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박씨전

작품명
박씨전
저자
미상
장르
국문소설
작품소개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활자본으로 한성서관판 <박씨전>, 대창서원판 <박씨부인전(朴氏夫人傳)> 등이 있다. 필사본인 <명월부인전(明月夫人傳)>은 이 작품의 이명(異名)이다.
내용
명나라 숭정연간 세종조(혹은 세조조)에 한양에 살고 있는 이득춘이라는 사람이 늦게 시백이라는 아들을 얻었는데 사람됨이 총명하고 비범하였다. 어느 날 박처사라는 사람이 찾아와 이득춘과 더불어 신기(神技)를 겨루며 놀다가 시백을 청하여 보고는 그 자리에서 자기 딸과의 혼인을 청한다. 이득춘은 박처사의 신기가 범상하지 않음을 알고 쾌히 응낙한다. 이득춘은 정해진 날짜에 시백을 데리고 금강산으로 가서 박처사의 딸 박씨와 혼인시킨다. 시백은 첫날밤에 박씨가 천하에 박색이요 추물임을 알고 실망하여 그날 이후로는 박씨를 돌보지 않는다. 가족들도 박씨의 얼굴을 보고는 모두 비웃고 욕을 한다. 이에 박씨는 시아버지에게 후원에다 피화당(避禍堂)을 지어 달라고 청하여 그곳에 홀로 거처한다. 박씨는 이득춘이 급히 입어야 할 조복을 하룻밤 사이에 짓는 재주와, 비루먹은 말을 싸게 사서 잘 길러 중국 사신에게 비싼 값에 팔아 재산을 늘리는 영특함을 보인다. 또 박씨는 시백이 과거를 보러 갈 때 신기한 연적을 주어 그로 하여금 장원급제하도록 한다. 시집온 지 삼년이 된 어느 날 박씨는 시아버지에게 친정에 다녀올 것을 청하여 구름을 타고서 사흘 만에 다녀온다. 이때 박처사는 딸의 액운이 다하였기에 이공의 집에 가서 도술로써 딸의 허물을 벗겨주니, 박씨는 일순간에 절세미인으로 변한다. 이에 시백을 비롯한 모든 가족들이 박씨를 사랑하게 된다. 한편 시백은 평안감사를 거쳐 병조판서에 이른 뒤, 임경업(林慶業)과 함께 남경에 사신으로 간다. 그곳에서 시백과 임경업은 가달의 난을 당한 명나라를 구한다. 그들은 귀국하여 시백은 우승상에, 임경업은 부원수에 봉해진다. 이때 호왕(胡王)이 조선을 침공하기에 앞서 임경업과 시백을 죽이려고 기룡대라는 여자를 첩자로 보내 시백에게 접근하게 한다. 박씨는 이것을 알고 기룡대의 정체를 밝히고 혼을 내어 쫓아버린다. 두 장군의 암살에 실패한 호왕은 용골대 형제에게 10만 대군을 주어 조선을 치게 한다. 천기를 보고 이를 안 박씨는 시백을 통하여 왕에게 호병이 침공하였으니 방비를 하도록 청하나 간신 김자점(金自點)의 반대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마침내 호병의 침공으로 사직이 위태로워지자 왕은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지만 결국 항복하겠다는 글을 보낸다. 많은 사람이 잡혀 죽었으나 오직 박씨의 피화당에 모인 부녀자들만은 무사하였다. 이를 안 적장 용홀대(龍忽大)가 피화당에 침입하자 박씨는 그를 죽이고, 복수하러 온 그의 동생 용골대도 크게 혼을 내준다. 용골대는 인질들을 데리고 퇴군하다가 의주에서 임경업에게 또 한번 대패한다. 왕은 박씨의 말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서 박씨를 충렬부인에 봉한다.
해설
이 소설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변신(變身)’를 통한 서사 전개의 반전이다. 변신 모티프는 작품의 구성상 사건 전개의 전환점의 구실을 하고 있다. 박씨의 변신은 비범한 부덕(婦德)과 부공(婦功)은 물론, 신묘한 도술로써 여성의 우수한 능력을 보이는 계기가 된다. 또한, 변신 모티프는 박씨가 전생에 지은 죄로 인하여 추한 탈을 쓰고 태어났다고 하는 징벌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징벌이 구제됨으로써 박씨는 남편을 비롯한 시집식구들과 다른 사대부 부인들의 사회에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박씨의 변신은 입사식(入社式)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박씨가 후원의 피화당에서 삼년 동안 홀로 기거하는 기간은 시집을 위시(爲始)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 거쳐야 할 관문에 해당한다. 이 관문을 통과함으로써 박씨는 명실상부한 아내와 며느리로서 받아들여지게 된다. <박씨전>의 시대적 배경이 되고 있는 병자호란은 조선 역사상 유례없는 치욕적 사건으로, 정치적·경제적으로 큰 손해를 끼쳤으며 민중들에게 극심한 고통을 주었다. 야인(野人)이라고 경멸하던 만주족에게 패배한 만큼 민중들의 분노는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이 소설은 현실적인 패배와 고통을 상상 속에서 복수하고자 하는 민중들의 심리적 욕구를 표현한 작품이다. 또한 <박씨전>에서는 남성보다도 여성인 박씨를 주인공으로 하고, 박씨가 초인간적인 능력을 가진 비범한 인물로 설정되었다는 것이 특이하다. 남성인 시백은 평범한 인물로 표현하여, 여성이 남성보다 우위에 있다는 점이다. 이는 가부장제하의 삼종지의(三從之義)에 억압되어 살아야 했던 봉건적인 가족제도에서 정신적으로 해방되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가 반영된 것이다. 또한 여성도 남성 못지않게 우수한 능력을 갖추어 국난을 타개할 수 있다는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역사소설·군담소설·전쟁소설의 범주에 넣지만,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박씨가 여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여걸소설(女傑小說)의 범주에 넣기도 한다. <박씨전>의 이본들은 그 시대배경과 사건진행으로 보아 세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작품을 추녀 박씨가 탈을 벗는 이야기로 된 전반부와, 병자호란을 당하여 영웅이 활약하는 이야기로 된 후반부로 나누어 이본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① 전반부와 후반부가 모두 선조·인조대의 사건으로 구성된 이본군(異本群)이 그 하나이다. ② 전반부는 세종·세조대의 사건, 후반부는 인조대의 사건으로 구성된 이본군이 다른 하나이다. ③ 전반부에 해당되는 이야기만이 세종·세조대를 배경으로 전개되어 있는 유형이 나머지 하나의 이본군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본의 성격을 토대로 하여, <박씨전>은 <이시백전>과 <박부인전>이 부자연스럽게 결합된 작품이라는 인상을 준다는 설(說)이 있다. 혹은 전·후반이 같은 작가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없음은 물론 후반부만도 한 사람의 솜씨라고 할 수 없는 전승적 적층성을 지닌다고 하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박씨전>의 대부분의 이본은 전·후반이 연결되어 전해지고 있으므로, 그 전·후반 전체를 통한 총체적 인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임진록(壬辰錄)>과 함께 이 작품에는 임진·병자의 양란을 통해 겪었던 고통을 허구를 통해서나마 극복하고자 했던 뜻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박씨의 영웅적 활약은 여성들이 가부장적 억압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는 욕구를 담고 있는 여성영웅소설의 모태로 작용한다고도 하겠다.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