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보태평(保太平)

작품/자료명
보태평(保太平)
구분
정재
개요
보태평(保太平)은 정재로서의 보태평과 종묘제례의식에서 사용되는 일무(佾舞)의 보태평 두 가지가 있으며, 내용이 조금 다르다. 보태평이 일무에 쓰인 시기는 세조 9년부터이다. 보태평이란 악곡 명이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시기는 세종 29년(1447) 6월 4일이다. 뒤에 또 문·무(文武) 두 가지 춤곡조를 제작하였는데, 문(文)은 ‘보태평(保太平)’이라 하고 무(武)는‘정대업(定大業)’이라 하여 악보가 각각 1권씩이다. 여기서 보태평(保太平) 춤곡조는 문덕(文德)을 밝힌 것이고, 정대업(定大業)춤곡조는 무덕(武德)을 밝힌 것이다. <세종실록> 악보에는 정대업지무악(定大業之舞樂)과 보태평지무악(保太平之舞樂), 발상지무악(發祥之舞樂)이 권 138~139까지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고취악(鼓吹樂)을 일러 수보록·몽금척·근천정·수명명이라 한다. 이들은 각각 임금의 일로 조종의 공덕을 성대하게 형용하는데 미흡하여 어려움이 있었다. 때문에 세종이 고취악과 향악으로서 새로운 악을 창제하였으니, 정대업·보태평·발상·봉래의라 한다.”라고 하여 세종이 정대업과 보태평을 만든 이유가 드러나고 있다. 수보록·근천정·하황은·수명명은 각각 조상의 사적(事跡)만을 노래했을 뿐이므로, 여러 조종의 공덕을 골고루 배려하지 못했다는 반성 하에 향악(鄕樂)과 고취(鼓吹)에 근거를 두어 창제하였던 것이다.
내용
<악학궤범(樂學軌範) 권5>의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에 기록된 보태평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여기[妓] 서른 여섯 사람은 모두 단장(丹粧)에 잡식(雜飾)을 하고 약과 적(翟)을 들고 손을 여미고 선다. 악관이 희문(熙文)(인입(引入))을 연주한다. 박을 치면 족도하고, 기명(基命)을 연주할 때에 춤을 시작하고, 귀인(歸仁)을 연주할 때에 춤을 시작하고, 형가(亨嘉)를 연주할 때 춤을 시작하고, 집녕(輯寧)을 연주할 때 춤을 시작하고, 융화(隆化)를 연주할 때에 춤을 시작하고, 정명(貞明)을 연주할 때에 춤을 시작하고, 대유(大猷)를 연주할 때에 춤을 시작하고, 역성(繹成)(인출(引出))을 연주할 때에 춤을 추면서 물러가고 음악이 그친다. 절차가 다 그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역성을 연주하고 춤을 춘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역주, 국립국악원, 2000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