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봉래의(鳳來儀)

작품/자료명
봉래의(鳳來儀)
구분
정재
개요
봉래의(鳳來儀)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무악으로 구성한 정재이다. 1445년(세종 27) 4월에 권제·정인지(鄭麟趾)·안지(安止) 등이 용비어천가를 지어 올렸다. 용비어천가는 음악에 올렸고 다시 방대한 무악(舞樂)으로 구성하였다. 그 음악은 <세종실록> 권 140부터 권145까지에 봉래의(鳳來儀)의 이름으로 전한다. 봉래의는 전인자(前引子)·진구호(進口號)·여민락(與民樂)·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豊亨)·후인자(後引子)·퇴구호(退口號)로 구성되어 있다. <악학궤범 권5>의 '시용향악정재' 봉래의의 무보도 이와 같은 순서대로 연출되고 있다. 전인자는 전주곡(前奏曲), 후인자는 후주곡(後奏曲)에 해당하며, 진구호와 퇴구호는 봉래의 정재의 앞뒤에서 죽간자가 부르는 구호이고, 여민락·치화평·취풍형의 순서로 노래를 부르고 춤추는 것은 <세종실록>의 악보와 <악학궤범>의 무의(舞儀)가 일치한다. 다시말하면 <세종실록>에 전하는 봉래의는 용비어천가를 중심으로 한 정재에 속한다. <악학궤범>이나 조선조 말기의 <정재무도홀기>에 전하는 봉래의 정재에서는 한문으로 된 용비어천가와 국한문으로 된 용비어천가를 20~30장씩 노래하고 있으니 이 정재가 얼마나 긴 시간을 소요했는지 알 것이다.
내용
<악학궤범(樂學軌範) 권5>의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에 기록된 봉래의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이 전인자(前引子)를 연주한다(악기를 들고 무기(舞妓)를 인도하는 여기가 모두 연주한다. 이하도 이와 같다). 박을 치면, 죽간자를 든 두 사람이 족도하여 나아가 좌우로 갈라서고, 음악이 그치면 구호(口號)한다. 생각건대 우리조종 공덕이 융성하매 도타운 경사로 천명을 받으셨습니다 만세토록 혁혁히 밝게 펴실 것이매 찬탄을 길게 하여 노래 부릅니다 끝나다. 박을 치면, 앞의 음악을 연주하고 죽간자를 든 두 사람은 족도한다. 박을 치면, 무기 여덟 사람이 무진(舞進: 折花舞)하여 염수족도하고, 박을 치면 무퇴(舞退: 八手舞)하여 제자리로 돌아가고 음악이 그친다. 악관이 여민락(與民樂) 영(令)을 연주하면 제기(諸妓)와 무기(舞妓)는 모두 해동장(海東章)을 부른다.[치화평·취풍형도 역시 노래 부른다.] 해동의 육룡(목조·익조·도조·환조·태조·태종)이 날으시어 일마다 천복이시니 옛 성인의 일과 일치 하셨다 박을 치면, 무기 여덟 사람은 북쪽을 향하여 춤춘다.(四手舞) 근심장(根深章)에서 원원장(源遠章)까지는 배무(背舞: 八手舞)한다. 뿌리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휘고 꽃 좋고 열매가 많으며 샘이 깊은 물은 가물어도 아니 그치고 흘러 내에 이르고 바다가 되나이다 석주장(昔周章)에 이르러 배무(背舞: 五羊仙舞)한 다음에 대무(對舞)한다. 주나라 대왕이 빈곡에 사시어 제업을 열으시고 금아장(今我章)에 이르러 계속 대무(對舞: 八手舞)한 다음 북쪽을 향해 춤춘다. 우리 시조는 경흥에 사시어 왕업을 열으시다 적인장(狄人章)에 이르러 오른쪽으로 돌아 회무(回舞)하고, 적인으로 더불어 사시니 적인이 침노커늘 기산에 옮으심도 하늘 뜻이샷다 야인장(野人章)으로부터 야인으로 더불어 처하시니 야인이 침노커늘 덕원으로 옮으심도 하늘 뜻이샷다 <이하는 장별 내용 생략> 천세장(千世章)·자자장(子子章)·오호장(嗚呼章)에 이르는데, 음악이 끝나갈 때에 사방으로 대(隊)를 지어 함께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추고, 춤이 끝나면 음악이 그친다. 악관이 치화평(致和平) 제3기(機)를 연주하는데, 해동장(海東章)이 끝나고 박을 치면, 무기 여덟 사람이 염수 족도한다. 북대(北隊) 두 사람은 불휘장부터 북쪽을 향하여 춤다. 주국장(周國章)에 이르러 대무(對舞)하고, 다시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춘다. 적인장(狄人章)에 이르러 배무한다. 칠저장(漆沮章)에 이르러 4대가 모두 오른쪽으로 회무(回舞)하여 대의 자리를 바꾸어 서서 모두 염수 족도한다. 북대(北隊) 두 사람은 상덕장(商德章)부터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추고 불근새장에 이르러 대무(對舞)하고, 태자장(太子章)에 이르러 배무하고, 봉천장(奉天章)에 이르러 4대는 모두 회무(回舞)하여 대의 자리를 바꾸어 선다. 북대 두 사람은 일부장(一夫章)부터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추고, 우예장(虞芮章)에 이르러 대무하고, 오년장(午年章)에 이르러 배무하고, 말 장에 이르러 4대는 모두 회무하여 대의 자리를 바꾸어 선다. 북대(北隊) 두 사람은 성손장(聖孫章)부터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춘다. 양자강장(揚子江章)에 이르러 대무하고, 도망장(逃亡章)에 이르러 배무하고, 천세장(千世章)에 이르러 무기 여덟 사람은 모두 회무하고, 그 5엽(葉)에 이르러 좌우로 갈라서면 음악이 그친다. 악관이 취풍형을 연주하고, 해동장(海東章)이 끝나고 박을 치면, 무기 여덟 사람은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불휘장·주국장부터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춘다. 적인장·칠저장에 이르러 대무하고 다시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춘다. 상덕정·불근새장에 이르러 배무하고 태자장에 이르러 북쪽을 향하여 춤을 춘다. 천세장에 이르러 무기 여덟 사람이 모두 회무하고 5엽에 이르러 다시 처음의 대열을 지으면 음악이 그친다. 악관이 후인자(後引子)를 연주하고, 박을 치고 죽간자를 든 두 사람이 족도하며 조금 나아가 서면 음악이 그치고 구호한다. 하늘처럼 높고 땅처럼 두터운 성덕을 일컫기 어려우매 가송에 나타내어 공덕을 형상하려 하였나이다 소관을 연주하니 그 소리가 숙옹하매 만백성이 기뻐서 길이 태평을 축하하나이다 끝나고서 박을 치고 앞의 음악을 연주하면 죽간자를 든 두 사람이 족도하고 박을 치면 물러간다. 박을 치면 무기 여덟 사람이 무진(舞進: 挾手舞)하고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하고, 박을 치면 무퇴(舞退: 退手舞)하고 음악이 그친다.
이미지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3 무자진작의궤>, 은하출판사, 1989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역주, 국립국악원, 2000
관련멀티미디어(전체10건)
이미지 10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