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보리밭-윤용하

내용
피난에서 돌아와 내놓은 작품으로 전쟁에 시달린 예술가의 희망에 대한 의지와 애절한 절규가 담긴 곡이다. 이 가곡은 그저 좋은 곡으로만 알려졌으나 그가 작고한 뒤 어느 유행가 가수가 레코드에 취입함으로써 대중적인 인기를 모아 유명해지게 되었다. 이 노래는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데다가 사람의 마음을 격정의 도가니로 몰아갈 수 있거니와 소박한 정취가 살아있는 명가곡이다. 가사 보리밭 사잇길로 걸어가면 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 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 고운 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뵈지 않고 저녁놀 빈 하늘만 눈에 차누나
예술가
윤용하 (尹龍河 1922~1965) 작곡가. 황해도 은율군 출생. 만주 봉천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독실한 카톨릭교도의 집안에서 성장하여 어렸을 적부터 교회를 통해 음악을 접하였다. 정규 음악교육을 받은 적은 없으며 봉천방송국 관현악단의 지휘자인 일본인 가네꼬로부터 부정기적으로 화성법과 대위법을 배우고 그 외 독학과 개인적인 음악적 경험으로 합창곡, 동요곡 등을 작곡하였다. 봉천에서는 조선합창단을 조직하여 서너 차례에 걸쳐 발표회를 가졌다. 이 당시에 교성곡 <조선의 사계>와 가곡 <독백> 등을 작곡하였으며, 특히 <조선의 사계>는 그의 처녀작으로 봉천조선합창단의 합창과 봉천방송국 관현악단의 반주로 연주되고 방송되었다. 1943년 신경으로 가서 김동진, 김대현 등과 함께 활발한 음악활동을 펼쳤다. 이 세 사람이 합작으로 대합창곡을 작곡하여 한국인 연합합창단과 신경교향악단의 협연으로 발표회를 갖기도 하였다. 또한 백조합창단을 조직하여 합창음악을 계속 발표하였다. 그 후 간도사범에서 교편을 잡다가 8ㆍ15 해방 이후 귀국하여 함경도 용정과 함흥 영생여중 교사를 지냈다. 공산정권 치하에서 남하하여 서울의 한양공고와 동북고교에서 음악교사를 하면서 많은 가곡과 동요곡을 발표하였다. 동요곡 <나뭇잎배>는 이 때 나온 작품이다. 한편 박태현, 한갑수, 이흥렬 등과 함께 ‘한국음악가협회’를 발족하여 6ㆍ25 이전까지 활동하였다. 6ㆍ25전쟁이 일어나자 부산으로 피난가서 동래에 자리를 잡고 이후 대중적인 사랑을 받은 가곡 <보리밭>(1952년)을 작곡하였다. 피난지인 부산에서도 동요 작곡에 계속 힘써 대한어린이음악원을 만들고 여러 차례 동요작곡 발표회를 개최하여 전시 동요 <피난온 소년> 등을 발표하였다. 또한 전시작곡가협회를 조직하여 종군작곡가로서 최전방을 순회하면서 많은 군가를 만들었다. 정부가 환도한 뒤에는 서울로 올라와 카톨릭음악협회원, 한국작곡가협회 사무국장 등을 지냈다. 1956년 가곡 작품발표회를 열어 <달밤>, <산골의 노래>를 연주하였으며 1957년 서울시향 주최의 ‘한국작곡가의 밤’에서 교향적 서곡 <농촌 서곡>을 연주하였다. 1965년 세상을 떠난 뒤, 1972년에 작품집 <보리밭>(세광음악출판사)이 발간되었다. 주요작품으로는 가곡 <보리밭>(1952) <도라지꽃>(1956), 교성곡 <조국의 영광>, 교향곡<개선>, 그의 마지막 작품이자 미완성작인 오페라 <견우직녀>, 플룻 독주곡 <병사의 꿈>, 교향적 서곡 <농촌풍경> 등이 있다.
작품목록
교향곡 1. 개선 교성곡 1. 조선의 사계 교향적 서곡 1. 농촌풍경 (1956년) 기악곡 1. 플룻 독주곡 오페레타 1. 해바라기의 노래 오페라 1. 견우직녀 가곡 1. 작곡집 <보리밭> (세광음악출판사, 1972년)에 수록된 곡 1) 보리밭 (박화목 작사) 2) 산골의 노래 (박목월 작사) 3) 독백 (김기영 작사) 4) 동백꽃 (이정호 작사) 5) 고독 (황인호 작사) 6) 자장가 (황해룡 작사) 7) 도라지꽃 (박화목 작사) 8) 뱃노래 (이석현 작사) 9) 한가윗 달 (김도성 작사) 10) 도래춤 (김안서 작사) 11) 달밤 (윤곤강 작사) 12) 어느 군인의 독백 (이영순 작사) 아리아 (오페라 <견우직녀> 중에서) 1. 작곡집 <보리밭> (세광음악출판사, 1972년)에 수록된 곡 1) 병상의 노래 (박화목 작사) 2) 나는야 외로워 (박화목 작사) 국민가요 1. 작곡집 <보리밭> (세광음악출판사, 1972년)에 수록된 곡 1) 민족의 노래 (장유점 작사) 2) 무궁화 3) 광복절의 노래 (정인보 작사) 4) 국토아리랑 (이은상 작사) 5) 우리들의 노래 (이기태 작사) 6) 근로인의 노래 (최숙자 작사) 7) 희망의 노래 (조지훈 작사) 8) 전원의 노래 (이석현 작사) 9) 백일(百一) 용사의 노래 (하한주 작사) 동요 1. 작곡집 <보리밭> (세광음악출판사, 1972년)에 수록된 곡 1) 나뭇잎배 (박홍근 작사) 2) 카톨릭 소년의 노래 (이석현 작사) 3) 가을산 (강소천 작사) 4) 가을 소풍 (박화목 작사) 5) 강물과 떼 배 (권태응 작사) 6) 고개길 (이원수 작사) 7) 고개길 버스 (이석현 작사) 8) 고마운 순경 (박화목 작사) 9) 골목길 달 모롱이 (정완영 작사) 10) 구름 (이석현 작사) 11) 굴뚝 (이석현 작사) 12) 귀뚜라미 (이석현 작사) 13) 9ㆍ28 노래 (이석현 작사) 14) 널뛰기 (유석준 작사) 15) 노래는 즐겁다 (박목월 작사) 16) 눈 (김영일 작사) 17) 눈온 날 아침 (박화목 작사) 18) 눈이옵니다 (박경종 작사) 19) 다람쥐 (윤석중 작사) 20) 동물원 곰 (이석현 작사) 21) 동화 할아버지 (이석현 작사) 22) 등대 (박경종 작사) 23) 딱다구리와 다람쥐 (박경종 작사) 24) 때때춤 (이석현 작사) 25) 또랑물 (권태응 작사) 26) 매미와 개미 (박경종 작사) 27) 무지개 (박경종 작사) 28) 무지개 다리 (이석현 작사) 29) 버들 강아지 (이석현 작사) 30) 별 (목일신 작사) 31) 봄이 오네 (김영일 작사) 32) 별님동무 고기동무 (권태응 작사) 33) 산길 (이순희 작사) 34) 산샘물 (권태응 작사) 35) 새나라 새싹 (이석현 작사) 36) 설맞이 (이석현 작사) 37) 성당종 (이석현 작사) 38) 소년 (이석현 작사) 39) 소년의 노래 (강소천 작사) 40) 싸락눈 (이순희 작사) 41) 아기는 해바라기 (이석현 작사) 42) 아기의 꿈 (홍은순 작사) 43) 아지랭이 (서정봉 작사) 44) 우리 엄마 (이석현 작사) 45) 어린 고기들 (권 태응 작사) 46) 어린이날 행진곡 (윤 석중 작사) 47) 어린이 명절 (김영일 작사) 48) 어머니 (이석현 작사) 49) 오리 (권태응 작사) 50) 오막살이 집 (김영일 작사) 51) 우리 나라 좋은 나라 (박화목 작사) 52) 우리집 봄님 (이석현 작사) 53) 인형의 자장가 (강소천 작사) 54) 크리스마스 (이석현 작사) 55) 큰 별이 뜨면 (이석현 작사) 56) 편지 (김영일 작사) 57) 풍년노래 (박경종 작사) 58) 피리 (유석준 작사) 59) 함박눈 (이보라 작사) 60) 호박꽃 초롱 (강소천 작사) 61) 할머니 산소 (이석현 작사) 작곡집 1. <보리밭> (세광음악출판사, 1972년)
연계정보
-나뭇잎 배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