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첩승무(疊勝舞)

작품/자료명
첩승무(疊勝舞)
구분
정재
개요
첩승무(疊勝舞)는 창사가 중심을 이루는 정재이다. 문헌에 첩승무 정재가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828년(순조 28)으로 <무자 진작의궤>에 나타난다. 이때 효명세자가 창사를 지었으며, 정재악장 기록에 따르면, “무동1인은 앞에 자리하고, 1인은 뒤에, 2인은 좌측에, 2인은 우측에 자리하여, 서로 바꿔가며 춤춘다.”라고 하였다. 제1첩의 창사부터 제 10첩의 창사에 이르는 동안 사이사이에 약간 춤사위를 바꾸어 나간다.
내용
1901년(신축) '여령 각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첩승무 정재의 진행 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은 응상지곡(凝祥之曲: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무기(舞妓) 6인이 춤추며 나와 서고, 음악이 그치면 제1첩을 창사한다. 봄날에 비취 누각에서 주렴을 걷어 올리니 어린 제비는 채색 처마 가까이서 짝지어 나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조금 뒤로 물러나며 춤춘다. ○박을 치면, 서로 향하고 춤춘다. ○박을 치면, 서로 등지고 춤춘다. ○박을 치면, 회선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모두 북향하여 춤추고, 음악이 그치면 제2첩을 창사한다. 아로새긴 난간은 온갖 꽃빛에 환히 빛나고 화원(畵院)엔 봄 깊어 열 두 향내가 나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대가 좌우로 나뉘어 회전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남북으로 나뉘어 서로 등지고 춤춘다. ○박을 치면, 후대가 북향하여 춤추고 음악이 그치면 제3첩을 창사한다. 봄이 가까워 오매 소양전(昭陽殿) 안의 사람들 선녀의 치맛자락 바람에 흔들리는 양 몸놀림이 가볍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서로 마주 보며 춤춘다. ○박을 치면, 동서로 나뉘어 서로 향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서로 등지고 자리를 바꿔가며 춤춘다. ○박을 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며 춤춘다. ○박을 치면, 북향하여 춤추고, 음악이 그치면 제4첩을 창사한다. 옥루(玉樓)의 봄 달은 정히 느릿느릿 다가오고 푸르고 화려한 처마 앞엔 꽃 그림자 어른어른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소매를 번뜩이며 춤춘다. ○박을 치면, 나란히 줄지어 앞으로 나왔다 뒤로 물러나며 춤춘다. ○박을 치면, 팔수무(八手舞)를 춘다. 음악이 그치면 제5첩을 창사한다. 옥 주춧돌 꽃무늬 벽돌로 쌓은 가대(歌臺) 대모반(玳瑁盤) 안에서 나긋나긋 춤추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좌우의 첫 번째 사람이 대에서 나와 춤추고, 음악이 그치면 제6첩을 창사한다. 봄빛이 먼저 백화(百花) 핀 누대에 이르니 궁녀들 짝지어 채구(彩毬)를 희롱하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좌우의 두 번째 사람이 앞의 대를 따라 춤추고, 음악이 그치면 제7첩을 창사한다. 아침 해 흥경지(興慶池)에서 떠오르니 이원제자(梨園弟子)들 새 가사로 연주하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좌우의 세 번째 사람이 앞의 두 대를 따라서 춤추고 음악이 그치면 제8첩을 창사한다. 이원제자 부중(部中)에서 신악(新樂) 연주하고 침향정(沈香亭) 위엔 발이 반쯤 걷혀 있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북향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춤춘다. ○박을 치면, 회선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북향하여 춤추고, 음악이 그치면 제9첩을 창사한다. 비빈(妃嬪)들 봄나들이 즐기러 옥당(玉塘)을 찾으니 이원에선 새로이 여지향을 연주하네 마친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나란히 줄지어 앞으로 나왔다 뒤로 물러나며 춤춘다. ○박을 치면, 다시 처음 대열로 돌아가며 춤춘다. ○박을 치면, 춤추며 앞으로 나와 서고, 음악이 그치면 제10첩 창사를 부른다. 갈고 소리 어원(御苑)의 꽃들을 재촉하고 자색 옷의 궁녀 비파를 뜯네 마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춤추며 물러난다. 음악이 그친다.
이미지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3 무자진작의궤>, 은하출판사, 1989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용어해설
응상(凝祥): 상서로운 기운이 엉기어 있음. 대모반(玳瑁盤): 무자 진작의궤에 의하면 길이는 7척, 너비는 4척 6촌 5푼, 높이는 족대(足臺)까지 1척 3촌인 반(盤)[舞臺]. 사방에 태평화(太平花)를 그려 넣고, 채색한 반 안에 대모무늬를 그려 넣은 무대.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