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연화무(蓮花舞)

작품/자료명
연화무(蓮花舞)
구분
정재
개요
연화무(蓮花舞)는 연꽃을 들고 춤추는 정재이다. 문헌에 연화무의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828년(순조 28)으로 <무자 진작의궤>에 나타난다. 이 기록에 따르면, “연화병(蓮花甁) 6개를 설치하여 무동 6인이 각각 병 속의 꽃을 한 가지씩 취하여 전후좌우로 나누어 북향하여 춤춘다.”라고 하였다. 또한 의궤 정재악장에 따르면, “도서집성 악원에 이르기를 우조(羽調)에 석지곡이 있다. 2명의 여자아이가 고운 옷과 모자를 쓰고 금색방울을 달아 손뼉을 치고 돌리면 소리가 난다. 두 연꽃 안에서 나왔기 때문에 연화무라 이름하였다.”라고 한다. 연화무의 유래는 연꽃 안에서 나왔기 때문에 붙였다고 하나, 실제로 연화무 정재에서 연꽃은 설치되지 않고, 연화병만 설치되었다.
내용
연대미상의 '무동 각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연화무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은 천향봉소지곡(天香鳳韶之曲: 향당교주)을 연주한다. 악사가 연화병(蓮花甁)을 받든 무동 6명을 이끌고 들어와 뜰 안에 두고 나간다. ○박을 치면, 무동 6인이 나란히 줄지어 춤추며 나아가 선다. ○박을 치면, 오른쪽으로 돌면서 춤춘다. ○박을 치면, 각각 병의 꽃을 취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산작화무(散作花舞)를 춘다. ○박을 치면, 서로 마주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기뻐 돌고 소매를 뿌리고 돌면서 춤춘다. ○박을 치면, 나란히 줄지어 춤추며 앞으로 나아간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춤추며 물러난다. 음악이 그친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3 무자진작의궤>, 은하출판사, 1989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