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반달

작품명
반달
작곡가
윤극영
개요
<반달>은 우리나라 창작동요의 효시가 되는 노래다. 동요 <반달>이 나오기까지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우리 동요를 부를래야 부를 노래가 없었다. 있었다면 고작 방정환이 외국 곡조에 맞추어 지은 "날 저무는 하늘에 별이 삼형제......"가 어린이들을 위한 유일한 노래였다. <반달>은 작곡된 직후 나이의 구별 없이 온 겨레의 노래가 되었다. <반달>이 탄생한 1923년은 이 땅의 어린이들에겐 기념비적인 해였다. 소파 방정환에 의해 처음으로 '어린이'라는 낱말이 지어졌고 그 해 5월 1일을 기해 '어린이날'이 마련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동화집인 <사랑의 선물>이 출판되었고 뒤이어 역시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인 동요 <반달>이 나왔던 것이다. 이 땅의 어린이들이 우리 동화를 읽고 우리 동요를 부를 수 있게 된 것이다.
해설
<반달>을 작사, 작곡한 윤극영은 당시를 회상하며 "전혀 뜻밖이었어요. 그렇듯 짧은 세월에 그렇게까지 널리 퍼질 줄은 생각하지도 못했어요"라고 말했다. 그는 <반달>을 작곡한 날까지도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1923년 9월 9일, 21살의 청년이던 윤극영은 서울 삼청공원에 이웃한 소격동에 살고 있었다. 그에겐 누님 한 분이 있었다. 그 누님은 그보다 10년이나 위인데다가 일찍 경기도 가평으로 출가하여 얼굴조차 잊어버릴 정도였다고 한다. 누님은 가난한 양반집에서 고생스럽게 시집살이를 하다가 세상을 떴다. 삼청공원에 가서 남몰래 실컷 울다보니 새벽이 되었다. 울음이 끊어져 멍하니 하늘을 쳐다봤는데 은하수 같은 엷은 구름 너머로 반달이 걸려 있고, 그 멀리로 샛별이 반짝이고 있었다. <반달>의 악상이 떠오른 것이 바로 이 때였다 한다. 누님을 잃은 슬픔 속에서 태어난 <반달>은 나라를 잃은 슬픔에 잠겨 있던 당시의 온 겨레의 마음 속에 파고 들었다. 돛대도 삿대도 없이 정처없이 흘러가는 하얀 쪽배는 곧 조국의 슬픈 모습이요, 간도, 중국으로 유랑하는 겨레의 외로운 모습이었다고나 할까. 그래서 사람들은 <반달>로서 빼앗긴 나라의 쓰리고 아픈 마음을 달랬던 것이다. 이 노래가 불길처럼 퍼지게 된 데에는 당시 윤씨가 주재했던 소녀 합창단인 '다알리아회'의 힘이 컸다. 참고: 'Opencity Classic' 홈페이지의 명곡해설 가사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나무 토끼 한마리 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 은하수를 건너서 구름나라로 구름나라 지나선 어디로 가나 멀리서 반짝반짝 비치이는 건 샛별이 등대란다 길을 찾아라
작사/작곡가
윤극영(尹克榮 1903~1988) 1903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경성법학 전문학교를 중퇴하고, 일본 동양음악학교에서 성악을 전공하였다. 1923년 방정환, 마해송 등과 함께 ‘색동회’의 창립동인으로 활약하고, 1924년 동요 단체인 ‘다알리아회’를 조직해 어린이 문화운동과 동요창작 및 작곡 운동을 벌였다. 1926년 우리나라 최초의 동요곡집인 <반달>을 출판하고, 같은 제목의 음반을 출시했다. 그해 북간도로 건너가 음악교사 생활을 하면서 동요 작곡에 몰두했다. 1934년 서울에서 독창회를 가진 바 있으며, 1936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가수와 뮤지컬 연출자로서 활동했다. 1940년 다시 북간도로 가 ‘하얼빈 예술단’ 창단에 참여하여 만주 용정을 중심으로 활동을 했다. 1947년 귀국하여 ‘노래동우회’를 조직하는 등 본격적으로 동요 활동을 재개했다. 대표곡으로는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 노래> 등이 있으며 약 400편의 동요를 남겼다. 제1회 소파상과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리뷰
"아버지께 진 빚 훌훌 털은 느낌" 대표작인 <반달>과 소월의 시에 곡을 붙인 <엄마야 누나야>, 저절로 장단을 맞추게 되는 <고기잡이>와 <우산>, 아련한 슬픔을 불러일으키는 <따오기>에 <설날>과 <어린이날 노래>까지. 윤극영(1903~1988)이 작곡한 동요들은 세대를 넘어 동심의 사랑을 받아왔다. 그의 동요와의 만남은 이 땅의 유년들이 성인이 되기 전 당연히 거치는 통과의례였다. 윤극영의 동요는 물론 그가 발표하지 않고 갖고 있던 중편소설과 미완성 시나리오, 이런저런 지면에 실렸던 회고록 등 윤극영 문학의 모든 것을 담은 <윤극영 전집>(현대문학)이 출간됐다. 각각 800쪽에 육박하는 두 권의 전집에는 미발표 유고 시 264편도 실렸다. 유고시 264편, 소설 등 실어 전집의 출간은 윤극영의 둘째 며느리이자 시인인 이향지(62)씨가 없었으면 불가능했다. 이씨는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방 한구석을 차지하고 있던 원고지 4500쪽 분량의 '무지막지한' 유고 보따리를 풀어헤쳐 1년 반에 걸쳐 손수 입력했다. 윤극영의 육필 원고는 한자와 약어가 많아 출판사에서도 두 손을 들었기 때문에 이씨는 원고 '해독' 작업부터 해야 했다. 시아버지가 써둔 시는 300편이 넘었지만 완성도가 떨어지는 작품 50여 편을 덜어내기도 했다. 두툼한 책 두 권을 받아든 이씨는 "책이 잘 나와 매우 기쁘다. 빚을 갚은 느낌이고 이제 내 글로 돌아갈 수 있겠다"고 말했다. 이씨는 "아버지는 시를 통해 모든 것을 말했다"고 윤극영의 시 세계를 평가했다. 일생이 녹아든 진정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씨는 "윤극영의 동요와 동시가 꽃이요, 잎이라면 시는 뿌리고 줄기"라며 "앞으로 연구자들이 윤극영에 접근하려면 동요가 아닌 시를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달> 윤극영 전집 엮은 며느리 이향지 시인’ , <중앙일보>, 2004년 5월 7일
관련음반
<꿈꾸는 동요>, 가람미디어, 2005 <열려라 동요천국>, 가람미디어, 2004 <신나는 동요나라 135곡>, 블루마인드, 2005
관련도서
<반달>, 윤극영, 1926 <윤극영 111곡집>, 윤극영, 세광음악출판사, 1962
연계정보
-고기잡이
관련사이트
한국동요음악연구회
관련사이트
한국음악교육연구회
관련사이트
한국음악협회
관련사이트
한국영상자료원
관련사이트
동심넷
관련멀티미디어(전체7건)
이미지 7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