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삼현육각(인천)

작품/자료명
삼현육각(인천)
전승지역
인천광역시
지정여부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구분
정악
개요
<삼현육각(三絃六角)>은 해금, 대금, 목피리, 곁피리, 장구, 북 등의 여섯 악기 편성으로 연향의 부대음악을 연주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궁중의 무용반주나 행진음악으로도 두루 연주된다.
내용
<삼현육각(三絃六角)>은 사투리로 ‘새민육각’으로 부르기도 하며 연주하는 것을 ‘새민친다’라고 한다. 본래 <삼현육각>은 해금, 대금, 목피리, 곁피리, 장구, 북 등 여섯 개의 악기로 편성되는데, 현재는 그 전승이 어려워 몇 개의 악기로 굿 또는 탈춤이나 산대놀이의 반주에 쓰일 뿐 본연의 <삼현육각>은 보기 힘들어졌다. 본래 <삼현육각>은 ‘거상풍류(擧床風流)’라 하여 연향의 부대음악으로 연주하는 것을 말하였으나 이와 같은 편성으로 무용반주음악 및 행진음악도 연주한 것으로 보아 넓은 의미의 <삼현육각>은 거상음악, 무용음악, 행진음악까지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삼현육각>의 악기편성은 해금, 대금, 피리, 장구, 북으로, 특히 피리는 둘을 쓰는데 목잽이, 겹재비라 부른다.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악곡으로는 <대영산>, <중영산>, <잔영산>, <도드리>, <긴염불>, <염불>, <별곡타령>, <취타>, <길타령>, <길군악>, <굿거리>, <당악허튼타령>, <자진한잎>, <염불타령>, <반염불>, <굿도드리>, <염불도드리> 등이 있으나 <대영산>, <중영산>, <잔영산>, <도드리>, <자진한잎> 등은 전승이 끊어지고 있으며 <긴염불>, <길군악>, <굿거리>, <허튼타령>, <당악>, <군악>, <취타> 정도만이 그 전승을 이어오고 있다. 한편 <삼현육각>은 중앙에서뿐만 아니라 지방관내에서도 두루 쓰였는데 그 전수되는 과정에서 지역적 특성을 갖게 되어 <향제(鄕制) 삼현육각(三絃六角)>이 발생하게 되었다. 지방에 따라 <삼현육각>을 ‘육잽이’라 하여 여섯 악기로 편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악기가 부족할 경우 육잽이를 갖추지 않고 때때로 가야금이나 아쟁을 곁들이는 등 일정하지 않다. 또한 경기 및 인천은 ‘향토신사(鄕土神祀)’가 매우 드물어 <삼현육각>을 연주할 기회가 없었기에 그 전승이 매우 어렵다.
전승자 정보
1985년 인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삼현육각>이 지정될 당시 이영만(1913.12.20, 남, 장구연주)이 보유자로 인정되었으나 현재는 타계하고, 보유자의 자리는 비어 있다. 그의 제자 김석숭(1947.4.11, 장구연주)이 보유자 후보로서 그리고 ‘삼현육각보존회’의 회장으로 그 맥을 이어오고 있는데, 해마다 여는 정기공연과 국악교실 등을 통해 <삼현육각>의 전수와 보존에 힘쓰고 있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국악의향연>, 윤명원윤중강김영운, 중앙일보사, 1988 · 관련사이트· 관련가치정보
연계정보
-삼현육각(三絃六角)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