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궁중무용

작품/자료명
궁중무용
구분
정재
개요
궁중무용은 왕실에서 행해지던 것으로 나라의 경사, 궁중의 연회, 외국 사신을 위한 접견 등 각종 연회에서 추어지던 무용 일체를 말한다. 궁중무용이라는 개념은 왕권정치의 체제가 성립한 삼국시대 이후부터 틀이 잡혀가기 시작하였는데, 절대왕권과 계급의식이 뚜렷해지자 피지배자를 통치하는 권력이 필요해지고 피지배자의 군왕에 대한 절대복종과 충성심을 불어넣게 하기 위한 예술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무용도 더불어 발달하게 되었다. 국가기관에 예속되어 오랜 세월 동안 성장, 발전한 궁중무용은 수세기 동안 시행∙반복되는 사이에 차차 틀이 잡혀지고 의식의 한 절차로서 발전∙형성화되고 정착되어 내외적으로 더욱 다듬어짐에 따라 예술적인 무용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조선 후기 순조 때 부왕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진연(進宴) 때마다 새로운 정재를 만들어 바쳤다는 익종(翼宗)에 의하여 황금기를 이루었다.
궁중무용의 종류
궁중무용은 문묘(文廟) 및 종묘제례 때 여러 줄로 벌여 서서 추던 춤인 일무(佾舞)와 고려 이후 중국에서 들어온 궁중무용인 당악정재, 우리나라 춤으로 중국계 궁중무용의 양식을 도입하여 창작한 향악정재가 있다. 일무(佾舞)는 궁중의 종묘(宗廟), 문묘(文廟) 등의 제향(祭享)에서 제례악에 맞추어 추는 의식무용의 하나이며, 일(佾)은 열(列)을 의미한다. 제례의 대상에 따라 8일무∙ 6일무∙ 4일무로 구분되는데, 천자(天子)는 8명씩 8줄로 늘어선 64명의 8일무로 하고 제후(諸侯)는 6명씩 6줄로 늘어선 36명의 6일무, 대부(大夫)는 4명씩 4줄로 늘어선 16명의 4일무, 사(士)는 2명씩 2줄로 늘어선 4명의 2일무로 춘다. 그러므로 공자의 제사인 문묘제례에는 8일무는 하고, 조선 역대 왕의 제사인 종묘제례 때에는 6일무를 한다. 일무는 문덕(文德)을 칭송하는 문무(文舞)와 무덕(武德)을 칭송하는 무무(武舞)로 구분되며, 문무에 사용되는 음악이 보태평이라 하여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 무무에 사용되는 음악이 정대업이라 하여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라 하기도 한다. 당악정재(唐樂呈才)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궁중무용으로 <고려사>에는 포구락(抛毬樂), 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연화대(蓮花臺) 등이 전해지며, 조선시대 <악학궤범>에는 금척(金尺), 수보록(受寶錄), 근천정(覲天庭), 수명명(受明命), 하황은(賀皇恩), 하성명(賀聖明), 성택(聖澤), 육화대(六花隊), 곡파(曲破) 등의 당악정재가 수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등 많은 작품들이 당악정재의 형식을 빌려 창작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당악정재는 향악정재와 구분되는 여러 특징들이 서로 혼용되어 많은 변화가 생겼다. 당악정재의 특징은 궁중을 중심으로 발전∙계승된 춤이라는 점, 개인의 감정이나 정서를 억제하고 조종의 공덕을 추앙하거나 왕업의 선정∙선치를 과시∙선양하며 왕실의 번영을 송축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점, 춤이 시작되거나 끝날 때 무원들이 바로 나오고 퇴장하는 향악정재에 비하여 죽간자를 든 2명이 무원을 인도하여 무대에 들어오고 나가며, 순한문으로 된 구호(口號)나 치어(致語)가 춤의 앞뒤에 있고 춤 도중에도 한문으로 된 노래(唱詞)를 부르며, 춤의 흐름이 유유하고 담담하여 선이 우아하고 신비롭다는 것에 있다. 향악정재(鄕樂呈才)는 당악정재에 대칭되는 것으로 순수한 우리의 궁중무용을 말한다. 향악정재는 당악정재에 비하여 자연스럽고 간단한 형식을 가졌는데, 배면복흥(拜俛伏興) 즉 큰절로 엎드렸다가 일어나는 것으로 시작하여 춤추다가 우리 말로 된 노래를 부르고 다시 춤을 추다가 엎드려 절하고 일어나 물러가는 면복흥퇴(俛伏興退)로 끝을 맺는 형식이다. <고려사>에 무고(舞鼓)∙동동(動動) ∙무애(舞애) 등 3가지가 향악정재로 수록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악학궤범>에는 봉래의(鳳來儀), 아박(牙拍), 향발무(響鈸舞), 학무(鶴舞),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등이 향악정재로 수록되어 있다. 이후 조선 순조 때에 익종(翼宗)에 의하여 창작된 춘앵전(春鶯轉), 고구려무(高句麗舞), 향령무(響鈴舞), 보상무(寶相舞), 선유락(船遊樂), 헌천화(獻天花) 등도 향악정재에 속한다. 이 시기에 이르면 향악정재와 당악정재의 구분은 거의 사라지게 된다.
관련도서
한국예술사전 4권(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이흥구, 조선 궁중무용:국역 정재무도홀기, 열화당, 2000. 김천흥, 韓國舞踊의 基本舞譜, 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사이트
디지털한국학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