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헌선도(獻仙桃)

작품/자료명
헌선도(獻仙桃)
구분
정재
개요
헌선도(獻仙桃)는 선인(仙人)인 서왕모(西王母)가 3천년에 한번 열리는 천도 복숭아를 바친다는 제목의 정재이다. 문헌에 헌선도의 기록은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처음 나타난다. 1901년의 <고종신축진연의궤>의 내용에 따르면, “송(宋)나라 때 사곡(詞曲) 중에 선려궁왕모도(仙呂宮王母桃)라는 이름이 있었다. 고려조에서 이것을 모방하여 헌선도곡(獻仙桃曲)을 지어서 송축(頌祝)의 음악으로 사용했는데, 우리 조정에서도 이것을 사용했다. 복숭아[桃]는 모두 3개로 나무를 다듬어서 만들고, 가지와 잎은 구리와 철사로 만들어서 은반(銀盤)에 담는다.”라고 하였다. 또한 “헌도탁(獻桃卓)을 앞에 설하고, 탁(卓)의 좌우에 여기(女妓) 2인이 나뉘어 서로 향하여 서면, 1인이 도반(桃盤)을 받들고 나아간다. 1인은 동쪽에, 1인은 서쪽에, 1인은 뒤에 자리하고 있다가, 모두 북향하여 춤춘다. 또 2인은 죽간자를 받들고 그 뒤에 나뉘어 선다. 무동정재도 이와 같지만, 죽간자를 든 이는 구호(口號)를 하지 않고 선모(仙母)라 칭하는 이가 선도반(仙桃盤)을 받든다.”라는 기록도 추가되어 있다.
내용
<악학궤범 권3>의 '고려사 악지 당악정재'에 기록된 헌선도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무대(舞隊)가 악관(樂官) 및 기(妓)를 이끌고 남쪽에 선다. 악관 및 기는 두 줄로 앉는다. 기 한사람이 왕모(王母)가 되고 좌우에 각각 한 사람씩이 협(挾)이 되어 한 줄로 가로 늘어서고, 봉개(鳳蓋) 세 사람이 그 뒤에 서고, 인인장(引人仗) 두 사람, 봉선(鳳扇) 두 사람, 용선(龍扇) 두 사람, 작선(雀扇) 두 사람, 미선(尾扇) 두 사람이 좌우로 갈라서고, 봉정절(奉旌節) 여덟 사람이 한 대열 마다의 사이에 선다. 악관이 회팔선인자(會八仙引子)를 연주하면 죽간자를 든 두 사람이 먼저 무도(舞蹈)하면서 들어와 좌우로 갈라섰다가, 다음과 같은 치어(致語)를 구호(口號)한다. 멀리 귀대에 있다가 봉궐에 내조하여 천년의 아름다운 열매 받들고 만복의 좋은 상서 바치고자 임금님 얼굴 뵙고 삼가 구호 올리도다 끝나면 좌우로 마주 보고 선다. 악관이 또 회팔선인자를 연주하면, 봉위의(奉威儀) 열 여덟 사람이 앞서와 같이 무도하면서 들어와 좌우로 갈라서고, 왕모 세 사람과 봉개 세 사람이 무도하면서 들어와 자리잡고 선다. 음악이 그치면 악관 한 사람이 선도반(仙桃盤)을 받들어 기(妓) 한 사람에게 주고, 여기는 그것을 받들어 왕모에게 전해준다. 왕모는 그 반(盤)을 받들고 다음과 같은 헌선도조의 원소가회사(元宵嘉會詞)를 창한다. 원소의 좋은 연회에 봄 경치 즐기니 훌륭한 행사 있던 상양궁 생각나네 요임금 이마에 기쁨 띠고 북극 바라보고 순임금 옷드리우고 깊이 궁전에 팔짱끼고 계시도다 환성은 호탕하여 소곡에 뒤따르고 화기는 어리어서 어향 내음 풍기도다 장관 이룬 태평에 어떻게 보답하랴 반도 한 떨기로 천 가지 상서 바치리 마치면, 악관이 헌천수만(獻天壽: 慢)을 연주하고, 왕모 세 사람이 일난풍화사(日暖風和詞)를 창한다. …창사 생략… 마치면, 악관은 금잔자만(金盞子慢)을 연주하고, 왕모는 대열에서 나가지 않고 빙빙 돌며 춤을 춘다. 악이 그치면 왕모가 조금 앞으로 나가서 옷소매를 치켜 들고 다음과 같은 여일서장사(麗日舒長詞)를 창한다. …창사 생략… 마치면, 물러나 선다. 악관이 금잔자령(金盞子令)을 연주하면 두 협무(挾舞)가 춤을 추면서 앞으로 나갔다 뒤로 물러났다 하다가 다시 자리에 돌아온다. 악이 그치면 두 협무가 동풍보란사(同風報暖詞)를 창한다. …창사 생략… 마치면, 악관이 서자고를 연주하면 두 협무가 나란히 줄지어 춤추면서 앞으로 나갔다 뒤로 물러나왔다가 다시 자기 위치에 돌아온다. 음악이 그치면 두 협무가 북포동완사(北暴東頑詞)를 창한다. …창사 생략… 악관이 천년만세인자(千年萬歲引子)를 연주하면 봉위의(奉威儀) 열 여덟 사람이 빙글빙글 돌면서 세 바퀴를 춤추고 물러나 자기 자리로 돌아간다. 음악이 그치면 죽간자를 든 이가 조금 앞으로 나가서 치어를 한다. 노을 빛 옷자락 여미고 잠시 물러나 구름길 지향하여 돌아가려 하도다 뜰 앞에서 두 번 절하고 서로 이끌고 떠나가리다 끝나면, 악관이 회팔선인자(會八仙引子)를 연주하며, 죽간자가 무도(舞蹈) 하면서 물러나고, 봉개와 왕모 각각 세 사람도 역시 무도하면서 물러나고, 봉위의 18인 또한 그렇게 한다.
이미지
용어해설
개(蓋): 개는 차양. 귀한 사람이 거동할 때 머리 위를 가리도록 큰 차양을 떠받치고 따라가는데 봉개(奉蓋)는 차양을 치켜드는 사람. 봉선(鳳扇): 봉새의 깃모양을 한 큰 부채. 왕모(王母): 곤륜산(崑崙山)에 산다는 전설상의 선인(仙人) 서왕모(西王母).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역주, 국립국악원, 2000 · 관련사이트
관련멀티미디어(전체10건)
이미지 10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