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달보는 개

작품/자료명
달보는 개
초연장소
문예회관 대극장
안무가
홍승엽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스태프
* 출연 김선이, 이광석, 이진우, 남도욱, 김용화, 배혜원, 윤혜정, 송보경, 김금례, 김여진, 강희수 * 스태프 대본/홍승엽 음악/김태근 무대/김태학 조명/천세기 음향/홍승욱 의상제작/박영수
내용
내 모습이 기억나지 않을 때가 있다. 가끔은 거울 속의 내 모습이 생소할 때가 있다. 길을 나서면 문득, 나는 없고 거리 풍경만 지나간다. 뒤로… 앞으로… 아스팔트 길가에 서성이는 개처럼 풍경 속에 들어온 자신이 어색할 때가 있다. 연상 단어 : 달, 거울, 개, 추
예술가
홍승엽 (1962 ~ ) 1962년 대구 출생. 1986년 경희대학교 섬유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경희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에 입학하여 1988년 무용학과를 졸업하였다. 1984년 동아무용콩쿨대회에서 대상, 1986년 제10회 문화예술축전 무용제 연기상, 1996년 제18회 서울국제무용제 안무상, 창무예술원 주최 올해의 안무가상, 1999년 제10회 사이타마 국제콩쿨 특별상, 제21회 서울국제무용제 안무상, 2001년 한불 문화상, 창무예술원 주최 올해의 안무가상을 수상하였다. 1993년 댄스씨어터 온을 창단하여 현재 예술감독 겸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작품 <김노인의 꿈> <멀리있는 무덤> <13 아해의 질주> <파란옷을 입은 원숭이> <뒤로가는 산> <데자뷔> <빨간부처>
리뷰
<달 보는 개>는 자아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혼란을 담은 작품으로 아스팔트 길가에 서성이는 개처럼 갈팡질팡하는 인간의 심리를 그리고 있다. 13명 무용수들이 달빛 아래서 개가 된 현대인의 자화상을 그린다.
수상현황
- 1999년 제21회 서울국제무용제 안무상 수상 - 2001년 한불 문화상 수상
재공연
- 2000년 6월 3일~4일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 2000 댄스씨어터 온 정기공연 - 2000년 9월 8일~12일 프랑스 리옹 크루와 루스 극장, 2000 프랑스 리옹 댄스 비엔날레 - 2000년 12월 13일 문예회관 대극장 - 2002년 3월 8일~9일 문예회관 대극장, 오늘의 춤작가 초대전
평론
<달 보는 개>는 대상감이었다. 안무가는 관객들이 느끼는 각도에 따라 이 음습한 시대에 처한 각자의 아이덴티를 건져 올린다. 김선이의 솔로는 조명에 힘입어 민둥산이나 얼음 위에 절묘하게 피어난 한 꽃송이였다. 거울은 자신을 들여다 보는 반사 물질이고 달 아래 개들의 상징은 그 달에 비친 비극의 예감이다. (<월간 춤> 1999년 12월) <달 보는 개>에서는 무엇보다 안무자의 움직임 창조력이 절정에 달해 있었음을 말해 주었다. 안무자는 이 작품을 통해 춤이 인체를 매개로 하는 예술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명제에 대한 가장 확실한 답을 우리에게 던져 주었다. ( 2000년 7월, 장광렬) <달보는 개>에서는 기묘하게도 차가운 타악기 음과 어렵고 기계적인 안무언어가 무용수들의 우아함과 타고난 유연성과 대립된다. 우리는 반사경이 등장하는 아름다움 끝장면을 기억할 것이다. (<르 피가로> 2000년 9월 12일, 르네 시르벵) 무대에 오른 댄스 시어터 온은 힘찬 열정과 격렬한 테크노 댄스로 한국의 무용에 대한 편견을 일축해 버린다. 여성들의 기계적인 몸은 자동차 경적 소리를 흉내낸 사운드에 맞춰 정돈된다. 그 소리는 때론 신경을 거슬리게도 하지만 놀랍도록 아름다운 선율을 가진 다이내믹한 음악이다. 음악은 이 공연의 맥이고 심장 고동소리이자 힘이다. (<댄스 포럼> 2000년 10월, 다바두 트랑)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