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춤, 그 신명

작품/자료명
춤, 그 신명
안무가
김매자, 정재만, 김정녀, 임학선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스태프
* 출연 김선미, 최지연, 김지영, 윤수미, 김민향, 정란, 김미선, 김은화, 박수진, 염귀공 외 * 스태프 음악/소리타래 궁
내용
이 작품은 전통 악기의 다양한 선율 유형과 함께 한다. 춤의 구조는 탈춤이나, 농악과 같은 마당에서 행해지던 다양한 전통 춤에서 파생된 것이다. 춤을 출 때 무용수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진다. 우리가 왜 춤을 추는가? 우리에게 춤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우리는 우리 삶과 춤을 조화시키는가? 이러한 질문들을 가슴에 담고 무용수들은 관객들과 “신명(신이 지배하는, 일종의 예술적 황홀감)” 이라고 불리는 예술적 경험을 나누어 공유하고자 한다. 때때로 무용수들은 리듬에 따라서, 분위기에 따라서, 그들의 감정에 따라서 즉흥적으로 그들의 “신명”을 관객들에게 전이(전파)한다.
예술가
김매자 강원 고성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와 경희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뉴욕대학교에서 무용교육으로 박사과정을 이수하였다.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1982년 (사)한국무용연구회를 설립하여 1991년까지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1976년 전문무용그룹 창무회를 창단하여 현재 총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무형문화재 제27호 한영숙류 승무 이수자이며, 무용예술지 <몸>의 발행인이다. 대표작품 <비단길>(1977) <꽃신>(1985) <춤본Ⅰ>(1987) <춤본Ⅱ>(1989)
재공연
- 1986년 9월 12일~25일 창무춤터 - 1988년 9월 14일~18일 창무춤터
평론
마당놀이의 진행 줄기에 충실하여 길놀이에서 뒷풀이로 전개되어나간 공연의 흐름은 이 공연의 테두리를 함께 놀기에의 차원에까지 확장시키려는 의도를 짐작케 한다. 자연스러운 동작, 천진스런 놀이의 과정을 도입해 그야말로 흥나고 신명나는 한판의 춤을 기도하였다. (<춤> 1986년 11월, 김채현) 춤과 악기가 음과 양, 여성과 남성처럼 밀접히 대화하며 교우하고, 그 어울림이 집단무로서 장관을 이룬다. (<예술춤 시대의 탐색> 현대미학사, 1995)
관련자료
<춤지> 1986년 11월호 “작지만 알찬 새로운 춤언어의 탄생” <객석> 1988년 10월호, 린다 스콧
관련사이트
창무회 홈페이지
관련멀티미디어(전체3건)
이미지 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