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발탈

흐름
발탈의 기원에 대해서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으나 고증에 따르면 구한말 이전부터 연행된 것으로 보인다. 발탈의 명연희자였던 박춘재와 꼭두각시놀음의 예능보유자였던 남형우, 양도일 등에 따르면 이 놀이는 신라시대에 줄 병영의 군사들을 위로하기 위한 놀이였다는 이야기가 예로부터 전해져 왔다고 한다. 그러나 보다 확실하고 대체적인 견해는 남사당패가 행한 꼭두각시놀음의 변형이거나 유랑예인(流浪藝人)들로부터 파생되었으며, 그것이 협률사(協律社)를 거쳐 광무대(光武臺)와 가설극장, 창극단 등으로 이어진 것이라는 게 지배적이다. 따라서 발탈의 기원은 일단 안성의 남사당패 놀이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유력하며 이것이 주로 중부지방 일원에서 연희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발탈의 변천에 대해서 경기도 안성출신 무속무용인인 김숙자, 무속음악인 전태룡, 발탈 기능보유자 이동안 등의 고증은 본래 정애비(허수아비)로 만든 인형(제웅)의 머리부분을 발바닥에 씌우거나 종이가면을 발에 씌우고 팔은 노끈으로 연결하여 그것을 당기거나 놓으면서 조종했다고 한다. 그러나 광무대 시절에 유행했던 발탈의 주인공인 박춘재에 따르면 노끈을 꿰어 조종한 것이 아니라 직접 손에 한삼을 끼고 연희하였으며, 꼭두각시놀음 예능보유자 남형우는 양팔 끝에 노끈을 연결하여 그 노끈을 위로 올린 뒤 대나무에 연결하고 그 나무를 양손으로 조종하면서 발탈놀이를 했다고 전한다. 초대 발탈 보유자였던 이동안은 노끈에서 변화된 대나무로 조작하는 방식과 박춘재가 하던 손에 한삼을 꿰어 하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해왔으나 손에 한삼을 꿰고 하는 것은 손놀음이 불편할 뿐 아니라 장기간 연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요즘은 포장을 치고 그 안에 누워서 발만 관중에게 내놓고 대나무로 팔을 움직여서 연희한다. 발탈의 춤은 어깨춤과 좌우치기, 목놀이 등 3가지의 춤사위가 등장하는데, 표출방법은 발의 움직임으로 하는 경우와 대나무나 실로 하는 경우 그리고 손으로 춤추는 경우도 있다.
내용
발탈을 연행하는 탈판의 구조는 가로 2m, 세로 약 1m의 크기로 검은 포장막을 4각으로 짜고 탈을 조종하는 연희자가 그 속에 누운 채 발만 포장 앞으로 내놓은 채 진행된다. 연희자가 포장 밖으로 내놓은 발에 탈을 씌우고 상의를 입혀 그 속에 대나무를 꿰어서 양손에 잡고 조종하는 것이다. 탈꾼은 발의 움직임과 손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하여 노래와 춤, 재담을 늘어놓고 포장막 밖에서는 어릿광대가 탈꾼을 상대해준다. 그 옆에는 삼현육각이 반주를 맡는다.
발탈놀이의 구성과 내용
발탈놀이의 등장인물은 조기장사와 그 상대역인 어릿광대, 그리고 조기를 사러 나온 여자 등 모두 3인이다. 주인공은 조기장사이며, 어릿광대가 그 상대역을 담당한다. 발탈놀이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연시간도 다른 민속극에 비해 상당히 짧은 편이다. 심우성이 1972년에 채록한 발탈의 연희본(<발탈 연희고>, 민속문화론서설, 심우성, 동문선, 1998)에 따르면 발탈놀이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번째 대목 – 어릿광대가 발탈의 생긴 모습을 놀리는 대목. 연희본에 따라 이 대목은 빠지기도 한다. 두번째 대목 – 어릿광대가 발탈과 재담을 나누며 발탈에게 팔도유람을 해야 한다 하고는 발탈에게 ‘만고강산’,‘개성난봉가’ 등을 부르게 하며, 타령곡에 맞추어 춤을 추게 한다. 세번째 대목 – 먹는 이야기 대목 발탈은 버섯, 도토리, 대추, 술, 안주, 숭어 등 온갖 고기, 꿩, 비둘기. 맹꽁이. 개구리, 고래, 상어 등도 잡아먹고 영감과 할미의 성기까지 다 먹고, 이제 할 것이 없어서 조기장사를 한다고 한다. 이는 오광대와 야유에서 영노가 비비가 온갖 것을 다 먹는다고 하면서 양반을 위협하는 대목과 유사하다. 네번째 대목 - 조기장사를 하며 고기를 헤아리는 내용의 재담이다. 조기장사 왈 하날기라 대하, 둘이라 대하, 셋이라 대하, 넷이라 대하, 다섯이라 대하, 한뭇이오 두렁, 두뭇두렁, 세뭇두렁, 네뭇두렁, 다섯뭇두렁 등 조기를 헤아리는 내용이다. 다섯째 대목 – 발탈이 ‘고사덕담풀이’, ‘진도아리랑’을 한 다음, 덧뵈기춤을 추다가 탈꾼이 탈을 벗어서 손에 쥐고 구경꾼들에게 인사를 한다. 끝으로 ‘파연곡’, ‘신난봉가’ 등을 악사의 반주에 맞추어 부른다. 발탈에는 ‘만고강산’, ‘개성난봉가’, ‘신난봉가’, ‘진도아리랑’ 등의 노래들이 삽입되어 있는데, 이를 토대로 유추해보건대, 이 노래들이 주로 19세기 중엽 이후부터 유행한 잡가의 목록이라는 점에서 발탈놀이의 형성을 최대한 예전으로 소급하여 잡아도 19세기 이전으로는 소급되기 어려울 듯 하다. 발탈에 나오는 재담의 내용은 주로 무엇을 잡아먹는 이야기와 조기를 헤아리는 이야기 그리고 약 먹는 이야기 등인데, 이 이야기 속에는 잔재주나 장난기, 거기에다 사회를 보는 비판력과 관찰력이 반영되어 있다. 발탈은 풍자적이고 해학적이고 추하기까지 하나 한편으로는 인간적이고 속임없이 폭로하는 등 짓눌렸던 당시의 서민들의 애환을 꾸밈 없이 담고 있다는 면에서 여타의 각 지역 탈놀이에 담긴 내재적 성격과 일치하고 있다. 발탈은 조종형식과 장대인형극의 조종형식 등 두 가지 인형극적 양식을 갖추고 있으나 탈춤으로서의 성격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발탈은 규모가 작은 판놀음의 하나로 광대들의 예능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른바 발탈꾼과 어릿광대의 어울림에서 전승되는 재담 이외에는 거의 현장성이 우세한 것으로 볼 때 대단히 즉흥적인 연희라 할 수 있다.
전승자 정보
발탈이 남사당패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면 그 전승계보는 김덕순, 조갑철, 박춘재, 오명선 씨(꼭두쇠) 등의 류파를 시점으로 하여 김덕순, 조갑철, 박춘재씨 계의 발탈이 이동안씨에게로 이어졌고, 오명선씨의 발탈은 계승자인 남형우씨(꼭두쇠)가 작고한 뒤 명맥이 끊어졌다. 초대 발탈 기능보유자 이동안씨의 발탈은 박해일, 김응수, 김경원 등에게 전승되었다. ·이동안(李東安, 1906~1995) 경기도 화성 출생이며, 이 시대의 마지막 재인(才人), 민속예술의 증인 이라고 불렸던 전통춤꾼이다. 태평무, 승무, 진쇠춤, 신칼대무, 한량춤 등 30여 가지에 달하는 전통춤의 원형을 보존해왔으며, 줄타기의 명인이기도 했다. 그러나 발탈꾼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인정을 받았다. 이동안은 조선시대 전문 예인을 관리하는 재인청의 수장 도대방(都大房)을 세습해 오던 집안의 외아들로 태어나 예인의 되는 것을 반대하는 집안의 뜻을 어기며 13세에 가출하여 남사당패를 따라다니면서 연희를 배웠다. 그는 광무대와 원각사를 거쳐 춤의 명인인 김인호에게 ‘신칼대신무’, ‘진쇠춤’, ‘태평무’ 등을 전수받았으며, 1922년에는 박춘재로부터 발탈을 배웠다. 박해일(1923~ ) 1942년 조하소 선생으로부터 화술과 재담을 사사받았으며, 1953년 대한담우협회 창립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96년 발탈의 예능을 인정받아 이동안의 뒤를 이어 발탈 보유자 인정을 받았다.
연계정보
· 재구성 <무형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제149호, 정병호·최현,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7집-태평무와 발탈' <한국예술사전(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관련도서
<한국예술사전(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文化財 12>, 文化財硏究所 編輯, 1978, 탈 演戱攷(심우성)
용어해설
재인청(才人廳) 구한말, 지방에서 활동하는 직업적 민간 예능인의 연예활동을 행정적으로 관장하던 곳으로 광대청, 장악청, 신청, 풍류방, 공인청이라고도 하였다. 경기도·충청도·전라도 각 군에 두었으며, 총수인 대방(大房)과 그 아래 각 도의 책임자인 도산주(都山主), 그로부터 행정적인 지시를 받는 각 군 소재 재인청의 우두머리인 청수(廳首)로 구성되었다. 각 군의 광대와 재인들에 관한 행정적 업무는 청수가 거느린 공원(公員)과 장무(掌務)가 처리했는데, 주된 임무는 무당의 반주음악을 담당한 무부(巫夫)의 무속음악과 그 당시 백성을 상대로 펼친 재인·광대 들의 오락적 연예활동을 행정적으로 다스린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전통의 일부가 일제강점기에 서울 노량진에 있던 풍류방에서 전승되었고, 신청이라는 이름으로 지금까지 전라도 지방에 전승되고 있다. 삼현육각(三絃六角) 국악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악기편성법으로 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북 1의 6개 악기로 이루어진 편성이다. 대개 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 염불, 타령, 굿거리 같은 무용음악에 쓰이며, 길군악, 길타령, 길염불과 같은 행진음악악(行樂) 이나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은율탈춤, 발탈과 같은 연희에도 사용된다.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경기문화유산(발탈)
관련사이트
경기문화유산-발탈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