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작품/자료명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구분
정재
개요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는 온갖 복을 펼치는 내용의 긴 창사를 부르는 것이 중심을 차지하는 정재이다. 1829년(순조 29) <기축 진찬의궤>에 처음으로 기록이 보이며, 효명세자가 창사 가사를 지었다. <기축 진찬의궤>에 따르면, “무동 2인은 죽간자를 받들고 동서로 나눠서고, 4인은 뒤에 자리하여 한 줄로 서며, 1인은 그 뒤를 따르는데, 모두 북향하여 서로 바꿔가며 춤춘다.”라고 하였다. 순조 때 등장하면서도 죽간자(竹竿子)·구호(口號)·치어(致語)의 형식을 갖추어 당악정재의 인상을 준다.1901년(신축) '외진연시 무동각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연백복지무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은 만수장락지곡(萬壽長樂之曲: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며 나와 서고 악이 그친다. 구호(口號)를 한다. 사는 곳, 대라천(大羅天) 위에 있는데 성인의 궁중에 와서 조회하네 무궁한 백복(百福)의 상서로움 펼치고 태평만세의 춤 올리네 감히 용안을 뵈옵고 이에 구호를 올리도다. ○박을 치면,보허자령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며 뒤로 물러선다. ○박을 치면, 선모와 좌우협이 나란히 줄지어 춤추며 나와 선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선모가 족도하며 조금 앞으로 나와 서고, 음악이 그치면 선모가 치어를 한다. 공경하는 우리 성상 덕화가 융성하시고 복록이 무궁하시네 화봉(華封)의 세 가지 축원 누리시고 천보구여(天保九如)에 오르셨네 이에 경사스런 모임 맞이하여 이에 축복의 말씀 올리네 백복을 길이 펴는 곡으로 노래하여 송축하도다. 마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선모가 무작하여 조금 뒤로 물러난다. 악이 그친다. ○박을 치면,보허자령을 연주한다. 선모와 좌우협이 손을 여미고 족도하며 악절에 맞추어 사(詞)의 전단(前段)을 부른다. 하늘이 아름답게 우리 동방 열었으니 어진 바람 화창한 햇볕 보위(寶位)는 신령스럽고 장구하리니 금문(金門)에서 조회하고 옥당(玉堂)에서 절하네 백합의 향연(香烟)에 구하상(九霞觴)이요 난새와 봉새, 화락하게 우니 그 창성함 돌아와 아, 만세토록 미앙궁(未央宮)에서 즐거우리. ○박을 치면, 후단(後段)을 부른다. 태평연월 조원전(朝元殿)에서 두 줄로 늘어선 가무(歌舞), 노래와 잔치 벌이네 두 번 절하고 세 가지 소원 드리니 첫째는 거북 학처럼 장수하시고 둘째는 성덕이 별처럼 빛나고 바다처럼 무젖고 셋째는 강구(康衢)에서 격양가(擊壤歌) 부르는 것 남녀노소 모든 이들 다같이 즐거워하네. 마치면, 악이 그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선모가 가운데에서 춤추고 협무는 네 모퉁이에서 춤춘다. ○박을 치면, 선모와 협무가 각각 서로 마주 보며 춤춘다. ○박을 치면, 서로 등지며 춤춘다. ○박을 치면, 다시 북향하고 춤추다가 음악이 그치면 선모가 성수무강사(聖壽無疆詞)를 부른다. 높이 걸린 북두성 뭇별의 중심이고 마주한 편편한 저 남산(南山), 나라의 벼리 안정시키네 폐하의 장수 무궁하심 또 이 같으시니 선도(仙桃) 만 송이 천 가지에 다시 피도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모두 무작하여 앞으로 나왔다 뒤로 물러나며 춤춘다. ○박을 치면, 모두 소매를 뿌리며 활발하게 돌면서 나란히 줄지어 춤춘다. ○박을 치면, 모두 무작하여 5방으로 나뉘어 춤춘다. ○박을 치면, 선모와 북쪽의 협무가 소매를 높혔다 낮췄다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선모와 동쪽의 협무가 소매를 높혔다 낮췄다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선모와 남쪽의 협무가 소매를 높혔다 낮췄다 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선모와 서쪽의 협무가 소매를 높혔다 낮췄다하며 춤춘다. 악이 그친다. 선모와 좌우협이 모두 해동금일사(海東今日詞)를 부른다. 바다 동쪽 오늘 같은 태평한 날에 상서로운 해와 구름이 화려한 자리를 빛내도다 요지(瑤池)의 반도(蟠桃), 왕모(王母)가 바쳐 팔천 년에도 늙지 않는 봄을 축하하네. 마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우죽간자(右竹竿子)가 앞서 인도하고 다음에 북협무(北挾舞), 선모(仙母), 좌죽간자(左竹竿子), 동협무(東挾舞), 남협무(南挾舞), 서협무(西挾舞)가 차례로 왼쪽으로 둥글게 돌며, 응천장지사(應天長之詞)를 부른다. 성인(聖人)이 응하신 복록이여, 천지처럼 장구하리 보령이 더욱 높아지니 일덕(一德) 더욱 밝아지네 금빛 연(蓮)으로 덮어 가리우니 큰 일산의 그늘 밑이네 낭풍을 따라 경도(瓊島)로 내려온 것이네 빛나고 빛나는 해 바라보며 옥지에서 머리 조아리네 상서로움 올리니 화려한 자리에서 발구르며 춤추도다 오음(五音)이 뒤섞이네, 이 번화한 모임 구름이 가지 못하고, 아득하도다. 마친다. ○박을 치면, 처음 대열로 돌아가며 춤추고 음악이 그친다. 좌우협이 파자사(破子詞)를 부른다. 보쟁(寶箏)이 뽐내며 울리매 중강(中腔)의 곡(曲)이요 금슬(琴瑟)은 팽팽히 당겨 파현(破絃)으로 들어섰네 성덕의 교화로 일없이 맑고 태평하니 연년세세(年年歲歲) 금년과 같으리.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모두 무작하여 앞으로 나왔다 뒤로 물러나며 춤춘다. ○박을 치면, 소매를 높혔다 낮췄다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네 모퉁이에서 춤춘다. ○박을 치면, 모두 한번 소매를 뿌리고 한번 돌면서 춤춘다. ○박을 치면, 수신요합절(隨身腰合節)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전대(前隊)와 후대(後隊)가 각각 그 자리를 바꾸며 춤춘다. ○박을 치면, 소매를 뿌리며 춤춘다. ○박을 치면, 소매를 번쩍 날리면서 춤춘다. ○박을 치면, 돌면서 춤춘다. ○박을 치면, 처음 대열로 돌아가며 춤추고 조금 뒤로 물러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앞으로 나와 서고, 음악이 그치면 구호를 한다. 아악(雅樂) 연주는 이미 마쳤고 선녀들 짝지어 노래하며 돌고 있네 섬돌 앞에서 두 번 절하고 서로 이끌고 기꺼이 물러가려 하옵니다. 마친다. ○박을 치면,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죽간자 2인이 족도하면서 물러선다. ○박을 치면, 선모가 손을 여미고 족도하면서 나와 서고, 음악이 그치면 선모가 치어(致語)를 한다. 구여(九如)의 송축 소리 높아짐은 태평의 조짐 있음 경하함이요, 삼산(三山)의 길에서 내려옴은 후세의 무궁, 기약하려는 것이네. 마친다. ○박을 치면,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선모가 무작하여 조금 물러난다. ○박을 치면, 모두 춤추며 나와 선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춤추며 물러난다. 악이 그친다.
이미지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3 무자진작의궤>, 은하출판사, 1989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역주, 국립국악원, 2000
관련멀티미디어(전체7건)
이미지 7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