니다. #자막: 작곡 김희원 편곡 손혁진 보컬 김희원 #자막: 작사 김희원 외 서울시민 30명 #자막: ‘서울’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혹은 단어는? #나레이션 -도시. 복잡한 도시? -새벽까지 열려있는 많은 가게들. -한강이랑 또, 서울시청. -명동/광화문 /사람이 너무 많아서 복잡스러운 것? -복잡함/야경 그리고 지하철. #대사: 서울의 한복판, 나는 오늘 여기서. #자막: “Soul of City” #가사: (서울 송 시작) 할일이 많아 오늘도 평범한건 어려워 어둑해진 밤에도 혼자 불을 켜 (또) 기회가 많지만 대신할 사람도 많겠지 이젠 내게 올 기회가 남았을까 (싶어) 복잡한 도시와, 더 복잡한 관계관계(관계) 나른한 저녁이면 다시 밀려오네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이 도시의 빛은 어디를 비추나 끝없이 질문만을 남겨놓은 채 그저 눈부시게 반짝이네 회색도시 어지러운 거리거리, 늦은밤 지하철에 몸을 맡기면 밤이 와도 꺼지지 않는 불빛처럼 들려오는 너의 이야기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이 도시의 빛은 어디를 비추나 끝없는 질문들을 뒤로한 채 그저 눈부시게 반짝이는 너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외로움 가득한 이방인의 도시 이 도시가 영원히 빛나는 이유 그건 더없이 눈부신 너 Can you feel the soul of the city. (서울 송 마침) #자막: 어떤 것을 할 때 가장 행복한가요? #나레이션 -혼자만의 시간을 좀 여유롭게 가질 수 있을 때 -피아노 칠 때 하고/맛집 탐방할 때 -친구들하고 놀러갈 때/게임할 때 -비오는 것을 좋아하는데 비가 올 때 -그리고 새로운 것에 도전할 때 #대사: 서울, 내게 왜 여기 서 있느냐 묻는다. 그 이유야 어쨌든 나는, #자막: 서울 송 프로젝트에 도움을 주신 30명의 서울 시민들게 감사드립니다. #나레이션 -저는 그림 그리는걸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하루 끝나고 누워서 게임하는 걸 제일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저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을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저는 고양이를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멍하니 생각하기를 좋아하는 서울시민입니다. -저는 그냥 평범하게 살아가는 서울의 시민입니다. #엔딩크레딧 *사용음원: Soul of City(작곡 김희원,편곡 손혁진) / 유튜브오디오라이브러리 : Retreat, Escape
김희원
조회수: 19,359
처음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마지막
관련기관 안내
이전
정지
재생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