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춘대옥촉(春臺玉燭)

작품/자료명
춘대옥촉(春臺玉燭)
구분
정재
개요
춘대옥촉(春臺玉燭)은 윤대(輪臺) 무대 위에서 각각 보등(寶燈)과 당(幢)을 들고 춤추는 무원으로 구성된 정재이다. 1828년(순조 28) <무자 진작의궤>에 처음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때 효명세자가 창사 가사를 지었다. 춘대옥촉은 윤대라는 특별 무대에서 연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무자 진작의궤>에 따르면, “윤대(輪臺)를 설치하고 윤대 위에 무동 4인이 보등을 잡고 있는데 3인은 앞에 1인은 뒤에 있어 서로 돌면서 춤춘다. 2인은 당을 잡고 그 뒤에 있는데, 좌우로 나뉘어 북향하여 선다.”라고 하였다. 또한 의궤의 춘대옥촉 주석에는 “송나라 태종(太宗)이 친히 창제한 소석조(小石調)에 등춘대(登春臺)가 있다. 도서집성수서·율력지에 송나라 전악지(錢樂之)가 경방(京房)의 방법을 썼다. 동지의 소리는 황종을 궁으로 하는데 한 부에 34율이고 옥촉(玉燭)이란 이름이 있다.”라는 관련 내용도 실려 있다.
내용
춘대옥촉 정재는 현재 연대미상의 '홀기' 한 편만이 전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음악이 옥촉춘지곡(玉燭春之曲: 향당교주)을 연주한다. 악사가 윤대를 받든 무동을 인솔하여 들어와 전내에 설치하고 나간다. 박을 치면, 무동 4인이 춤추며 나아가고 당을 든 2인이 족도하며 나아간다. 박을 치면, 무동 4인이 각기 윤대의 사방으로 나아간다(당을 든 2인은 윤대의 동서로 나아가 북소리를 따라 족도한다). 박을 치면, 무동 4인이 무작하고 상대하는데 그 모습이 마치 엽무(葉舞)같다. 등지기도 하고 마주하기도 하며 돌고 대열을 바꾸며 춤춘다. 박을 치면, 당을 든 2인과 무동 4인이 족도하며 윤대 아래로 물러난다. 박을 치면, 처음의 배열로 돌아갔다가 춤추며 물러난다. 악이 그친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3 무자진작의궤>, 은하출판사, 1989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