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섬집아기

작품명
섬집아기
작곡가
이흥렬
개요
<섬집아기>는 1950년 4월 <소학생>지에 실려 알려졌다. 우리에게 자장가로 친숙한 노래다.
해설
이 동요는 7·5조의 음수율을 지닌 정형시이다. 참으로 호젓하고 쓸쓸한 분위기를 띠기도 한 이 동요는 외딴 섬, 그리고 외딴 집의 아기와 어머니에 이어진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이 노래에서는 무엇보다 '다 못 찬 굴바구니'의 구절에서 강한 감동을 받는다. 또한 이 구절에서 어머니가 아기를 염려하는 사랑을 느낄 수 있다. '끼룩 끼룩 끼룩 끼룩' 갈매기가 울고 있다. 엄마는 그때까지 섬 그늘에서 굴을 따고 있었다. 그런데 갈매기 소리를 듣고 보니 생각나는 게 있다. 아기를 집에 혼자 두고 온 것이다. '혼자서 심심하겠다. 집을 잘 봐라. 응, 착하지.'라고 아기를 달래 놓고 왔다. 그런데 바다의 파도 소리를 자장가 삼아 아기는 잠이 들었다. 그래도 엄마 마음에는 걱정이다. '혹시나 무슨 일이라도….' 이렇게 생각하고 보니 마음이 놓이지 않는 것이다. 엄마는 가득 채우지 못한 굴바구니를 머리에 이고 모랫길을 달려온다. 아기가 걱정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러 가면 아기가 혼자 남아 집을 보다가 바다가 불러주는 자장 노래에 팔 베고 스르르르 잠이 듭니다 아기는 잠을 곤히 자고 있지만 갈매기 울음소리 맘이 설레어 다 못찬 굴바구니 머리에 이고 엄마는 모랫길을 달려옵니다
작사가
한인현(韓寅鉉, 1921~1969)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나 광명보통학교와 함흥사범학교를 거쳐 건국대학교를 졸업했다. 1923년 무렵 <아이생활> 어린이지에 동요를 발표함으로써 동요 동시를 쓰기 시작했다. 서울은석초등학교 교장, 한국글짓기 지도회 회장을 역임했다. 대표작으로는 <섬집 아기>가 있다. 저서로는 동요 동시집인 <민들레>, <푸른 교실>이 있다.
작곡가
이흥렬(李興烈, 1909~1980) 함경남도 원산 출생. 일본 동양음악학교(현 동경음대의 전신)를 졸업하고 1931년에 귀국하여 보통학교 교사생활을 하면서 동요 작곡을 시작했다. 1933년경 경성보육학교에서 홍난파와 함께 일하기도 했으며, 1934년에 <이흥렬 작곡집>, 1937년에 동요집 <꽃동산>을 출간하였다. 널리 알려진 곡으로 <봄이 오면>, <바위 고개>, <자장가> 등이 있으며, 가곡, 동요 등 400여 곡을 작곡했다. 서라벌예대 교수, 숙명여대 음대 교수를 지냈으며, 예술원 회원, 한국작곡가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59년과 1961년에 대한민국 문화상과 서울시 문화상, 1963년에 대한민국 문화훈장, 대통령상,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음악의 종합연구>(1958), <새로운 음악통론>(1962) 등이 있다.
리뷰
“<섬집아기> 노래비 건립놓고 시끌”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러 가면 / 아기가 혼자 남아 집을 보다가 / 바다가 불러주는 자장 노래에 / 팔베고 스르르르 잠이 듭니다” 동요 <섬집아기>(한인현 작사·이흥렬 작곡)가 노랫말의 서정을 뒤로 한 채 느닷없는 노래비 건립을 싸고 분란에 휩싸였다. 제주도가 <섬집아기>노래비 추진에 나서자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한국민족음악인협회 민족문학작가회의 등이 “섬집아기는 제주도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데도 노래비를 건립하는 것은 일방 행정의 구태”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제주민예총 등 제주의 문화예술 단체들도 도민의 의견 수렴 절차 없이 이뤄졌다며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이들의 반대 이유는 <섬집아기>노랫말에 담겨 있는 ‘섬그늘’이나 ‘굴’ 등이 해양문화를 연상시키지만 제주문화와 연결시킬 직접적인 요소가 없다는 것. 작곡자 이흥렬의 친일행적 논란,노래비 건립비용의 과다책정(1억5000만원) 문제도 제기하고 있다. <섬집아기>가 제주도와 무관하다는 사실은 제주도나 노래비사업 주관자인 한국음악협회 제주도지부(지회장 강문칠·제주관광대 음악예술과 교수)도 인정하고 있다. 음협측은 그러나 “이 노래의 저작권자가 노래비 건립 후 발생하는 저작권료를 제주도에 이양한 마당에 제주적인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반대하는 것은 편협한 생각”이라고 반박했다. 연 1000만원에 이르는 저작권료도 제주음악문화 발전에 쓰겠다는 것이다. 문제가 불거지자 <섬집아기>의 작곡자 이흥렬의 차남 이영조씨(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는 “아버지의 친일 문제까지 들먹여지는 상황이라면 노래비를 건립할 이유가 없다”며 철회 의사를 비쳤다. 이씨는 지난해 7월 제1회 탐라전국합창축제 행사에 참여했다가 제주도 측과 <섬집아기> 이야기를 나누다 노래비 건립으로 이어져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지역에 노래비를 세우기로 합의했다. 현재 ‘섬집아기 노래비 건립사업’은 내년 2월28일 준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국민일보>, 2002년 12월 11일
관련음반
<창작동요 80년 - 애창동요 80곡>, 한국음악교육연구회, 2004 <열려라 동요천국>, 가람미디어, 2004 <신나는 동요나라 135곡>, 블루마인드, 2005 <한국동요>, 선명회어린이합창단, 성음, 1976 <한국어린이노래모음 제1집>, 프린스레코드사, <이선희 애창동요>, 서울음반, 1993 <엄마가 들려주는 자장가>, 예원레코드사, 1994
관련도서
<한국예술총집 음악편>, 대한민국예술원, 1998 <한국 작곡가 사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시공사, 1999 <기억하고 싶은 선구자>, 한상우, 지식산업사, 2003 <민들레: 한인현 글모음>, 한인현 기념사업회, 은석국민학교, 1970 <이흥렬가곡집>, 이흥렬, 국민음악연구협회, 1971 <음악감상론>, 이흥렬, 정음사, 1976 <음악통론>, 이흥렬, 교문관, 1962
연계정보
-이흥렬(李興烈)
-꽃밭에서
관련사이트
한국동요음악연구회
관련사이트
한국음악교육연구회
관련사이트
한국음악협회
관련사이트
동심넷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