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향령무(響鈴舞)

작품/자료명
향령무(響鈴舞)
구분
정재
개요
향령무(響鈴舞)는 향령을 울리며 춤춘다는 제목의 정재이다. 6명이 품(品)자 모양으로 벌려 서서 각각 두 손에 방울을 들고, 가곡 계락(界樂) 장단에 맞추어 방울을 흔들고 뿌리면서 춤춘다. 문헌에 향령무의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828년(순조 28)으로 <무자 진작의궤>에 나타난다. 또한 <정재악장>에 따르면, “당나라 때 연악(燕樂) 법곡(法曲) 중에 동발상화(銅 相和)라는 악(樂)이 있었는데, 우리 조정의 향악에서 이것을 본떠 사용했다. 또 금령(金鈴) 10개를 좌우 손에 나누어 묶어 매달고, 박(拍)에 맞추어 손벽을 치고 돌면 소리가 나는데, 이를 향령(響鈴)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내용
1901년(신축) '외진연시 무동각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향령무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은 축성인지곡(祝聖人之曲: 계락)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무동 6인이 손을 여미고 족도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박을 치면, 척요(尺腰)를 네 차례 한다. 음악이 그친다. ○박을 치면, 계락을 연주한다. 모두 좌우로 수수쌍불(垂手雙拂)을 하고, 악절에 맞추어 향령을 울리며, 무두사(務頭詞)를 부른다. 옥전 요궁에 관현이 연주되고 신선들 늘어섰는데 봉황 무늬 적삼과 기린 무늬 띠에서 향내 흩날리며 너울너울 춤추네 오직 원하는 건 군왕께서 오래 사시어 길이 하늘과 나란하시고 봄바람이 온갖 꽃들 앞에 살며시 불어 만만년 지속되는 것이네 마친다. ○박을 치면, 왼쪽으로 조금 돌고 오른쪽으로 조금 돌면서 합선(合蟬)하고, 악절에 맞추어 향령을 울리며 중박사(中拍詞)를 부른다. 꽃들이 요지(瑤池)에 활짝 피어, 수놓은 병풍처럼 광활하게 둘러쳐 있고 멀리 푸른 하늘 아래에 난새 방울 소리 들리네 비경(飛瓊)이 새로운 곡에 맞추어 춤추는데 연이은 쌍고리엔 온갖 방울이 달려 있네 마친다. ○박을 치면, 좌타장(左打場)과 우타장(右打場)을 하고, 좌정수(左呈手)·우정수(右呈手)·합정수(合呈手)를 하고, 악절에 맞추어 향령을 울리며 미후사(尾後詞)를 부른다. 자주빛 옷소매 사이로 악절에 맞춰 금방울 흔드니 바람이 일고 눈발 날리는 듯하고, 화려한 연회를 여니 아름다운 봉황 따라 날아올라 구름타고 이르고 손뼉치며 신령스런 거북을 따라 바다건너 오네 박 속의 원추리 싹을 북극에 드리고 곡 중의 난초 잎새 남해에 영원하니 동궁이 다시 얼룩옷 만들어 입고 춤추며 해마다 만세를 기원하는 술잔을 친히 올리리라 마친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하며 물러난다. 음악이 그친다.
이미지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3 무자진작의궤>, 은하출판사, 1989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용어해설
척요(尺腰):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나, 현재 재현할 때는 향령을 울린다. 합선(合蟬): 매미 날개와 같이 두 팔을 이마에 가져다 두 손을 모은 동작. 요지(瑤池): 중국 주나라 목왕이 서왕모와 만났다고 하는 곳. 곧 신선이 사는 연못. 비경(飛瓊): 서왕모를 모시는 선녀. 좌타장(左打場): 현재 향령을 든 왼손으로 왼쪽 다리를 치고 있다. 우타장(右打場): 현재 향령을 든 오른손으로 오른쪽 다리를 치고 있다. 좌정수(左呈手): 현재 왼손을 들고 친다. 우정수(右呈手): 현재 오른손을 들고 친다. 합정수(合呈手): 현재 두 손을 모아 들고 친다.
관련멀티미디어(전체6건)
이미지 6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