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군자무

작품/자료명
군자무
초연장소
국립극장
안무가
최현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 / 스태프
출연 국립무용단 스태프 안무/최현 의상/허영 무대미술/신선희
내용
아직 미개하여 저는 저 蘭의 곡선을 붓으로 치지 못합니다. 산 속으로 심심산천 계곡으로 저벅저벅 걸어가면 하늘로 치솟은 대나무가 길을 냅디다 국화 香을 어찌 빵떡 머리에 옮겨 담겠습니까 얼굴을 곧추 세운 梅花의 살얼음 그 분홍 韓紙를 저는 접지 못합니다. 梅蘭菊竹과 노는 도공 하나 무대에 놓아두시겠습니까 성님, 몸이 성치도 않으신데 이 미개인을 위해 동양화 한 폭
최현
1929년 부산 출생, 1946년 김해랑 연구소 입소, 서울예대 교수, 서울예고 무용과장 역임, 1986년 아시안 게임 <영고>, 1988년 올림픽 <안녕> 안무 총괄, 예술원상 수상, <비상>이 명무로 지정됨 대표작품 <비상>(1976), <새불>(1988), <허행초>(1988), <고풍>(1996), <기원무> (1997), <봄이 오면>(1997), <비파연>(1997)
리뷰
<군자무>는 최현 안무가 어떤 촉수라는 것을 증명했다. 넘치지 않고 모자람이 없을 때 춤 공간은 자연히 열린다. 그 열림이 안무가의 연륜이요, 우리 춤의 뿌리와 연관된다. (김영태 - 시인, 무용평론가) <군자무>, <허행초>는 최현의 대표작품이다. 제목이 던지는 이미지들이 곧 그가 고집하는 춤의 정의라고 보여진다. (문애령 - 무용평론가) 동양의 전통적인 예술관념에 비춰볼 때 예술행위의 의미와 가치성은 형상을 통해 드러나는 세세함보다는 마음가짐과 덕목으로 강조되었던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성기숙 - 무용평론가)
관련멀티미디어(전체3건)
이미지 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