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작품/자료명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구분
정재
개요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는 만수무강을 축원하는 내용의 정재이다. 문헌에 장생보연지무의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829년(순조 29년)으로 <기축 진찬의궤>에 보인다. 이때 효명세자가 창사의 가사를 지었으며, 정재악장의 기록에 따르면 “여기(女妓) 2인이 죽간자를 받들고 좌우에 나눠 서고, 1인은 앞에, 1인은 중앙에, 1인은 뒤에, 1인은 좌측에, 1인은 우측에 자리하여, 서로 바꿔가며 춤춘다.”라고 하였다. 이 정재의 특징으로는 제1변(第一變)에서 제9변까지의 변화가 다양함을 꼽을 수 있겠다. 제1변 상대무(相對舞), 제2변 수수무(垂手舞), 제3변 상대무(相對舞), 제4변 산작화무(散作花舞), 제5변 수수무(垂手舞), 제6변 오방무(五方舞), 제7변 염수무(斂手舞), 제8변 사선무(四仙舞), 제9변 염수무(斂手舞)로 구성된다. 또한 <고금도서집성>에는 “송나라 기성절(基聖節)에 악(樂)의 차서(次序)를 배열할 때 제5잔은 생(笙)만 쓰는데, 소석각(小石角)으로 장생보연악(長生寶宴樂)을 연주한다고 했다.”라는 기록도 의궤에 전한다.
내용
1901년(신축) '외진연시 무동정재무도홀기'에 전하는 장생보연지무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은 성인무우지곡(聖人無憂之曲: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며 나와 서고, 음악이 그치면 구호(口號) 한다. 화창한 날씨 길게 이어지고 성대한 잔치 보전(寶殿)에서 열렸네 상서로운 구름 뭉게뭉게 피어오르고 대궐 뜰에선 가악(歌樂)을 벌였네 감히 용안을 뵈옵고 삼가 구호를 올리도다 마친다. ○박을 치면 보허자령(步虛子令)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면서 물러나 선다. ○박을 치면 중무(中舞)와 좌우협이 춤추며 나온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중무가 조금 나와 선다. 음악이 그치면 중무가 치어(致語) 한다. 공경하옵는 우리 성상의 일덕(一德)이여, 천심(天心)을 향유함이라 환한 앞길이 무궁하니 태평성세의 음악이라 화려한 잔치 축하하고 장생불로(長生不老)의 수(壽)로써 노래하고 송축하네 마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鄕唐交奏)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중무는 무작(舞作)하여 조금 물러나고 음악이 그친다. ○박을 치면,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중무와 좌우협은 손을 여미고 족도하며 악절에 맞추어 사(詞)의 전단(前段)을 부른다. 천문(天門)은 바다에서 해 오르자 먼저 붉고 진홍 옥도끼엔 서기(瑞氣)가 엉겨 있네 하늘의 기쁨 이어받아 하늘 음악 연주하고 금봉새 은거위들 떼지어 모였네 난초와 구리떼 향기 날리며 춤사위는 물결이 되고 쓰러질 듯 버들가지, 바람에 흔들흔들 ○박을 치면, 후단(後段)을 부른다. 구중(九重)의 봄색에 반도(蟠桃)의 잔치 비단 적삼 올올이 한바탕 춤추며 두 번 절하고 세 가지 소원 드리니 첫째는 폐하의 수(壽)가 무궁하시고 둘째는 조야(朝野)가 맑고 편안하고 셋째는 균천악(鈞天樂)이 퍼지는 것 노래의(老萊衣) 입고 세세년년하시길 이 잔 바친다네 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중무와 좌우협 4인이 족도하고 북향하여 춤춘다(1변 상대무). ○박을 치면, 중무는 족도하고, 좌우협은 조금 나아가 족도한다. ○박을 치면, 서로 상대하여 춤을 추며, 좌우인은 좌를 따르고, 우를 따라 곁에 선다(2변 수수무). ○박을 치면, 중무가 조금 나아가 족도하여 수수무를 춘다(3변 상배무). ○박을 치면, 좌우협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서로 등지고 춤춘다. ○박을 치면, 중무가 손을 여미고 족도하며, 조금 물러난다(4변 산작화무). ○박을 치면, 좌우협이 산작화무를 춘다. ○박을 치면, 중무가 족도하며 대열에서 나와서 소매를 펼치고 좌우로 조금 돌며 악절에 맞추어 이수고저(以袖高低)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한번은 높게 한번은 낮게 해서 반준한다. 왼쪽으로 돌때는 왼쪽 소매를 조금 여미고 오른쪽 소매를 들고서 돌며, 오른쪽으로 돌때는 오른쪽 소매를 조금 여미고 왼쪽 소매를 들고서 돈다. 소매를 이마 앞으로 들었다가 양옆으로 뿌려 펴들며 좌우 한바퀴씩 돈다(5변 수수무). ○박을 치면, 좌우협이 돌면서 들어와 북향하며 수수무(垂手舞)를 춘다. ○박을 치면 중무가 족도하며 조금 물러나 화무에서 돌아서 들어와 북향한다. 이때 뒤의 1쌍은 좌우로 돌며 나아와 안쪽 줄을 만들고, 앞의 1쌍은 좌우로 돌며 나아와 바깥 줄을 만든다(6변 오방무). ○박을 치면, 중무와 좌우협이 오방무를 춘다. 왼쪽으로 돌아볼 때는 오른 소매를 들고 왼 소매는 활모양처럼 굽히고, 오른쪽으로 돌아볼 때는 왼 소매를 들고, 오른 소매를 활모양처럼 굽힌다(7변 염수무). ○박을 치면, 중무와 좌우협은 돌아 들어와 북향하여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8변 사선무). ○박을 치면, 좌우협이 사선무를 춘다. 사선무에서 회선(回旋)하며 9변 때 협무의 앞 1쌍이 조금 간격을 벌리면 뒤의 1쌍이 가운데로 족도하면서 나와서, 앞의 1쌍과 서로 바꿔가며 손을 여미고 춤춘다(9변 염수무). ○박을 치면, 좌우협이 족도하면서 돌아 들어간다. ○박을 치면, 회선하며 손을 여민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면서 조금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박을 치면, 중무와 좌우협이 족도하며 조금 앞으로 나아와 나란히 선다(무진무퇴). 음악이 그치면 죽간자 2인이 구호를 한다. 비단 방석 화려한 잔치에 이미 온갖 춤 드렸네 옥관(玉管)과 주현(朱絃)으로 이미 9성의 곡을 연주했네 섬돌 앞에서 두 번 절하고 서로 이끌고 기꺼이 물러가려네 ○박을 치면, 앞의 음악(후단)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면서 물러나 선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춤추며 물러난다. 음악이 그친다.
이미지
연계정보
· 관련도서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역주, 국립국악원, 2000
용어해설
산작화무(散作花舞): 흩어져 꽃모양을 만드는 춤대형을 말한다. 균천악(鈞天樂): 균천광악(鈞天廣樂). 균천은 구천(九天)의 하나로, 곧 하늘의 중앙. <사기(史記)> '조세가(趙世家)'편에 조간자(趙簡子)가 균천의 음악을 들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조간자는 병이 들어 닷새동안 사람을 알아보지 못했다. 이틀 반이 지나 깨어나더니 자신은 천제(天帝)가 계신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즐겁게 노닐었는데, 그곳의 광악구주(廣樂九奏)와 만무(萬舞)는 삼대(三代)의 그것과 다르고 그 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했다고 하였다.
관련멀티미디어(전체13건)
이미지 1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