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장마
- 출연/스태프
- *출연 황정순, 이대근, 김신재, 김석훈 *스태프 제작/서정호, 기획/김승, 감독/유현목, 각본/윤삼육, 촬영/유영길, 조명/김태성, 음악/한상기, 녹음/손인호, 미술/조경환, 소품/이월호, 효과/손효신, 편집/이경자
- 내용
- 6·25 전쟁이 터져 한 지붕 아래 살게 된 동만이네 친삼촌은 빨치산이고, 외삼촌은 국군이다. 이러한 연유로 친할머니와 외할머니 사이가 좋지 않은데, 동만은 외할머니와 더 친하여, 친할머니의 미움을 받는다. 이 무렵 빨치산 부대가 읍내를 습격해 전원 사살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동만의 아버지는 삼촌이 죽었을 거라 단정짓지만 할머니는 믿지 않는다. 아들이 죽지 않았으며 곧 돌아올 거라는 점쟁이 말을 믿는 할머니는 삼촌을 위한 음식 장만에 여념이 없다. 그러나 삼촌은 오지 않고 구렁이 한 마리가 집안으로 기어든다. 집안을 맴돌다 살며시 대문 밖으로 나간 구렁이 탓에 친할머니와 외할머니의 오랜 다툼도 해소된다. 장마비가 그친 듯 마음이 활짝 개었지만, 끝내 삼촌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 예술가
- *유현목(1924~ ) 황해도 사리원 출생. 동국대 국문과에 재학 중이던 1947년, 이규환 감독의 조감독 생활을 시작으로 영화계에 뛰어든다. 1956년 <교차로>로 데뷔한 후, 1995년 <말미잘>에 이르기까지 총 42편의 영화를 연출하며 독창적인 유현목 스타일을 창조해 나간다. 어둡고 절망적인 사회 현실 속에서 투철한 작가 의식이 스민 독특한 영상을 바탕으로 한국 영화계를 한 단계 성숙시켰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는 작품을 통해 신과 인간의 실존적 문제에 관해 진지하게 접근했으며, 뛰어난 영화적 수사를 곁들인 사회 비판적 묘사가 일품으로 손꼽힌다.
- 작품정보
- 오발탄 (1961) 김약국의 딸들 (1963) 잉여인간 (1964) 순교자 (1965) 막차로 온 손님들 (1967) 카인의 후예 (1968) 사람의 아들 (1980) 말미잘 (1995)
- 리뷰
- *작품해설 윤흥길의 원작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 좌우익의 이념 대립 속에 펼쳐진 집안사를 다룬 작품으로, 어린 아이의 시각을 빌어 영상화한 점이 눈에 띤다. *평론 분단이 가져온 민족의 분열과 이데올로기의 갈등을 한집 울타리 안에 몰아넣고 냉철하게 관찰하고 있는 이 영화에서 물리적 분단의 비극을 동질성의 회복과 인정적 공감대를 통해 극복하려는 정제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특히 남과 북을 첨예하게 대립시킨 사상적 이데올로기가 공존함으로써 야기되는 위기의식이 드라마의 갈등을 증폭하고 있으나 끝내는 소년의 순진무구한 시각을 통해 승화시키는 이야기의 기승전결이 돋보였다. (영화평론가, 허창)
- 수상내역
- 제18회 대종상 우수작품상, 촬영상 제4회 상파울로국제영화제 출품
- 관련도서
- <닫힌 현실, 열린 영화–유현목 감독 작품론>, 전양준ㆍ장기철, 제3문학사, 1992 <유현목–영화인생>, 유현목, 혜화당, 1995 <유현목, 한국 리얼리즘의 길찾기>, 이용관ㆍ이효인ㆍ정재형, 큰사람, 1999
- 관련사이트
- 유현목 감독 인터뷰
-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
이미지 0건
해당 이미지는 예술지식백과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미지 확대보기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