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제수창(帝壽昌)

작품/자료명
제수창(帝壽昌)
구분
정재
개요
제수창(帝壽昌)은 임금이 덕이 높아 상제께서 장수(長壽)로 보답하여 창성하게 한다는 내용의 정재이다. 문헌에 제수창의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829년(순조 29)으로 <기축 진찬의궤>에 나타난다. 이때 효명세자가 창사로 가사를 지었으며, 의궤의 기록에 따르면 “무동 2인은 죽간자를 받들고, 1인은 족자(簇子)를 받들고 앞으로 나아가 벌려 선다. 4인은 두 줄로 나뉘어 사방에 서며, 1인은 중앙에 자리한다. 1인은 황개(黃蓋)를 받들고 뒤따른다. 또 4인은 그 뒤에 위치하여 벌려 선다. 모두 북향하여 춤춘다.”라고 하였다. 또한 제수창 정재의 악장 주석에는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에 의하면 송나라 기성절(基聖節)에 악곡의 차례를 배열할 때, 협종(夾鍾)으로 연주하고, 제2잔을 올릴 때 적(笛)으로 제수창만(帝壽昌慢)을 시작한다.”라는 내용이 보인다.
내용
1901년(신축) '외진연시 무동각정재홀기'에 기록된 제수창 정재의 진행 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은 순천개운지곡(順天開運之曲: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족자 1인과 죽간자 2인이 나란히 줄지어서 족도하며 나아가 서고, 음악이 그치면 구호를 한다. 제덕(帝德)으로 화합하니 바야흐로 하청(河淸)의 좋은 일 만나리 폐하의 수하심 먼 곳까지 알려지니 산호(山呼)의 정성 모두 간절하네 감히 용안 뵈옵고 이에 구호를 올리도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서로 향하여 선다. ○박을 치면 좌우 제1대가 춤추며 나아가 족자의 좌우에 선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좌우의 제2대가 춤추며 나아가 전대의 뒤에 선다. ○박을 치면, 중무와 후대는 춤추며 나아와 선다(황개인(黃蓋人)은 중무의 뒤를 따른다). 음악이 그치면 중무가 치어(致語)를 한다. 임금님의 수명 창성하시니 성명(聖命)의 밝으심 하례드리네 크시도다, 우리 폐하시여 덕은 사해(四海)에 빛나고 하늘과 같이 만물을 통섭하고 땅과 같이 만물을 실으시니 빛나고 융융하도다, 춘대(春臺)에 옥촉(玉燭)이로세 만수무강 축원으로써 시러곰 그 창성함 노래하여 칭송하고 축수하리 마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중무와 좌우협은 각각 서로 마주보며 춤춘다. ○박을 치면, 각각 서로 등지고 춤춘다. 음악이 그치면 전대에서 창사한다. 나라의 전조(前兆) 신령하고 장구하니 백년세세 면면하기를 경하드리네 자손에게 전하고 미치어 억만년을 이어가리 성덕(聖德)의 빛나고 밝음 드러나고 교화하신 날, 높이 솟음 우러르네 상제(上帝)께선 성수(聖壽)로 보답하여 밝히니 큰복이 원만하고 온전하네 시러곰 상서로움 뻗어나가 그 이르름은 시내와 같네 신하들 절하고 머리 조아리니 천자 만만세로세 마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후대와 협무는 각각 그 대열을 바꾸며 춤춘다. ○박을 치면, 중무와 후대는 각각 서로 마주보고 춤춘다. ○박을 치면, 각각 서로 등지고 춤춘다. 음악이 그치면, 각대가 병창한다. 천자 만년이여, 이에 소명(昭明)을 칭송하도다 환히 밝아 융융함이여 사해가 길이 맑도다 아름다운 음악 길하고 경사로움이여 화합하는 기운, 기뻐서 소리치네 연익(燕翼)의 꾀 내려 주심이여 이 태평성대를 누리소서 마치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협무와 후대는 동서로 나뉘어 서로 향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중무와 협무가 서로 마주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중무와 후대가 서로 마주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협무와 후대가 회선하며 춤춘다(중무는 가운데서 춤춘다). ○박을 치면, 다시 처음의 대열로 돌아가며 춤춘다. 음악이 그치면 죽간자 2인이 구호한다. 아홉 곡을 연주하여 구성(九成)을 고하고, 만년 보령을 빌어 영구함 있으리 다행히 태평 시절 연회 맞아 기쁘고 즐거운 마음 펴게 되었네 화려한 자리 절하고 물러가니 부디 편안히 쉬소서 마친다. ○박을 치면,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과 족자 1인, 황개 1인이 족도하며 물러선다. ○박을 치면, 중무와 협무와 후대는 춤추며 앞으로 나온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춤추며 물러나고 음악이 그친다.
이미지
연계정보
· 관련도서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역주, 국립국악원, 2000
용어해설
협종(夾鍾): 악률(樂律) 이름으로 십이율(十二律)의 하나. 십이율은 육률(六律; 陽聲)과 육려(六呂; 陰聲)로 나뉘는데, 협종은 육려에 속하며 2월에 해당된다. 황개(黃蓋): 당악정재에 쓰이는 무구(舞具)의 하나. 개(蓋)는 귀인이 거동할 때 머리 위를 가리기 위한 차양이다. 나무로 만든 자루는 붉은 칠을 하고, 위는 굽은 철을 마련하여 그 끝에 덮개를 달고, 꼭지는 은으로 한다. 비단으로 세 조각 휘장을 만들어 금빛 봉(鳳)과 꽃무늬를 찍고, 안으로 색사(色絲)로 매듭하여 늘어뜨린다. 연익(燕翼): 조상이 자손을 도와 편안케 함. 구성(九成): 음악 한 곡을 마치는 것을 일성(一成)이라 하는바, 곡이 아홉 번 바뀜을 이름.
관련멀티미디어(전체7건)
이미지 7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