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경풍도(慶豊圖)

작품/자료명
경풍도(慶豊圖)
구분
정재
개요
경풍도(慶豊圖)는 ‘풍년을 경축하는 그림’이라고 풀이되는 정재이다. 경풍도 정재에서는 1인이 경풍도를 바치는 것이 중심 움직임이다. 1828년 <무자진작의궤>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효명세자가 창사를 지은 창사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무자진작의궤> 주석에 기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태종이 대곡(大曲)·소곡(小曲)을 친히 지었는데 남려궁(南呂宮) 11곡 중에 경년풍(慶年豊)이 있다. 고금도서집성에는 명나라의 악장 천명유덕지무(天命有德之舞)에서, 여섯번째로 경풍년지곡(慶豊年之曲)을 연주한다고 한다. 헌도탁(獻圖卓)을 설치하여 무동(舞童) 1인이 경풍도(慶豊圖)를 받들고 나아가는데, 5인은 뒤에 자리하여 북향하여 춤춘다.”
내용
1901년(신축) '외진연시 무동각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경풍도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음악은 경풍년지곡(慶豊年之曲: 보허자령)을 연주한다. 악사가 탁자를 받든 무동 2인을 인솔하여 전내에 두고 나간다. ○박을 치면, 중무가 경풍도를 받들고 나오고, 악이 그친다. 창사를 부른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중무가 무릎을 꿇고서 경풍도를 탁자 위에 올리고 엎드렸다 일어나 무작(舞作)하며 조금 물러나 선다. 악이 그친다. 중무(中舞)가 창사(唱詞)한다. 아, 성스러운 임금이시여, 위대한 이름 크게 드러내시네 두루 융성한 일덕(一德)이여, 높으신 이름 누릴 만하네 거룩하도다 상제시여, 비로소 아름다운 복 내리시네 그 복이 무엇으로 맺어졌는고, 아름다운 벼 아홉 줄기네 수많은 풍년을 편안히 여기니, 경사의 근본 여기서 자라나네 상서로운 구름 채색으로 떠다니고, 상서로운 해는 휘황하게 빛나네 적도(赤圖)와 현부(玄符) 받으시니, 천복(天福)이 길이 창성하네 봉궐(鳳闕)에서 조회 열어, 임금께 올리네.‚ ○박을 치면(세취가 가곡편을 연주하고) 협무가 창사한다. 올해도 풍년이요, 내년도 풍년이라 해마다 풍년이니, 만백성이 오래도록 풍년 중에 있도다 선인이 옥함을 받들었으니, 한폭의 경풍도로다 가화(嘉禾)에 아홉 이삭이 달렸으니, 우리 임금님 덕을 칭송하도다. 마치면, 악이 그친다. ○박을 치면,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박을 치면, 중무가 무작(舞作)한다. ○박을 치면, 후대 5인이 무작하고, 나란히 서서 춤추며 나아가 선다. ○박을 치면, 중무와 후대 5인이 각각 상대하여 나아갔다 물러났다하며 춤춘다. ○박을 치면, 둥글게 돌면서 춤춘다[중무는 가운데서 춤춘다] ○박을 치면, 각각 상대하여 춤춘다. ○박을 치면, 처음의 대열로 돌아가며 춤춘다. ○박을 치면, 무동이 나아와 선다. ○박을 치면, 손을 여미고 족도한다. ○박을 치면 무동이 물러난다. 악이 그친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3 무자진작의궤>, 은하출판사, 1989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무용개론>, 장사훈, 대광문화사, 1992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고종신축진연의궤 권1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한국예술종합학교, 2001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