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꼭꼭 숨어라

개요
숨바꼭질은 언제 어디서나 즐기는 우리 고유의 전래놀이다. 숨기도 하고 찾기도 하며 노래부르고 달리기도 하는 등 재미있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이 곡에 나오는 노랫말 중 '텃밭'은 울타리나 담 밑에 만든 밭을 일컬으며 '꽃모중'은 꽃의 어린 싹을 말한다. 그리고 '댕기'는 여자의 길게 땋은 머리끝을 묶는 헝겊이나 끈을 가리킨다.
해설
술래를 정한 다음 모두 숨으면 술래는 정해진 집(기둥)에서 눈을 손으로 가리고 쉰까지 센 후 숨은 사람들을 찾으러 간다. 숨은 사람을 발견하면 이름을 크게 부르고 달려와 집을 찍는다. 술래 몰래 숨은 사람이 달려나와 ‘찍었다’ 하고 외치며 집을 찍으면, 그 사람은 다음번 숨바꼭질에서도 숨을 수 있다. 모두 찾으면 술래를 제외한 나머지 어린이들 중에서 술래를 정한다. 술래가 더이상 못 찾아 ‘못 찾겠다 꾀꼬리’ 하고 외치면 그때까지 안 들키고 숨어 있던 어린이는 다음번 숨바꼭질에서도 숨을 수 있다. 숨바꼭질 놀이를 두 편으로 갈라서 할 수도 있다. 술래가 된 편은 제자리에 있고 숨는 편은 가까이에 숨는다. 숨는 편이 다 숨은 뒤 “꼬옥꼬옥꼬옥” 하고 길게 외치면 그때부터 술래 편이 찾으러 간다. 술래편이 못 찾을 때 숨는 편이 소리를 질러 자신들이 있는 곳을 알려준다. 숨는 편을 모두 찾으면 바꾸어서 한다. 참고: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래동요의 효과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놀이와 가사 활용을 중심으로>, 윤상, 2004
노래 부르는 방법
자진모리 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항아리는 안된다’ ‘고추장이 들어있다’ 식으로 한 장단씩 주고받으며 부르는 노래다.
관련음반
<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게 새집 다오>, 보림, 2005 <할머니가 들려주는 아름다운 우리나라 옛동요>, 가람미디어, 2002 <신나고 즐거운 전래동요-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 국립국악원, 2001 <전래동요를 찾아서>, 우리교육, 2000
관련도서
<2000 우리노래교실 악보집 국악가요편>, 국립국악원, 2000 <전래동요를 찾아서>, 홍양자, 우리교육, 2000
연계정보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관련사이트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관련사이트
정창관의 국악음반세계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