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한(恨)
- 출연/스태프
- *출연 오영일, 문희 *스태프 제작/이종벽, 기획/김승업, 감독/유현목, 각본/이상현, 촬영/장석준, 조명/차정남, 음악/김동진, 녹음/한양, 미술/박석인, 편집/이경자
- 내용
- 녹의 권 : 천생배필로 맺어진 부부가 이승에서 못다한 인연을 죽어서 맺는다는 내용. 한의 권 :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살아가던 광대가 어느 날 부인과 자식을 억울하게 여의고, 이를 복수한다는 내용. 원의 한 : 불치병에 걸려 죽게 된 남편을 위해 부인이 지극 정성으로 약을 구해 마침내 남편을 소생시킨다는 내용.
- 예술가
- *유현목(1924~ ) 황해도 사리원 출생. 동국대 국문과에 재학 중이던 1947년, 이규환 감독의 조감독 생활을 시작으로 영화계에 뛰어든다. 1956년 <교차로>로 데뷔한 후, 1995년 <말미잘>에 이르기까지 총 42편의 영화를 연출하며 독창적인 유현목 스타일을 창조해 나간다. 어둡고 절망적인 사회 현실 속에서 투철한 작가 의식이 스민 독특한 영상을 바탕으로 한국 영화계를 한 단계 성숙시켰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는 작품을 통해 신과 인간의 실존적 문제에 관해 진지하게 접근했으며, 뛰어난 영화적 수사를 곁들인 사회 비판적 묘사가 일품으로 손꼽힌다.
- 작품정보
- 오발탄 (1961) 김약국의 딸들 (1963) 잉여인간 (1964) 순교자 (1965) 막차로 온 손님들 (1967) 카인의 후예 (1968) 사람의 아들 (1980) 말미잘 (1995)
- 리뷰
- *작품해설 여러 전설과 설화들 속에 담긴 한을 소재로 한 옴니버스 영화이다. <녹의 권>, <한의 권>, <원의 권> 등 세 에피소드로 나뉘어져 있다. *평론 옛날 이야기 속에 나타나는 한은 단순히 한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행복한 결말을 위한 과정적 요소로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 형태인데, 이 영화에 등장하는 한도 결국은 중간 과정으로서의 고난이란 의미로 볼 수 있다. <녹의 권>이 부부로서의 인연을 맺는 과정이라면 <한의 권>은 갈등의 발전, <원의 권>에서는 그러한 갈등의 풀림을 표현하고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영화평론가, 조희문)
- 수상내역
- 제1회 남도영화제 감독상 제4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촬영상 제5회 청룡상 미술상, 기술상, 조명부문상 제6회 대종상 촬영상
- 관련도서
- <닫힌 현실, 열린 영화–유현목 감독 작품론>, 전양준ㆍ장기철, 제3문학사, 1992 <유현목–영화인생>, 유현목, 혜화당, 1995 <유현목, 한국 리얼리즘의 길찾기>, 이용관ㆍ이효인ㆍ정재형, 큰사람, 1999 <한국영화 100년>, 호현찬, 문학사상사, 2000
- 관련사이트
- 유현목 감독 인터뷰
-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
이미지 0건
해당 이미지는 예술지식백과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미지 확대보기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