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비단길

작품/자료명
비단길
초연장소
국립극장
안무가
김매자
장르구분
1961년~1980년
출연/스태프
* 출연 김매자 외 창무회 단원 * 스태프 음악/김영동 조명/이우명 미술/김동진 의상/정선
내용
오랜 세월의 아픔과 인고 속에서 우리의 문화가 은근과 끈기로 이어온 것임을 상징하는 내용. 참고: <춤지> 1981년 9월호
예술가
김매자 강원 고성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와 경희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뉴욕대학교에서 무용교육으로 박사과정을 이수하였다.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1982년 (사)한국무용연구회를 설립하여 1991년까지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1976년 전문무용그룹 창무회를 창단하여 현재 총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무형문화재 제27호 한영숙류 승무 이수자이며, 무용예술지 <몸>의 발행인이다. 대표작품 <비단길>(1977), <꽃신>(1985), <춤본Ⅰ>(1987), <춤본Ⅱ>(1989)
재공연
- 1981년 7월 18일~19일 국립극장 - 1991년 2월 5일 러시아 레닌그라드 키로프극장
평론
나의 가야금곡 <비단길>을 김 선생이 처음 안무하여 발표했을 때, 김 선생이 입은 거대한 치마 속에 숨어 있던 수많은 무용수들이 떨쳐 나와 무대를 가득 채우며 춤추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일이 있다. 이 작품은 김 선생의 대표작의 하나로 해외에서도 여러 차례 공연되어 격찬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창무회야말로 김 선생이 입었던 것보다 휠씬 더 큰 치마였던 것 같다. 그 속에서 혁혁한 무용수들이 떨쳐 나와 한국 무용계를 가득 채우며 춤추고 있기 때문이다. (‘25년간의 여정’ 축사 中에서 황병기) 공연은 김영동씨의 음악에 맞추어 <사금파리>와 <사물>을 시작됐다. 이 두 작품은 산조에 맞추어 한국고전무용을 동시에 현대적인 유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2부는 황병기씨 작곡으로 <비단길>로 시작됐다. 깔끔하고 때깔 있는 그 여심은 어떤 때는 문화사적인 것 <비단길>로, 어떤 때는 현실주의적인 것 <사금피리>로, 어떤 때는 종교적이어서 자못 우주론적인 것(사물)로 나타났다. (“흐르되 넘치지 않는 한국여인의 정한의 표출” <춤지>, 1983년 5월, 알란헤이먼)
관련자료
<창무회 - 25년간의 여정> 창무회, 2002. “흘러서 넘치지 않는 정한을 현대 한국 여성의 심상으로” <춤지> 1981년 9월호 채희완 “무용의 방향적 정립을 위한 연구” <무용한국> 1978년 12월호, 김매자
관련사이트
창무회
관련멀티미디어(전체6건)
이미지 6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