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적색경보

작품/자료명
적색경보
초연장소
바탕골 소극장
안무가
한상근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스태프
* 출연 한상근, 한미나, 박영순, 유팔복, 김선숙, 노유경, 손미희, 권윤경, 박현숙, 진은미, 김보영, 정태희 * 스태프 음악/장석준
내용
다매체성을 활용, 한국인 심성의 뿌리를 처용 설화를 모티브로 하여 1980년대 후반 핵, 에이즈, 강대국의 싸움, 통일 문제 등에 관해 처용의 시각에서 문제를 형상화하여 격렬한 춤으로 만든 작품이다. 태초에 참으로 한 줌 티끌없는 천상의 낙원이였다. 허나, 지상의 불행은 불현듯 휘몰아치는 폭풍이였다. 하늘이 하늘이지 아니하며 땅이 땅이지 아니하고 바다가 진정 바다일 수 없도록 검게 뒤흔들어진 우리네 낙원 한밤의 적색경보 그 붉은 경보를 뒤쫓아가면 이 땅의 작은 생존마저 서서히 위협하는 공해의 바람들이 분다. 허나, 그 죽음의 악마들에 너무도 미약한 우리네 생명들… 마지막 남은 생명체 하나 거대한 핵 폭발 속에 절규하듯 신음하는데……
예술가
한상근 (1953~ ) 1953년 서울 출생. 한양대학교 무용과와 중앙대학교 대학원 무용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에콜 드 스텍타클에서 연수를 받았으며, 1995년 올해의 젊은 예술가상 무용부문에 선정되었다. 1978년 서울시립무용단에 입단하여 23년 동안 단원 및 지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춤패 아홉을 결성하여 대표로 활동했으며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족춤위원회 기획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 이수자이며 대전시립무용단 상임안무자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작품 <녹색경보>(1987) <비행>(1992) <녹두꽃이 떨어지면>(1994) <꽃신>(2001)
평론
이런 꿈틀거림은 허물벗음으로 해서 그 절정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한상근은 색종이를 극장의 2층 객석에서 바닥으로 계속 뿌리게 함으로써 불교에서의 득도나 해탈 또는 처용 애비가 경험한 듯한 초아의 경험을 자축한다. … 오늘의 한국과 한국이 처한 상황을 춤 이미지와 극장적 이미지의 구축으로 암시하고 있다. (<공간> 1987년 9월호, 김태원) 이 작품 <적색경보>라는 제목이 한국춤의 제목이기에는 너무 서양적이고, 예술적 감성보다는 사회성이 더 느껴진다. 안무자가 강대국 사이에서 처한 반도국가의 어려운 처지를, 또 평등하지만은 않은 국내, 국제적 사회 구조를 춤으로 풀려했다는 의도가 잘 실려진 것이긴 하다. 주제에 있어서 강한 사회성이 느껴지듯 표현적으로도 한상근은 강한 실험성을 느끼게 하는 표현을 만들어 내었다. (<춤과사람들>2002년 7월호)
관련자료
"한상근론" <월간 댄스포럼> 2000년 9월호 <객석> 1987년 9월호 <춤지> 1987년 9월호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