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강릉학산오독떼기(江陵鶴山오독떼기)

작품/자료명
강릉학산오독떼기(江陵鶴山오독떼기)
전승지역
강원도 강릉시
지정여부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
구분
민속악
개요
강원도 강릉 일대에 전승되고 있는 ‘김매기 소리’의 하나이다. 강릉 지방에서는 마을마다 두레패를 이루어 한 조에 두 명씩 여러 조를 만들어 번갈아 가며 <오독떼기>를 불러가면서 즐겁게 김을 맨다. 부르는 속도나 가사에 따라서 ‘냇골오독떼기’, ‘수남오독떼기’, ‘하평오독떼기’로 달리 부르고 있다. <강릉학산오독떼기>는 ‘냇골조 오독떼기’이다.
내용
<강릉학산오독떼기> 소리의 음조직은 미·솔·라·도·레의 5음계로 되어 있고, ‘미’로 시작하여 ‘미’로 끝난다. 장단은 일정하지 않은 자유스러운 장단으로 되어 있다. <오독떼기> 머리좋고 실한처녀 줄줄뽕 낙에 걸어앉네 어어리 어으디야 아이고나 이리야 아아리골 다디여라 사라앙이요오 지야자 지여올줄 무엇 못 오든가 모시적삼 젖혀들고 연적 같은 젖을 주오(후렴) 연줄가네 연줄가네 해해 달속에 연줄가네(후렴) <꺾음오독떼기> 간데쪽쪽 정들여놓고 이별 짖어 모 살것네 강릉에라 남대천에 빨래 방치 둥실떴네 후렴구는 마치 범패와 같이 장인굴곡(長引屈曲)되는 소리로 부르고 특히 <꺾음오독떼기>가 더욱 그렇다. 이 <오독떼기>와 ‘잡가·사리당’ 등의 소리를 섞어서 부르며 흥을 돋우는데 김맬 때만이 아니라 놀 때에도 이 소리들을 부른다.
전승자 정보
김철기(1928.9.12) 윤흥용(1925.5.17)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지정관련가치정보
연계정보
-민요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