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완제시조창(完制時調唱)
- 개요
- ‘시조창’은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로 ‘시절가(時節歌)’, ‘시절단가(時節短歌)’라고도 한다. 고려 말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가장 오래된 문헌은 석북 신광수(石北 申光洙 1712~1775)의 <석북집(石北集)>, <관서악부(關西樂府)>로 가객(歌客) 이세춘이 시조에 장단을 붙였다는 기록이 있다. 최초의 악보는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유예지(遊藝志)>와 이규경(李圭景 1788~ ?)의 <구라철사금자보(歐邏鐵絲琴子譜)>가 있다. 이를 보면 ‘시조창’은 조선 시대 후기에 비로소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평시조처럼 ‘황종(黃鍾)’, ‘중려(仲呂)’, ‘임종(林鍾)’의 3음계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 내용
- ‘시조창’은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발달한 <경제(京制)>와 지방으로 확산된 경제가 지역 특성에 맞게 발달한 <향제(鄕制)>로 나뉘어진다. <경제>는 속청을 쓰고 장단이 잘 정립되어 있으며 피리와 대금 등 여러 반주 형태를 가지고 있다. 현행 시조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평시조를 비롯하여 중허리시조, 지름시조, 사설지름시조, 반시조반잡가, 여창지름시조, 우조시조, 우조지름시조 등이 경제에 속한다. <향제>는 악기가 없어 장구나 무릎 장단으로 연주하며 초장과 종장 끝장단에서 5박자가 줄어든 점이 경제와 다르다. 전라도의 <완제(完制)>, 경상도의 <영제(嶺制)>, 충청도의 <내포제(內浦制)> 등으로 나누어지며, <완제>는 평시조와 사설시조가 연주되는데 <영제>와 비슷하면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시조의 형식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나누어지는데 종장의 끝음절인 ‘하노라’, ‘하느니’ 등은 생략하여 부르지 않고, 장단은 삼점오박 장단과 오점팔박 장단이 교차되어 연주된다. 음계는 3음계(<경제>의 평시조·중허리시조, <향제>의 평시조·사설시조)와 4음계(<경제>의 지름시조, 사설지름시조, 수잡가, 여창지름시조), 3·4음계 계면조와 5음계인 평조와의 혼합음계(<경제>의 우조시조, 우조지름시조)등이 있다. 그리고 발음에서 변화무쌍한 모음의 변화가 있어 단순한 듯 하지만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 전승자 정보
- 이상술(1930.2.17)은 나주시 다시면에서 출생하여 19세 때 박희성에게 시조창을 처음 배웠으며 21세에는 나주 출신의 박남규에게 시조창을 배웠다. 28세에는 광주국악원의 안치선에게 시조창과 단소를 배웠으며 34세에는 유종구에게 시조를 배웠다. 37세에는 정경태(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에게 시조 음계와 시조창을 접목한 율여상조법(律呂相調法)과 정가(正歌)로 불리는 가곡, 가사, 시조 등을 배웠다. 이외에도 단소, 소리북, 장단 등에 매우 능하며 풍부한 성량을 지니고 있어 변화무쌍한 5박 8박 장단을 자유롭게 구사하고 있다.
- 연계정보
- · 관련도서 <문화재도록>, 광주광역시, 1997· 관련가치정보
- 연계정보
- -시조
-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
이미지 0건
해당 이미지는 예술지식백과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미지 확대보기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