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동래학춤

작품/자료명
동래학춤
지정여부
유금선(구음)
구분
민속무용
개요
동래학춤은 부산 동래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춤으로 그 동작이 학의 움직임을 닮은 춤이다. 동래는 예로부터 지형이 학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하고, 학이 많이 서식했던 곳이어서 학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고 전한다. 동래학춤에 대한 문헌자료는 전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동래지역에 오래 거주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통해 그 유래를 추측해 볼 수밖에 없다.동래야류 기능보유자였던 故 신우언(1899~1979) 선생과 동래기영회 이사장이었던 故 김인호 선생, 현재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장 겸 동래야류 예능보유자 문장원 등의 의견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동래학춤은 특정한 단체와 개인에 의해 독자적으로 형성되었다기보다는 동래지역의 줄다리기와 야류 등과 깊은 관계가 있는 춤이라고 한다. 동래에서는 예전부터 매년 정월 대보름을 전후로「큰줄땡기기」를 개최했다고 하는데, 줄다리기에서 이긴 편에게는 그 해 풍년이 든다고 하여 마을 전체가 온통 축제분위기가 되며 이 때 학춤도 한몫 끼었다고 한다. 줄다리기가 끝난 후 동래야류의 본 마당에 들어가기 전에 길놀이를 하고, 놀이마당에서는 온 마을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춤을 추고 함께 어울리는 자리에서 여러 가지 춤자랑이 벌어졌다. 요동춤, 두꺼비춤, 곱추춤, 병신춤, 홍두깨춤, 엉덩이춤, 문둥이춤등을 추는데 이때 어느 이름난 춤꾼 한 사람이 당시 흔히 입고 다니던 도포를 입고 갓을 쓰고 덧배기 춤을 멋있게 추니까 이것을 본 누군가가 마치 학이 춤을 추는 것 같다고 한 것에서 동래학춤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전한다.한편 궁중에서 전승되던 무용 가운데에도 학무가 있었는데, 궁중에서 연행되던 학춤이 분장, 아악반주, 춤 사위 등의 연출에 있어서 정중한 것에 비해 동래학춤은 도포차림에 민속악기인 사물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매우 소박한 토속 민속춤이라는 것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래학춤은 궁중무용이 민간에 전파되었다기 보기보다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났다고 보는 說이 지배적이다.학춤에 대하여 증언한 故 신우언선생은 "동래학춤은 한량들이 추는 춤사위의 기본형태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고 하면서 원래 동래지방 한량들이 즐겨 추었던 동래 덧배기춤과의 유사성을 지적하였다. 즉 춤이 강하고 폭이 커서 위엄과 멋과 박력을 두루 갖춘 남성적 기질의 덧배기 춤에 학의 움직임을 더하여 좀더 다듬은 것이 지금의 동래학춤이며, 동래지역 사람들은 학소대 등에서 학의 모습과 움직임을 잘 관찰할 수 있었고 온천과 교방(敎坊)이 있어서 춤세가 거세었던 데다가 풍류객들이 많이 모여들어서 자연히 놀이문화가 풍성했다는 여러 조건이 부합되어 발생한 춤으로 볼 수 있다.
내용
동래학춤은 들놀음, 청류회 같은 놀이마당에서의 즉흥적인 유흥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민속춤과는 달리 일반적인 순서가 없고 순간적으로 춤사위를 만들어 내면서 추는 자유분방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동래학춤은 1인 독무에서 쌍무, 군무 등 인원에도 제약이 없고 시간제약도 없었다. 1972년에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던 고 김희영 선생(1923~1972)는 흥겨울 때는 얼마든지 멋진 춤사위가 나오며 평소에 생각지도 못했던 춤이 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개인적인 멋이 강조되는 자유분방한 춤 같지만 학의 생태를 표현한 몇 가지 춤사위는 꼭 추었다. 주된 춤사위는 탈춤과 비슷한 “배김새사위”인데, 배김새사위는 겹배김새와 뒷배김새, 앉은 배김새가 있다. 그 밖에 학춤의 춤사위로는 활개뜀사위, 일자사위, 돌림사위, 어름사위, 옆걸음사위, 좌우풀이사위, 좌우활개사위, 둥근팔사위, 소매걸움사위, 모뛰기사위, 모이줍는사위 등이 어우러져 있으나 흥에 따라 자유롭게 춤사위를 변형할 수 있고 새로운 춤사위를 창작할 수도 있는 등 춤사위가 도식화되어 있지는 않았다. 춤의 형태는 학이 날아오는 비약태, 한쪽 다리를 들고 물가에 가만히 서 있는 정태(靜態), 모이를 앞에 놓고 얼르는 모이 어름태, 구애를 나타내는 애정태, 환희에 넘쳐 흥겹게 너울거리는 역동태 등이 있다. 동래학춤은 예전에는 일정한 춤옷이 없었다고 하나 지금은 흰 바지 저고리에 흰 도포를 입는다. 흰 도포의 넓은 소매자락이 마치 커다란 학의 날개를 연상시키며, 명주천으로 도포를 만들어 입어 학춤을 더욱 돋보이게 하였다. 여기에 갓을 쓰고 미투리를 신으며 가슴에는 흰 술띠를 맨다. 학춤을 출 때의 장단은 굿거리와 자진모리이며 악기 편성은 꽹과리 1개, 징 1개, 장구 4개, 북 4개로 구성되었다. 굿거리장단에서는 구음(口音)이 나오고 온다. 자진모리는 처음에 풍물패가 입장할 때와 학춤이 다 끝나고 퇴장할 때만 쓰이고 학춤은 굿거리장단에만 맞추어 춘다. 동래학춤은 동래지역의 자연환경과 들놀음, 줄다리기, 한량무 등의 민속예능과 풍류 문화권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민속춤으로 100여년의 전통을 갖는다. 학춤이라는 명칭 때문에 이 춤이 단순히 학의 모습을 흉내낸 모의무(模擬舞)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동래학춤은 학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춤이 아니고 동래지방 기방무의 일종인 한량춤에서 발전하여 춤 자체에 표현되는 이미지에 학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즉, 갓은 학의 머리와 같고 흰 도포는 학의 날개, 그리고 격조 있고 우아한 춤사위는 고고한 학을 연상시키는 춤으로써, 예술의 기본 요소인 상징성을 갖추고 있다.
전승자정보
1972년에 부산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동래학춤의 현재 예능보유자는 구음 부분에서 보유자 인정을 받은 유금선이며,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상설공연을 개최하는 등 그 전승과 보급에 힘쓰고 있다.
연계정보
재구성http://www.heritagebusan.com/htg/htg08.htm 부산의 문화유산_문화유산탐방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1999.
관련도서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1999. 한국예술사전 4권(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관련사이트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부산문화관광
관련멀티미디어(전체3건)
이미지 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