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왕십리
- 출연/스태프
- *출연 신성일, 김영애, 전영선, 윤양하 *스태프 제작/김용덕, 감독/임권택, 각본/이희우, 촬영/이석기, 조명/정덕규, 음악/정성조, 녹음/김성찬, 미술/노인택, 소품/심의승, 효과/손효신, 편집/김희수
- 내용
- 가난한 집 딸인 정희와 사랑에 빠진 준태는 부모의 완강한 반대로 결혼 생각을 접고 해병대에 입대한다. 제대 후 사업에 성공한 준태는 과거의 연인 정희를 찾아 왕십리로 가지만 찾을 수 없고, 대신 거기서 일하는 호스티스 윤애를 알게 된다. 결국 정희가 남의 부인이 되었다는 슬픈 사실만 확인한 채, 과거를 청산하는 준태는 윤애와 결혼하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신분의 차가 너무 크단 사실을 깨달은 윤애는 떠나버리고, 준태는 고향인 왕십리를 위해 열심히 살아간다.
- 예술가
- *임권택(1936~ ) 전남 장성 출생. 정창화 감독 문하에서 연출부 생활을 하다, 1962년 <두만강아 잘 있거라>로 감독 데뷔한다. 1960년대에는 멜로드라마, 전쟁영화, 역사극, 액션물 등 다양한 장르를 섭렵하다가 1973년 <잡초>를 계기로 연출 스타일에 변화를 준다. 그 이후 노련한 연출 노하우와 원숙한 작가의식을 바탕으로 심도 깊은 주제가 돋보이는 수작들이 쏟아져 나오는데, 1981년 <만다라>에 이르러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1993년 한국영화사상 최고의 흥행기록을 갱신한 명작 <서편제>를 연출하여 한국영화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고, 그로부터 9년 후, 화가 장승업의 생애를 조명한 <취화선>으로 2002년 칸느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다. 명실공히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영화작가다.
- 작품정보
- 두만강아 잘 있거라 (1962) 잡초 (1973) 증언 (1973) 왕십리 (1976) 짝코 (1980) 만다라 (1981) 안개마을 (1982) 티켓 (1986) 씨받이 (1986) 아제아제 바라아제 (1989) 서편제 (1993) 춘향뎐 (2000) 취화선 (2002)
- 리뷰
- *작품해설 조해일의 원작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감독인 임권택의 말을 빌자면, 고향 또는 이 땅의 뿌리에 대한 애정에서 시작된 영화다. “<잡초>가 내 삶에 애정을 갖기 시작한 영화라면, <왕십리>는 내가 살고 있는 땅을 사랑하기 시작한 영화입니다. 그래서 나 스스로는 이 영화가 자신의 전 작품 속에서 가장 서정적인 화면을 구성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왕십리>는 고향의 이미지입니다.” 떠나고 싶지만 떠날 수 없는 땅인 ‘고향’이라는 주제를 표현하기 시작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평론 현대인의 고독하고 황량한 심상 같은 것이 잘 나타나 있는 <왕십리>는 임권택 감독의 긴 영화 작업과정에서 하나의 이정표로 간주되기도 한다. (영화평론가, 임영) 서민들의 삶의 의지와 정이 엉켜있는 왕십리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임 감독의 영화 역정의 분기점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작품이다. (<한국영화 100년>, 호현찬, 문학사상사, 2000)
- 수상내역
- <한국영화연구1-임권택>, 정성일, 도서출판 오늘, 1987 <임권택 감독과의 만남>,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센터, 1991 <서편제-영화이야기>, 임권택, 하늘, 1993 <한국영화와 임권택>, 사토 다다오, 한국학술정보㈜, 2000 <한국영화 100년>, 호현찬, 문학사상사, 2000
- 관련도서
- 한국영화연구1 – 임권택, 정성일, 도서출판 오늘, 1987 임권택 감독과의 만남,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센터, 1991 서편제-영화이야기- 임권택, 하늘, 1993 한국영화와 임권택, 사토 다다오, 한국학술정보㈜, 2000
- 관련사이트
- 시네마클럽 영화교실 임권택 감독론(1)
- 관련사이트
- 시네마클럽 영화교실 임권택 감독론(2)
- 관련사이트
- 로드쇼 인터뷰
- 관련사이트
- KBS 저널
- 관련사이트
- Film 2.0
-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
이미지 0건
해당 이미지는 예술지식백과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미지 확대보기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