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진도북춤(진도북놀이)

작품/자료명
진도북춤(진도북놀이)
지정여부
박관용, 양태옥, 김길선
구분
민속무용
개요
북춤은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며 크게 경상도 북놀이와 전라도 북놀이로 나눌 수 있다. 전라도의 경우는 다시 외북치기와 양북치기로 나뉘는데, 외북은 전라도 지역 북놀이의 보편적 형식으로 북을 어깨에 매고 한 손으로 북채를 들고 치기 때문에 원박(原拍) 가락에 충실하고 소리가 웅장하다. 양북치기는 진도에 한해서 전승되고 있는데,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장구를 치듯 하기 때문에 잔가락이 많이 활용되면서 멈춤과 이어짐이 민첩하고 가락이 다양하다. 특히 북가락이 갖는 시간적 소리와 몸짓이 갖는 공간적 움직임이 어우러져 흥을 돋군다. 북춤은 농경사회에서 일꾼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 추던 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농사일에서 뿐만 아니라 마을의 축제 및 종교의식, 마을 주민들의 경사, 오락 등에서 북춤을 추어왔다. 소리와 춤사위로 이루어진 북춤은 수 백년 동안 소리와 춤이 감흥을 같이하여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뤄 생성된 것이며, 이러한 사실은 진도의 북춤 역시 다르지 않다. 진도 북춤은 원래 두레굿에서 풍물로 발전되고 다시 춤으로 발전하였다. 진도북춤은 김행원(판소리 명고수 김득수의 부친)이 명인이었는데, 이 분에게서 사사 받은 임장수, 박태주, 김성남(金成南) 등이 그 계보를 이어오다가 지금은 박관용(朴寬用), 양태옥(梁太玉), 곽덕환(郭德煥), 박병천(朴秉千) 등이 그 뒤를 이어 활약하고 있다.
내용
진도북춤의 특징은 대부분의 북춤이 한 손으로 채를 사용하여 공연하지만 진도북춤은 쌍북채를 이용하여 장구와 같이 고정을 시켜 춘다는 것에 있다. 그리고 원박 및 바탕가락을 중시로 하는 외북과는 달리 장고가락과 같은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가락을 구사하여 감정을 풀어나간다는 점과 풍물의 흥겨움과 신명성에 더불어 아름다운 춤사위가 큰 몫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 역시 진도북춤만의 특징이다. 한편 장구춤이나 소고춤 같은 경우 여성스러우며 유연성을 느낄 수 있는 반면 북춤은 남성적이고 강하며 활발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진도북춤은 북소리의 강렬함과 장구의 유연하고 다양한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여성적인 면과 남성적인 요소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북춤은 리듬을 그대로 유지한 채 아름다운 멋을 가미시켜 생활과 예술의 조화를 만들어 준다. 또 일반춤이 대부분 무용에 음악을 더해야 하지만 진도북춤은 음악 자체가 필요 없이 소리와 몸짓이 하나되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가진다. 진도 북춤은 삼현육각 및 시나위 가락과 사물이 받쳐주는 형태가 음악적 구성면에서도 차이가 나므로 즉흥적 춤사위와 북가락이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면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이다. 예능보유자인 박관용이 추는 춤의 춤사위를 보면 그의 북춤은 북으로 추는 살풀이라고 할 수 있다. 까치새로 엮어가는 발사위나 게걸음 같은 옆걸음뛰기, 무섭게 휘돌아가다가 한 장단 슬쩍 먹어버리는 발림 등이 상쾌하고 순수하며 소박하다. 그는 스승에게 배운 북춤 위에 풍류 살풀이의 멋을 얹어 자신만의 북춤을 추고 있다.
전승자정보
현재 진도북춤(북놀이)는 전남 시도무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박관용, 양태옥, 김길선 등이 보유자 인정을 받았다. 또한 진도씻김굿 보유자인 박병천 역시 남도 들노래의 북장단과 춤사위, 신청농악, 연신농악의 장단 사위를 기본으로 다듬어진 북춤을 전승하고 있다.
박관용(朴寬用, 1921~)
박관용은 진도의 부유한 농사꾼 집안에서 태어난 탓에 그의 집안에는 시조의 대가였던 큰할아버지와 퉁소를 잘 하던 작은아버지 등 풍류객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가풍으로 아주 어린 시절부터 춤과 장단을 좋아해 놀이판이라면 어디든 기웃거리는 열렬한 구경꾼이었는데, 17세부터 본격적으로 춤과 장단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는 박태주와 김행원을 스승으로 모시고 있는데, 김행원은 판소리 명고수 김득수의 부친으로 진도북춤의 총정리자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당시까지 전해진 각종 춤사위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 그는 특히 농사철에 들노래와 함께 치는 상사북소리가 장기였다. 한편 박태주는 설북(설장구와 같은 종류임) 놀이를 다양하게 연행할 줄 알았고 발림에 남다를 경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박관용은 북춤 말고도 살풀이, 상사소리에도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으며 장구나 쇠도 잘 다룰 줄 알 정도로 가무 전반에 관심이 많았다. 호남농악경연대회에서 북춤 최우수상을 수상하였고 1987년에 시도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을 받았다.
장성천(張成天, 1923년~1993년)
진도군 임회면 출신으로 20세 때 김성남으로부터 북놀이 가락과 장구, 아쟁, 판소리 등을 배웠다. 그는 농악 판굿의 구정놀이인 북놀이 가락에 충실하여서 그의 북놀이는 선이 굵으면서도 흥겨워 진도의 전통적인 맛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그는 진도에 거주하면서 1984년 ‘진도북춤놀이보존회’를 만들어 전승에 힘썼으나 1993년에 작고하여 지금은 김길선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양태옥
양태옥은 김성남으로부터 북을 배웠으며, 1954년에 진도민속국악원(珍島民俗國樂院)을 창립하여 후진양성과 북놀이 계승에 힘써 오고 있다. 1987년 박관용과 함께 진도북춤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2002년 12월에 개최된 ‘북춤명인전’ 등에서 공연하는 등 현재까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연계정보
재구성한국의 명무, 구희서, 한국일보사, 1985.한국예술사전 4권(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http://www.maruarts.com/updata/dance_5.htm#(4) 마루아트_민속무용http://www.mirejindo.co.kr/folk_htm/buk.html 진도포탈사이트 미래진도_진도민요/민속
관련도서
한국의 명무, 구희서, 한국일보사, 1985. 한국예술사전 4권(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두레굿
두레굿은 직접 노동을 하는 사람들이 노동과정 속에서 노동과 놀이를 결합시켜 연행하는 풍물의 형태를 말하며, 마을에 큰 잔치가 있을 때에도 연주되었다. 예전에는 마을단위의 공동 노동조직인 두레가 이것을 담당하였으며, 작업 종류에 따라 길쌈 두레, 풀베기 두레, 지심 두레, 김메기 두레, 모심기 두레 등이 있었다. 작업 현장에서 소리를 하며 꽹과리와 장구를 연주하는 사람을 ‘두레 풍장’이라고 하며 그 가락을 ‘풍장 가락’ 이라고 하였다. 두레굿은 농민의 노동과 가장 밀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김매기를 끝낼 때까지 힘든 노동을 이겨내고 즐거움으로 바꾸기 위한 생활의 지혜로 활용되었다.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