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검기무(劍器舞)

작품/자료명
검기무(劍器舞)
구분
정재
개요
검기무(劍器舞)는 신라의 황창랑(黃倡郞)이 검무(劍舞)로 이름을 날려서 백제 왕궁에 들어가 백제왕을 죽였다는 고사(故事)에서 황랑창을 관창(官昌)으로 보는 것으로 그 연원(淵源)을 찾기도 한다. 그러나 영조 이전의 기록에서는 검무를 증명할 만한 자료를 찾지 못하고 있다. 문헌에 검기무의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795년(정조 19)으로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에 나타난다. 이 의궤에 따르면, 2명의 여기(女妓)가 군장(軍裝)을 하고, 각각 검 2개를 들고 서로 마주하며 춤춘다. 현행 검기무는 짧은 칼을 들고 춤추지만, 검기무 그림 속에는 긴칼을 들고 춤추었다. 때에 따라서 2명이 춤추기도 하고, 4명이 춤추기도 한다. 춤사위는 첨수무(尖袖舞)나 공막무(公莫舞)와 거의 유사하다.
내용
1901년(신축) '여령 각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검기무 정재의 진행순서는 아래와 같다. 무녕지곡(武寧之曲: 향당교주)을 연주한다. 악사가 전(殿) 중앙의 좌우에 칼을 놓고 나간다. ○박을 치면, 춤 동작으로 서로 마주 보며 춤추며 나왔다 물러나며, 자리를 바꾸어 서서 혹은 등지고 혹은 서로 마주하여 춤춘다. 서로 마주보고 꿇어 앉아서 춤추며 칼을 어르다가, 칼을 집어든다.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듯 소매를 돌리며 칼춤을 추다가 모두 일어서서 춤동작을 한다. 각각 재주를 부리어 연귀소(燕歸巢)와 연풍대(筵風擡) 동작을 한다. 춤추며 앞으로 나왔다 춤추며 뒤로 물러나면 음악이 그친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원행을묘정리의궤>, 수원시, 1996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전통무용연구>, 장사훈, 일지사, 1977
용어해설
연귀소(燕歸巢): 제비가 보금자리에 돌아간다는 뜻. 춤이 시작되었던 처음의 자리로 돌아가며 추는 춤의 형태로 양팔을 벌리고 뒤로 물러선다. 검기무에서는 칼을 휘두르며 뒤로 돌아간다. 연풍대(筵風擡): 무릎을 굽히고 허리를 숙였다 뒤로 제치며 도는 동작.
관련멀티미디어(전체7건)
이미지 7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