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가곡

개요
가곡은 시조에 곡을 붙여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전통음악으로, 오늘날과 같이 5장형식으로 처음 선보이는 것은 조선중기에 엮어 펴낸 <대악후보(大樂後譜)>, <안상금보(安尙琴譜)>와 같은 고악보(古樂譜)의 <만대엽(慢大葉)>이라는 곡조이다. <만대엽>은 <심방곡(心方曲)> 또는 <신방곡(神房曲)>으로 나타나며, 이는 고려 진작(眞勺)에서 연유된 <대엽(大葉)>에서 비롯된다는 기록이 있으나 아직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대엽>은 적어도 조선전기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느리고 빠른 변주곡이 파생되어 느린 <만대엽>과 중간 빠르기의 <중대엽>과 빠른 곡인 <삭대엽(數大葉)>으로 나누어졌다. 가곡의 모체인 <삭대엽>은 17세기 전반에는 <중대엽>의 그늘 밑에서 차츰 고개를 내밀기 시작하면서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7세기 후반은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면서 두 가지 변주곡을 파생시켰는데, 그 변주곡들은 삭대엽 제2·제3 또는 <이삭대엽>·<삼삭대엽>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가곡은 17세기 후반부터 가객들에게 애창되면서 성장되었다. 18세기 전반 정윤경이 김천택의 <청구영언>을 위해서 쓴 서문의 내용에, “…김천택은 이미 잘 알려진 가객이어서 능히 새 곡을 스스로 지어 부를 수 있었다. 그는 거문고의 대가 김성기와 아주 절친한 사이었는데, 김성기가 거문고를 연주하면 김천택은 가곡을 불러서 곧 화답하니, 거문고와 노래소리는 아주 잘 어울려 마치 귀신을 감동시킬 수 있을 것 같았다. 두 사람의 예술적 기량은 그 당대에 너무 뛰어나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였다…” 이처럼 18세기 가곡이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된 원인은 김천택·김수장·김성기 등 당시 유명했던 가객이나 풍류객들의 활동이 활발했던 음악문화사적인 배경이 있었다. 가곡의 비약적 발전은 18세기 전기에 나타난 <삭대엽> 제4라는 변주곡 및 18세기 후반에 나타난 농(弄)·낙(樂)·편(編)이란 변주곡으로 설명될 수 있다. 19세기 전기의 가곡은 18세기 말기의 것을 전승하여 그 바탕 위에 새로운 형태의 변주곡을 첨가시킨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삼죽금보>에 나타난 가곡의 특징은 첫째, <이삭대엽> 다음에 현행 가곡의 <두거(頭擧)>와 같은 <조림(調臨)>이 나오고, 둘째, <삼삭대엽> 다음에 현행 <삼삭대엽>인 <소이(騷耳)>와 <삼삭대엽>에서 파생된 <소용(騷聳)>이 보이며, 셋째, <우락> 다음에 <언락>과 <편락> 출현을 꼽을 수 있다. <언락>과 <편락>은 거문고의 반주에서 유현 7괘로 타므로 유현 4괘의 낮은 소리로 부르는 낙을 높이 질러서 부르도록 변주시킨것인데, <편락>은 <우락>에서 <편수대엽>으로 넘어가는 중간다리 구실을 하는 악곡이다. 19세기 후반의 가곡은 <학포금보>와 <현금오음통론>에서 특징을 찾을 수 있는데, 첫째 <이삭대엽> 다음에 <중거(中擧)>와 <평거(平擧)>가 나타나는 점, 둘째 <소용> 다음에 <율당(栗糖)> 또는 <반엽(半葉)>이 나오는 점, 셋째 <언롱(言弄)>과 <언편(言編)>의 등장, 넷째 <환계락(還界樂)>의 출현이다. <중거>와 <평거>는 <이삭대엽>에서 파생된 변주곡이고, <반엽>이나 우리말 밤엿의 한문 표기인 <율당>이란 이름은 우조 가곡에서 계면조 가곡으로 넘어가는 악곡, 즉 반은 우조로 되었고 반은 계면조로 된 악곡이란 뜻에서 유래된 듯 하다. <언롱>과 <연편>은 거문고 반주에서 유현 7괘로 타므로 유현 4괘의 낮은 소리로 부르는 농과 편을 높이 질러서 부르도록 변주시킨 곡이며, <언편>은 <언롱>의 변주곡이다. 이처럼 현행 가곡의 여러 악곡들이 거의 19세기 후반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17세기 <삭대엽>에서 시작하여 19세기 말까지 이르는 약 3세기 동안 현행 가곡의 뼈대가 형성되었으며 가곡의 연주곡목 대부분이 변주곡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데, 이는 조선 후기 음악양식의 한 특징이기도 하다.
내용
가곡은 시조시(時調詩)를 관현반주(管絃伴奏)에 얹어 오장형식(五章形式)으로 부르는 성악곡이다. <자진한잎[數大葉]> 또는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이라고도 하며, 24곡으로 한 바탕을 이룬다. 노랫말은 단형시, 즉 시조(時調)를 쓰며, 남창(男唱)가곡과 여창(女唱)가곡이 있다. 가곡은 짧은 여러 노래가 음악적으로 연결된 노래모음곡으로, 남창의 경우 26곡(여창은 15곡)으로 짜여진다. 거문고·가야금·대금·단소·세피리·장고·해금 등의 합주로 반주된다. 먼저 전주(前奏)의 구실을 하는 대여음(大餘音)이 기악합주로 나오면 초장·이장을 부르고 간주(間奏) 구실을 하는 기악합주의 중여음(中餘音)이 나온 다음 다시 사장·오장의 노래를 부르고, 후주(後奏)와 다음곡의 전주 구실을 하는 대여음을 기악으로 연주하고 다음 노래로 넘어간다. 가곡은 우리 나라의 다른 성악곡과는 달리 남·여의 노래로 구분되어 있다. 이는 가곡이 양성에 대한 특색을 요구하는 음악임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 안에는 남창 26곡과 여창 15곡이 있다. 노래하는 창자에 따라서 남창과 여창으로 나뉘고, 선율을 구성하는 선법에 따라서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로 분류되는데 가곡은 남창의 평조와 계면조, 여창의 평조와 계면조가 있는데 이 분류에는 여러 곡들의 선율 변화형이 있고 각 변화형에 별도의 이름이 붙어 있다. 남창가곡 평조(平調)에는 <초삭대엽>·<이삭대엽>·<중거>·<평거>·<두거>·<삼삭대엽>·<소용>·<우롱>·<우락>·<언락>·<우편>이 있다. 남창가곡 계면조(界面調)에는 <초삭대엽>·<이삭대엽>·<중거>·<평거>·<두거>·<삼삭대엽>·<소용>·<언롱>·<평롱>·<계락>·<편삭대엽>·<연편>·<태평가> 가 있다. 또한 평조에서 계면조로 바뀌는 곡은 <반엽>·<편락>이다. 여창가곡 평조에는 <이삭대엽>·<중거>·<평거>·<두거>·<우락>이 있으며, 여창가곡 계면조에는 <이삭대엽>·<중거>·<평거>·<두거>·<평롱>·<계락>·<편삭대엽>·<태평가>가 있다. 또한 평조에서 계면조로 바뀌는 곡은 <반엽>과 <환계락>이다. 이처럼 남창가곡은 평조 11곡, 계면조 13곡, 평조-전-계면조 2곡 등 모두 26곡이고, 여창가곡은 평조 5곡, 계면조 8곡, 평조-전-계면조 2곡 등 모두 15곡이다. 남창가곡과 여창가곡은 모두 41곡에 156수(남창 85수, 여창 71수)가 전승되고 있다. 평조-전-계면조(平調-轉-界面調)란 명칭은 반우반계(半羽半界)라는 명칭으로도 사용되는데 새로운 조의 명칭이 아니라 곡의 반은 평조로 되어 있고, 반은 계면조로 되어 있다는 뜻이다. 평조(平調)를 우조(羽調)라고 사용하기도 한다. 가곡은 각 곡을 따로 연주하기도 하고 몇 곡을 골라서 연주하기도 하지만 평조 <초삭대엽>부터 계면조 <태평가>까지 계속 이어서 연주하는 것이 원래의 연주 방법이었다. 이 때, 평조의 곡을 노래하다가 선율의 성격이 다른 계면조의 곡을 노래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연결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사이에 평조-전-계면조(平調-轉-界面調)로 된 곡을 노래하게 된 것이다. <초삭대엽>·<이삭대엽>·<삼삭대엽>·<편삭대엽>의 삭(數)는 본래 '빠르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수’가 아니라 '삭'으로 읽는 것이 올바르다. 따라서 <초수대엽>이 아니라 <초삭대엽>으로 읽어야 하며, 모두 <삭대엽>에서부터 파생된 곡들이다. 가곡은 대부분 선율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로 그 명칭이 결정되었는데, 마지막 곡인 <태평가(太平歌)>는 예외적으로 가사가 '이려도 태평성대 저려도 태평성대'로 시작하는 노래이기 때문에 <태평가>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가곡의 노래 형식은 5장으로 구성된다. 노랫말인 시조시나 성악곡인 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인 3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 구성을 보면 시조시의 초장이 1장과 2장으로, 중장이 3장으로, 종장의 첫 3글자나 4글자가 4장으로, 마지막 나머지 부분이 5장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원래 3장이었던 것을 5장으로 늘인 것으로 보면 안 된다. 5장 형식은 기(起)·승(承)·결(結)·해(解)의 형식으로, 시작해서(起) 이어가고(承) 절정을 이루었다가(結) 풀어주는(解) 형식인 것이다. 이 5장을 기·승·결·해의 부분으로 설명하자면 1장은 기, 2장과 3장은 승, 4장은 결, 5장이 해이다. 가곡은 5개의 장과 대여음(大餘音), 중여음(中餘音)이라고 하는 두 개의 여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조 <초삭대엽> '동창이'를 예로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대여음(3장단 5박) - 초장(동창이 밝았느냐) - 2장(노고지리 우지진다) - 3장(소치는 아희놈은 상긔아니 일었느냐) - 중여음(1장단) - 4장(재넘어) - 5장(사래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니). 여음이라는 것은 노래가 없는 기악 반주만의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전주(前奏)나 간주(間奏) 혹은 후주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중여음은 16박 장단 한 장단의 길이로 3장과 4장의 사이에 위치하고, 대여음은 전주나 후주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3장단과 5박의 길이로 되어 있다. 대여음은 본래 곡의 뒤에 붙어서 후주의 역할을 하는 것인데 각 곡이 계속 연결되어 접속 연주되기 때문에 후주로서의 역할이 무의미하게 되었고, 후주와 전주의 의미가 모호하게 되었다. 현행 가곡을 이어서 연주할 때 <초삭대엽>부터 <중거>까지는 대여음이 곡의 뒤에 붙지만 <두거>부터는 앞으로 옮겨진다. 이것은 대여음이 후주에서 간주의 역할로 바뀌면서 그 위치에 혼란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가곡의 장단은 16박 장단과 10박 장단의 두가지가 있다. 16박 장단은 다시 3·3·2·3·3·2의 작은 단위로 나뉘어지는데 이를 6대강이라고 한다. 16박 장단의 대강은 본래 3·2·3·3·2·3의 6대강으로 분할되는 것이다. 이것이 현행 가곡의 형태로 변화된 것은 가곡의 원형인 삭대엽이 본래 6대강 중 제3대강에서 시작하는 음악이었기 때문이다. 삭대엽은 제1, 제2대강 자리는 비워 놓고 제3대강부터 음악을 기보해 나갔던 것이었으나 비워 두었던 제1, 제2대강 자리는 없애 버리고 제3대강에서부터 제1대강의 자리로 끌어 올려 기보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현행 가곡의 대강법처럼 변화된 것이다. 가곡의 악조(樂調)는 평조와 계면조의 두 가지가 있는데, 우조평조와 우조계면조, 평조평조와 평조계면조 중 낮은조인 평조평조와 평조계면조는 사라지고 우조평조와 우조계면조만 남게 되었는데 앞의 조명인 우조(높은조)라는 이름을 생략하고 뒤의 선법명인 평조와 계면조만 말하게 되었다. 평조창법과 계면창법의 차이는 극히 미묘한 시김새의 처리에 있다. 평조는 대체로 장중하게 소리를 내며 요성을 느리게 해 주는 데 비하여 계면조에서는 조금 부드럽게 소리를 내며 요성도 빠르게 한다. 선율 진행상의 평조와 계면조의 두드러진 차이는 중려에서 탁임종으로 진행할 때와 청황종에서 중려로 진행할 때 가장 잘 나타난다. 먼저 중려에서 탁임종의 진행을 보면, 평조는 태주·황종·탁남려를 고루 거쳐 탁임종에 이르는 데 반하여, 계면조는 단지 황종 한음 또는 황종·태주·황종의 세 음만을 거친다. 또한 청황종에서 중려의 경우는 평조가 일찍 중려에 이르러 길게 끌어 주는 데 비하여 계면조에서는 먼저 임종을 길게 끌어준 뒤, 끝에 가서 중려로 진행하는 차이를 보여 준다. 가곡은 곡에 따라 음역에 차이를 보이는데, 대체로 남창의 평조가곡은 낮은 탁태주부터 두 옥타브 위의 청황종에 이르는데, 곡에 따라서는 음역이 넓어져서 높은음이 청태주나 청중려에 이르는 것도 있다. 계면조는 탁중려부터 청황종까지이고, 높게는 청임종까지 소리내기도 한다. 여창가곡은 남창가곡보다 음역이 한 옥타브 높다. 가곡은 거문고·가야금·세피리·대금·해금·장구 등 관현 악기의 편성으로 반주하는 것이 원칙이고, 여기에 양금과 단소를 곁들이기도 한다. 이들 가곡의 반주 악기들은 태평가를 제외한 노래들이 모두 독창으로 불려지고, 태평가 또한 남녀 한 사람씩의 이중창으로 불려지는 것이어서 그 음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단잽이로만 편성된다. 반주 악기들의 반주는 노래의 선율과 비슷한 선율의 진행을 하는데 각 악기별로 독특한 장식법과 선율 진행법이 있고 간혹 노래의 선율과는 다른 진행을 보여 주어 전체 가곡 합주 선율은 단순하지만은 않다. 남창에서는 모든 음을 다 겉목으로 내는 발성법을 사용하는 데 반하여, 여창에서는 겉목과 속목이 다 쓰인다. 그 이유는 여창가곡이 불리워지기 시작한 조선시대가 요구하는 여자의 음성은 너무 커서도 안 되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높거나 큰 발성으로 인하여 입 모양이나 얼굴 표정이 크게 변하는 것은 여성답지 못하다 하여 곱고 단정하게 노래부르기를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창가곡은 남창가곡과 다른 발성법으로 부를 수밖에 없었고, 자연 여성미를 살린 섬세하고 깨끗한 소리를 발성하기 위해 독특한 발성법과 시김새를 가지게 되었다. 탁태주·탁중려·탁임종·탁남려의 음은 겉목이 사용되며, 태주·중려·임종·남려·청황종·청태주는 속목이 쓰이고 황종은 겉목과 속목이 다 쓰인다. 가곡의 발음은 어단성장(語短聲長)의 원칙이 적용되는데, 어단성장이란 자음은 빨리, 모음은 길게 발음하는 것이다. 즉 어단이란 자음을 짧게 발음하여 시어를 응축시켜 표현하고 받침 있는 말은 아무리 긴 시가(時價)라도 제 음절에 단락지어 발음한 후 다음 음절로 진행되는 것을 말하며, 성장이란 노래 시어를 무한한 상상의 세계로 이끌고 가는 것으로 모음의 발음을 풀어서 노래하는 것이다. 결국 모음 열 한자 중 ㅛ,ㅑ,ㅠ,ㅕ는 시작할 때에 ㅛ,ㅑ,ㅠ,ㅕ로 발음해도 끝은 ㅗ,ㅏ,ㅜ,ㅓ로 끝나고, · 는 ㅏ와 같은 것으로 본다면 'ㅗ,ㅏ,ㅜ,ㅓ,ㅡ,ㅣ' 여섯개의 순수모음으로 발음한다할 수 있다. 가곡에서 한글 모음의 발음 원리는 첫째, 복모음이라도 정음인 경우(ㅛ,ㅑ,ㅠ,ㅕ)는 분해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둘째, 복모음이면서 정음이 아닌 경우(ㅖ,ㅘ,ㅝ,ㅞ,ㅟ,ㅢ)는 분해를 하거나 하지 않거나 음가의 변동이 없으므로 둘이 혼용되나, 대부분 분해하지 않는다. 셋째, 단모음이지만 정음이 아닌 경우(ㅐ,ㅔ,ㅚ)에는 이들은 비록 단모음이지만 정음이 아닌 까닭에, 들리는 음가와는 전혀 다르게 조합된 정음들인 ㅏ+ㅣ,ㅓ+ㅣ,ㅗ+ㅣ로 분해되는 것이 원칙이다.
전승자 정보
선조 5년(1572) <금합자보>를 엮어 낸 안상을 비롯하여, 광해군 2년(1610) <양금신보>의 편자인 양덕수, 광해군 12년(1620) <현금동문유기>의 편자인 이득윤, 숙종 6년(1680) <현금신증가령>의 편자인 신성 등은 모두 거문고의 명인이었고, 가곡의 원형인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 등의 음악에도 능통한 악사였다. 이들은 모두 가곡 반주에 출중하였으며, 그들과 함께 상종하던 가객(歌客)은 따로 있었다.<해동가요>의 고금창가제씨조(古今唱歌諸氏條)에 의하면, 허정, 장현, 탁주환, 박상건, 박대길, 고선흥, 김유기, 박후웅, 김천택, 김수장, 이세춘 등 56명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숙종 이후 영조 사이의 뛰어난 명 가객들이었다.그 뒤에도 많은 명인들이 배출되었으며, 조선후기의 가단(歌壇)은 장우벽을 정점으로 오동래를 거쳐 박효관, 최수보, 정중보, 안민영으로 장식되었고, 하중곤, 홍진원을 거쳐 명완벽, 하순일, 하규일 등의 대가들의 지침을 받아 이병성, 이주환 등으로 이어져 현재 가곡의 계통이 이어지고 있다. 근래에는 하규일의 제를 이은 이병성(李炳星), 이주환(李珠煥)이 명인으로 꼽혔다. 중요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로 이주환이 작고한 뒤에 남창(男唱)에 전효준, 홍원기, 여창(女唱)에 김월하(金月荷, 본명 김덕순 金德順)가 보유자가 되었으나 모두 사망하였고 현재는 남창에 김경배, 여창에 김영기, 조순자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악보정보
가곡에 관한 문헌에는 악보와 사설집[歌集]이 있다. 현전하는 악보는 대부분 거문고보와 양금보(洋琴譜)이고, 가야금보 · 비파보 · 휘금보(徽琴譜) 등도 전한다. 사설을 모아 놓은 것이 가집인데, 더러는 사설에 노래선율의 특징을 표시하는 연음표(連音標)를 병기하고 있다. <현금동문류기> <백운암금보> <신증금보> <어은보> <유예지> <삼죽금보> <일사금보> 사설본으로는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관련도서
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 최신국악총론,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일조각, 1984.
용어해설
* 정가한국 전통 음악에 있어서 정가(正歌)란 정악(正樂)에 속하는 성악곡을 가리키는 말로, 가곡·가사·시조 등 세 종류의 성악곡이 정가로 분류된다. 속가(俗歌)와 반대되는 개념의 노래인 정가는 바른 노래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사대부와 선비 등의 계층에서 인격 수양을 위하여 불리어졌던 노래이다. 정가를 부를 때에는 정가의 법도 즉, 5 음 이외의 소리는 잡소리이므로 사용을 금하고, 난초·매화의 암향 같은 그윽하고 청초한 흥취를 간직하여야 하며, 장미나 모란같이 화려한 멋을 부리지 말아야 하고, 격렬한 음의 떨림이나 폭넓은 음의 꺾임을 금하는 등의 법도를 지켜 자유로운 감정의 표현을 엄격하게 금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러한 정가의 엄격함은 조선 후기로 오면서 차차 무너져 상당한 속화가 이루어지게 되나 정가는 아직도 기본적인 본래의 고상함을 간직하고 있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시김새시김새란 기악의 경우에는 하나의 줄이나 하나의 지공에서 발한 소리의 여음 변화를 가리키는 말이며, 성악의 경우에는 한번의 발성에서 음고와 음색, 그리고 음질을 변화시키는 기법을 가리키는 말이라 할 수 있다. 광의의 의미로 시김새를 다른 말로 농음이라고 하기도 하며, 현악기만을 두고 시김새를 말할 때에는 농현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이 시김새엔 여러 꼴이 나타나는데 대개 네 개의 틀로 이루어진다. 첫째 요성(搖聲)-흔들어 주는 소리(치키는 요성, 굵은 요성, 잔잔한 요성) 둘째, 전성(轉聲)-한 박 이내의 짧은 싯가에서 강하게 굴러 주는 소리, 셋째 퇴성(退聲)-음의 뒤가 흘러내리는 소리, 넷째 추성(推聲)-음의 뒤끝을 살짝 밀어 올려 주고 다음 음으로 급히 진행하는 소리로 구성된다. 시김새는 역동성과 시간성을 가지며 음색과 음질을 변화시켜 가면서 그 음악만의 독특한 맛을 결정짓게 하는 우리 음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음에 무슨 시김새가 출현하는가를 살펴보면 그 음악의 선법이나 계통을 구별할 수 있다.* 겉목과 속목겉목은 보통 흉성이라고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흉성이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겉목을 가슴으로 발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겉목이든 속목이든 다 발성의 근원지는 아랫배로 같다. 겉목은 아랫배에 힘점을 두고 목에서 입으로, 90도로 바로 소리를 내보내며, 속목은 목에서 미간쪽으로, 120도이상으로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소리의 빛깔이 확연히 다르다.
연계정보
-가곡원류(歌曲源流)
-청구영언(靑丘永言)
-해동가요(海東歌謠)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10건)
이미지 10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