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빨간 마후라

출연/스태프
*출연 신영균, 최은희, 최무룡, 한은진 *스태프 제작/신상옥, 기획/황남, 감독/신상옥, 각본/김강윤, 촬영/김종래, 조명/이규창, 음악/황문평, 녹음/손인호, 미술/송백규, 효과/이상만, 편집/양성란
내용
6·25 당시 한국 공군은 출격 때마다 많은 희생을 치른다. 그 가운데 나관중 대위는 백 회 출격 기록을 세운 용감한 조종사로 적은 봉급에도 불구하고 동료, 후배 조종사들에게 아낌없이 베풀며 정을 돈독히 쌓는다. 어느 날, 빠의 마담과 결혼한 전우가 적기 폭격에 맞아 목숨을 잃자, 대위는 슬픔에 잠긴 부인을 위로하다 사랑에 빠진다. 친한 친구의 미망인이지만 앞으로 더욱 아끼고 사랑해줄 것을 결심하며 전사한 동료의 명복을 빈다.
예술가
*신상옥(1925~ ) 함북 청진 출생. 1952년 <악야>로 데뷔한 후, 액션물, 멜로드라마, 전쟁영화, 코미디, 사극, 계몽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추구했으며, 1960~1970년대 들어 연평균 2편 이상의 작품을 연출한 다작 감독으로도 유명하다. 1960년 신필림을 창립한 후, 제작과 배급, 상영을 잇는 거대 수직 통합망을 구축하려 노력하고, 이를 통해 한국 영화가 전근대적 유산을 털고 근대화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감독의 작품들 전반에는 사회의 지배적인 윤리 가치와 그 가치에 양립하지 못하는 인물들의 비극적인 모습이 심미적으로 묘사된다.
작품정보
악야 (1952) 꿈 (1955) 무영탑 (1957) 지옥화 (1958) 어느 여대생의 고백 (1958)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1961) 성춘향 (1961) 연산군 (1961) 폭군 연산 (1962)
리뷰
*작품해설 공군 조종사의 투혼과 전우애를 그린 작품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며 신상옥 감독의 지명도를 넓힌 작품이다. 당시 평균 제작비의 두 배 이상을 들여 제작되었으며 관객 동원, 영화제 수상, 해외 수출 등 모든 면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평론 전쟁은 더 이상 칭송의 대상이 아니었다. 1964년에 필요했던 것은 병사 개개인의 용기와 정열과 사랑이었다. 이 영화는 그런 맥락에서, 청춘을 노래하는 청춘 송가인 셈이다. 빨간 마후라를 목에 두르고 비합리적인 환경을 의리와 적개심으로 극복했던 유치함과 낭만. 이 영화는 그 지점에서 멈추어 서서 한국 영화의 발목을 잡았다. (참고: <한국영화씻김> 중)
수상내역
제2회 청룡상 남우조연상(최무룡), 각본상, 색채촬영상, 기술상(편집부분) 제4회 대종상 여우조연상(윤인자), 촬영상 제11회 아시아영화제 남우주연상(신영균), 편집상, 감독상
관련도서
<월간조선>, 1983년 10월호, ‘신상옥의 영화, 신상옥의 예술’ <주간조선>, 1987년 11월 29일자, ‘한국 영화인물 85년 126-<악야>와 신상옥 감독’ <조국은 저 멀리(상ㆍ하)>, 최은희ㆍ신상옥 공저, 패시픽 아티스트 코퍼레이숀, 1988 <김정일 왕국(상ㆍ하)>, 신상옥ㆍ최은희 공저, 동아일보사, 1988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