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녹두꽃이 떨어지면

작품/자료명
녹두꽃이 떨어지면
초연장소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안무가
한상근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스태프
* 출연 박종필, 최효선, 하경숙, 안수옥, 정은숙 * 스태프 대본/김용범 음악/박치홍 의상/이호준 무대디자인/이태섭 음향/박래선 조명/정대성 분장/김기진 사진/권양수 권양석
내용
동학난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시대상황을 오늘의 시각에서 조명, 과거의 전봉준이 아닌 미래의 녹두장군을 그린다. 동학농민혁명의 주역 전봉준의 투사적 측면보다는 인간적 모습에 초점을 맞춰 인간적 고뇌를 지닌 인물로 묘사하는 한편, 우루과이 라운드 개방으로 시름시름 앓고있는 농민들의 모습들을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전개하고 있다.
예술가
한상근 (1953 ~ ) 1953년 서울 출생. 한양대학교 무용과 및 중앙대학교 대학원 무용교육과를 졸업하였다. 1978년 서울시립무용단에 입단하여 2000년까지 단원 및 지도위원으로 지냈으며, 1995년 올해의 젊은 예술가상 무용부문에 선정되었다. 1991년 프랑스 에콜 드 스텍타클에서 연수를 받았으며,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족춤위원회 기획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춤패 아홉 대표와 대전시립무용단 상임안무가로 활동 중이며, 중요 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 이수자이다. 대표작품 <적색경보>(1987), <비행>(1992), <녹두꽃이 떨어지면>(1994), <꽃신>(2001)
리뷰
<녹두꽃이 떨어지면>은 동학 농민 전쟁 100주년을 기념해 만들어진 작품으로 정치 혹은 사회적 소재 그리고 역사적인 소재까지 담아내고 있다. <녹두꽃이 떨어지면>은 멜로디 위주의 신디사이저 음악이 진행되는 가운데 무대 중앙에 놓인 침대가에서 부인의 죽음을 애통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후반부에서는 남녀 군무가 펼쳐지고 남성은 외세의 지배 그리고 여성은 피지배자로 상징된다. 이 작품에서는 외세를 상징하는 군무진의 의상, 입체적인 공간 사용, 그리고 반복되는 총성 등이 사실적으로 재현된다.
평론
이전 작품 <비행>에서도 상징적 춤 언어를 다루었는데, <녹두꽃이 떨어지면>은 전작의 관념 과잉을 훨씬 순화시켰다. 추상적 상징적 춤 언어에서 관객들의 심성을 자극하는 리얼리티를 얻고 있는 셈이다. 한상근의 춤 지향이 거대한 용광로 속의 저항정신의 분출을 노렸다면 대중들에게 이 작품은 어필할 수 있다. (<월간 춤> 1994년 6월, 김영태) 한 세대 앞선 무용인들의 한국 창작무용이 주로 유려한 선의 전시이자 극적인 드라마의 부재로 특징지어진다면, <녹두꽃이 떨어지면>의 경우 힘의 무용과 함께 이미지의 형성과 그에 따른 시각적 효과가 한국 창작무용이 지닌 부정적 측면을 어느 정도 극복해낸다. (<월간 객석> 1994년 5월, 이상일) 그들은 하나의 무용 공연을 기호화하고 물질화시키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고 그런 노력은 어느 춤꾼이 저지르는 모험보다도 더 파격적이다. (<월간 춤> 1994년 6월, 김태원)
관련자료
<한국 무용 100년> 김경애 외, 현암사, 2001. <춤> 1993년 1월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