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민속무용

작품/자료명
민속무용
구분
민속무용
개요
민속무용은 민중들의 성격이 가장 많이 표출된 춤으로 민족의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 발전되어 왔으며 민중들이 주체가 되어 향유하여 왔던 춤을 말한다. 민속무용은 민중들의 다양한 생활, 즉 노동, 의식(儀式), 유희 등의 여러 생활 방식과 밀착된 형태로 전승, 발전되어 왔는데, 모심기나 논매기 등의 일을 하면서 노래와 함께 춤을 추었고, 굿이나 지신밟기, 장례의식 등 여러 의식을 거행할 때도 노래와 함께 춤을 추었다. 이 외에도 탈놀이를 비롯한 각종 민속놀이에서도 춤이 필수적으로 따랐으며, 때로는 춤 자체의 멋과 흥을 즐기기 위해 춤을 추었다. 이 과정에서 춤 자체가 지닌 예술적 속성에 따라 춤으로서의 고유한 발전적 과정을 밟은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춤은 전문화된 연행예술로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해당하는 춤이 교방(敎坊)의 기녀들이 추었던 승무(僧舞), 한량무(閑良舞), 검무(劍舞) 등이며, 오늘날 이 춤들은 전문적인 춤의 기술을 전수 받은 예능인들에 의해 공연되고 있다. 민속무용은 민중의 생활 체험에 기반을 두고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났기 때문에 그 표현 형식에 있어서 궁중무용에서 볼 수 있는 고정된 틀의 형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몸짓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 개인의 창의력을 바탕으로 현란한 의상이나 방대한 무대장치 없이 세련된 동작만으로 평민 계급의 소박한 생활 감정을 춤으로 표현한다.
민속무용의 종류
승무는 불교의 법고춤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설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는데, 조선 중엽 이후 포교의 한 방법으로 더욱 발전하였으나 점차 승무를 탁발 수단으로 이용하므로 종교적 의의를 상실할 우려가 있다고 하여 금지되었고 그 후 민간으로 내려와 점차 민속무용으로 변모하게 된 춤이다. 민속무용으로 변모한 승무는 염불을 하며 시주를 걷는 사당의 법고춤을 거쳐 창우들에 의해 승무와 비슷한 여러 가지 승려들의 춤 가운데 다듬어진 뛰어난 춤이 권번으로 유입되었고, 기녀들에 의해 기방춤으로 추어지며 남무에서 여무로 전이되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승무는 불교의식과는 관계없는 오늘날과 같은 춤이 되었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승무는 경기 승무과 호남 승무 두 종류로 볼 수 있다. 경기 승무는 한성준에 의해 전승의 맥이 이어진 것으로 전적으로 불교의식무용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놀이판을 토대로 전해지는 승무와 불교의식춤이 합해져 한성준에 의해 새로이 창작된 춤이다. 승무의 다른 한 계파는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이대조 계통을 이은 호남형 승무로 이 춤은 1935년 경 승무 예능보유자 이매방이 조부 이대조에게서 학습한 뒤 오랜 시간 그 원형을 고수, 보존하며 연마하여 창조한 춤이다. 살풀이춤은 독무로 추는 춤으로 흰 옷에 옷고름을 늘어뜨리고 흰 수건(또는 천)을 손에 든 채 무악(巫樂)의 반주에 맞추어 맺고 어르고 푸는 3가지 기본 동작을 중심으로 추는 것이 특징이다. 수건춤, 즉흥춤 등으로 불리다가 구한 말에 한성준이 춘 춤을 살풀이라고 명명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한성준이 창작한 것은 아니고 조선 중엽 이후 창우나 기생들이 판소리와 병행하여 승무와 함께 췄던 것을 한성준이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살풀이는 남도 지방 무속무용 계통이라는 설과 처음에 무당들이 살풀이 가락에 맞추어 신을 접하기 위한 수단으로 춤을 추었으나 무속행위의 금지령에 따라 무당들이 사당패와 관기로 분화되었고 다시 사당패가 분화하여 기녀로 탈바꿈하는 동안 변화되면서 점차 기방무용으로 계승, 발전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밀양북춤은 경상도 밀양에서 전해지는 밀양백중놀이에서 연행되는 북춤을 말하며, 기예능 보유자인 하보경 옹이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었던 외북놀음과 북잡이 다섯이 합주하는 오북춤으로 나눌 수 있다. 오북춤은 영남지방의 풍물 가운데 설북놀이가 독립적으로 발달한 춤으로 다섯 명의 북잡이가 자연스럽게 어울려 추는 춤이다. 강강술래는 주로 남해안 일대에 전승되어 오는 집단무용으로 추석을 전후하여 달밤에 부녀자들이 노래를 부르고 춤추는 가무일체(歌舞一體)의 놀이로 전라도의 해안지방을 중심으로 경상도의 영일, 의성, 북쪽으로는 황해도 연백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현재는 전라남도의 해남, 완도, 무안, 진도 등지에서 주로 전승되고 있다. 강강술래는 처음부터 끝까지 쉬지 않고 노래하고 춤을 추어 구성지고 활기찬 한 마당을 이루며, 남성들은 참여하지 않고 오직 젊은 여성들만 참여한다. 한량무는 순수한 무용이라기보다는 일종의 무용극에 속하는 춤으로 남사당패에 의해 처음 연희되었다고 여겨진다. 한량무는 두 가지 형태가 전해지고 있는데, 하나는 각자 맡은 역할이 있어 춤과 연기가 혼합된 무용극 형식의 춤과 독무로서의 한량무이다. 무용극 형식의 한량무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된 진주한량무가 대표적이며, 독무로서의 한량무는 무용극적 한량무에서 점차 약식화하여 소략된 것이다. 동래학춤은 부산 동래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춤으로 그 동작이 학의 움직임을 닮은 춤이다. 들놀음, 청류회 같은 놀이마당에서의 즉흥적인 유흥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민속춤과는 달리 일반적인 순서가 없고 순간적으로 춤사위를 만들어 내면서 추는 자유분방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동래학춤은 1인 독무에서 쌍무, 군무 등 인원에도 제약이 없고 시간제약도 없는 춤이다. 승전무(勝戰舞)는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이 싸움터나 병선(兵船) 위에서 장졸들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해 통영 교방청 그녀들로 하여금 북춤과 검무를 추게 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북춤은 고려 충렬왕 때부터 조선시대 말까지 이어져 온 궁중무고형(宮中舞鼓形)으로 통제영의 각종 의식이나 충무공의 제례(祭禮)에서 헌무(獻舞)되어 왔으며, 칼춤은 신라시대부터 가면을 쓰고 양손에 칼을 쥐고 추던 춤으로 조선시대에는 기녀무로 변형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당시 북춤과 함께 추게 되었다.
관련도서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84. 한국무용사, 김매자, 삼신각, 1995.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한국예술사전 4권(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