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마스게임

작품명
마스게임
구분
1970년대
작품소개
마당극 <마스게임>은 <노비문서>(1979)와 함께 윤대성의 무대극을 마당극으로 재구성하여 공연한 작품이다. 원작은 <출세기>로, 갱도에 파묻혔다가 극적으로 살아난 김창호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잔인한 생존법에 대해 비판하는 작품이다. 이화여대 문리대 연극반의 마당극 <마스게임>은 임진택 연출로 1978년 이화여자대학교 운동장에서 공연되었다.
출연/스태프
출연 조성미 이화원 이정혜 김명화 박동숙 외 스태프 원작/윤대성 구성/공동구성 연출/임진택 안무/이애경 기획/방동숙
예술단체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연극반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연극반은 1960년 전후 창립되어 초기에는 영문학자 김갑순 교수의 번역으로 해외 작품의 국내 초연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1970년 중반부터 우리 문화를 바탕으로 한 창작극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방향을 선회하여 전통을 연구하고 마당극을 제작하게 되었다. 특히 임진택과 함께 기존 무대극을 마당극으로 새롭게 해석한 <유랑극단>(이근삼 작, 1977), <노비문서>(윤대성 작, 1978), <마스게임>(윤대성 작, 1979)은 마당극사에서도 중요한 작품들이다. 이대 문리대 연극반이 배출한 연극인으로는 배우 박정자, 배우 김화영, 연극 <마요네즈>의 작가 전혜성, 극단 ‘표현과 상상’ 예술감독 노승희, 청소년교육연극집단 연극공간 ‘해’ 대표 노지향, 무대감독 김지명 등이 있다. 이화여대 총연극회로 통합된 이후로는 작가 김명화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거친 연출가 오유경, 배우 박명신, 김은숙 등이 있다. 자료제공: 이화원(상명대학교 교수)
예술가
임진택 (1950~ ) 전라북도 김제 출생.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양방송(TBC)과 한국방송공사(KBS) 프로듀서로 근무했다. 판소리를 전수받았으며 한두레 및 연우무대 등에서 활동하면서 초기 마당극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1981년 관변축제 <국풍81> 추진거부로 강제 사직된 후 마당극 전문극단 연희광대패를 창립(1985), 창작판소리 <똥바다>, <오월 광주> 등으로 세계를 순회했다. 1995년 극단 길라잡이를 창단하여 현재까지 상임연출 겸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대변인과 상임이사, 전국민족극운동협의회 의장, 과천세계마당극큰잔치 실행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남양주세계야외공연축제, 전주세계소리축제 등에서 일하고 있다. 마당극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작가, 연출가, 배우, 이론가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현재까지 여러 국제공연축제에 관여하면서 마당극양식의 변화와 발전에 매진하고 있다. 대표작 <진오귀굿> <소리굿 아구> <마스게임> <돼지꿈> <노비문서> <장사의 꿈> <나의 살던 고향은> <똥바다>
비평
(……) 채희완 (……) 마당극이라는 이름을 표방했는가 안 했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만 요즘 어느 정도 양식적인 정착을 보여주고 있는 마당극의 공연 양태들이 어떠했는가를 추적해보자면 77년인가 임진택 씨가 연출한 이화여대의 <유랑극단>을 비롯하여 <혈맥>, <출세기> 그리고 <객지> 등 기존 희곡을 새롭게 구성해서 한 것이 보다 구체적으로 양식적인 틀을 의식하면서 만든 작품의 예가 될 것입니다. (……) - ‘민중예술운동, 이제부터의 과제’, 채희완 외(대담), <창작과 비평> 63호, 창작과비평사, 1989.봄 (……) <진오귀> 이후 70년대 중반과 후반에 걸쳐 민중연극으로서의 마당극은 유신체제의 억압을 뚫고 민중생활의 현장을 찾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때의 마당극은 일률적인 형태로 나타난 것이 아니고 입장과 정황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을 띠게 되었다. <소리굿 아구>나 <공장의 불빛>처럼 노래극·가무극의 형태를 띤 것, (……) <유랑극단>, <돼지꿈>, <마스게임>, <노비문서>처럼 무대희곡을 마당공연으로 바꾸어 양식실험을 한 것이 있는가 하면, (……)까지 각양각색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연들을 후에 ‘마당극’이란 명칭으로 한 부류로 묶은 것은 그것들의 양식적 측면 때문만은 아니었다. 차라리 이들 공연들은 이념적 측면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고 또 그것들이 연희되는 유통구조에 있어 철저하게 열린 방식(툭 터놓고 주고받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점이 같았다고 볼 수 있다. (……) - ‘80년대 연희운동의 전개 – 마당극·마당굿·민족극을 중심으로’, 임진택, <창작과 비평> 69호, 창작과비평사, 1990.가을
관련도서
<창작과 비평> 63호, 창작과비평사, 1989.봄
사진자료 제공
이화원
연계정보
-출세기
-노비문서(마당극)
-돼지꿈
관련멀티미디어(전체3건)
이미지 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