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새 노래

작품명
새 노래
작곡가
미상
개요
전라남도 영광 지방의 노래로 새들의 모습과 소리 등의 특징을 인간사에 비유하여 익살스러운 내용을 담고 있다. 경상남도 지방의 <동그랑땡>과 유사하다.
해설
지비: 제비 쟁인놈: 당골무를 낮추어 부르는 말 잴맸냐: 잡아맸냐, ‘잴매다’ ‘쨈매다’는 두 가지를 짝지어 준다는 뜻으로 흔히 쓰임. 전지공: 절굿공이 <새 노래>와 연관된 놀이로는 ‘허수아비와 새 놀이’가 있다. 아이들 전체가 손을 잡고 동그랗게 원을 만든다. 가위 바위 보를 하여 허수아비와 새를 정한다. 새는 원 안에 있고 허수아비는 원 밖에 있는다. 시작과 함께 새는 도망가고 허수아비는 원 안으로 들어오기를 시도하며 새를 쫓아간다. 새가 원 밖으로 도망칠 때에는 손을 잡은 아이들이 팔을 들어 틈을 내주지만 허수아비가 통과하려 할 때는 팔을 내려 방해를 한다. 허수아비에게 잡히면 새는 허수아비가 되고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돌아가며 새가 된다. - 참고: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래동요의 효과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놀이와 가사 활용을 중심으로>, 윤상, 2004
노래 부르는 방법
새는새는 낭게자고 쥐는쥐는 궁게자고 납작납작 붕어새끼 바위틈에 잠을자고 우리우리 할머니는 사랑방에 잠을자고 곱고고운 새색씨는 신랑품에 잠을자고 우리 같은 아이들은 엄마품에 잠을자네 전라남도 노래의 특색인 ‘꺾는 소리, 흔들어 내는 소리, 평으로 내는 소리’의 시김새를 잘 살려서 부른다. 자진모리 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1,2째 장단은 자진모리 장단에 맞추어 부르다가 3째 장단은 세마치 장단으로, 다시 4,5째 장단은 자진모리 장단으로 반주한다.
관련음반
<한국민요대전 충청북도편3>, MBC, 1996 <신나고 즐거운 전래동요- 잠자리 꽁꽁 꼼자리 꽁꽁>, 국립국악원, 2001
관련도서
<전래동요를 찾아서>, 홍양자, 우리교육, 2000 <2000 우리노래교실 악보집 국악가요편>, 국립국악원, 2000
관련사이트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관련사이트
정창관의 국악음반세계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